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 |||||||||
---|---|---|---|---|---|---|---|---|---|
![]() 사람의 Mn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2 사량체의 구조.[1] | |||||||||
식별자 | |||||||||
EC 번호 | 1.15.1.1 | ||||||||
CAS 번호 | 9054-89-1 | ||||||||
데이터베이스 | |||||||||
IntEnz | IntEnz view | ||||||||
BRENDA | BRENDA entry | ||||||||
ExPASy | NiceZyme view | ||||||||
KEGG | KEGG entry | ||||||||
MetaCyc | metabolic pathway | ||||||||
PRIAM | profile | ||||||||
PDB 구조 | RCSB PDB PDBj PDBe PDBsum | ||||||||
유전자 온톨로지 | AmiGO / QuickGO | ||||||||
|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는 초과산화물(O2-, superoxide) 라디컬(radical)을 산소(O2)나 과산화 수소(H2O2)로 바꾸는 효소이다.
- 2 O2- + 2 H+ → H2O2 + O2
불균등화 효소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 반응이 불균등화 반응이기 때문이다. 반응물의 산화수가 -1/2인 초과산화물의 산소가 산화수가 -1인 과산화 수소의 산소와 산화수가 0인 산소 분자의 산소로 각각 환원 및 산화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불균등화 반응이라고 부른다.
위 반응에서 나온 과산화 수소를 과산화효소(peroxidase)는 아래와 같이 처리하고,
- H2O2 + 2 H+ + 2 e- → 2 H2O
카탈레이스(catalase)는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 2 H2O2 → 2 H2O + O2
각주[편집]
- ↑ PDB 1VAR; Borgstahl GE, Parge HE, Hickey MJ, Johnson MJ, Boissinot M, Hallewell RA, Lepock JR, Cabelli DE, Tainer JA (April 1996). “Human mitochondrial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polymorphic variant Ile58Thr reduces activity by destabilizing the tetrameric interface”. 《Biochemistry》 35 (14): 4287–97. doi:10.1021/bi951892w. PMID 8605177.
같이 보기[편집]
- 산소내성 혐기성 미생물(aerotolerant anaer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