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聽話式敎授法, audio-lingual method, ALM)은 언어적 패턴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교수법이다.[1] 청각구두식 교수법이라고도 한다.
배경과 역사
[편집]1920년대까지 유럽에서는 직접식 교수법이 유행하였으나, 미국에서는 외국어에 능한 원어민 교사를 구하기 어렵고 외국어 학습에서는 읽기 학습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팽배하여, 직접식 교수법 대신 읽기 위주의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인기 있었다.[2] 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이후, 군사적 목적에 의하여 아군과 적군이 실제로 사용하는 언어를 알 필요가 생기자, 미국 국방부에서는 발음, 구문, 회화 연습을 반복하는 ASTP라는 과정에 기금을 지원하였다.[2] 이 방식은 일명 육군식 교수법(army method)으로 알려졌으며, 종전 이후 당대의 언어학과 심리학적 패러다임을 토대로 유망한 언어 교수법으로 자리잡았다.[3]
194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는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이 유행하였다.[1] 이때 찰스 프라이스(Charles Fries)를 비롯한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모든 학습은 경험의 결과이며, 외국어 학습은 모어 학습과 다르고 모어에 의하여 오류가 발생하므로, 오류는 교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또 행동주의 심리학의 S-R 이론 역시 청화식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5]
그러나 청화식 교수법은 장기적으로 볼 때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적되었고, 나아가 언어학계에 촘스키가 등장하면서 이론적 힘을 잃었다.[6] 이러한 변화 속에서 청화식 교수법도 기능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기계적인 패턴 연습을 통하여 정확히 듣고 말하기보다는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이는 이후의 의사소통 교수법으로 이어지게 된다.[1]
특징
[편집]청화식 교수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7]
- 새로운 자료는 대화 형태로 제공된다.
- 어구 단위의 모방, 암기, 과잉학습(over-learning)을 중시하였다.
- 문법은 거의 설명하지 않고, 귀납적인 추론으로 학습하게 한다.
- 어휘는 배워야 하는 목록이 있었고, 이를 맥락을 통하여 익히게 하였다.
- 테이프, 어학실습실, 시각 자료를 주로 사용하였다.
- 기계적인 연습을 중시하여, 내용을 경시하고 형식에만 집중하였다.
장점과 단점
[편집]청화식 교수법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8]
장점
[편집]- 어려운 문법 설명이 없기 때문에 초급 단계에 적합하다.
- 반복적인 말하기 연습을 통하여 말하기와 듣기 능력이 향상된다.
- 제한된 자료를 통하여 빠른 시일에 회화를 할 수 있다.
- 학습 대상인 구문을 체계적이고 철저히 익힐 수 있다.
단점
[편집]- 기계적인 연습에 집중하면 실생활에서 자유롭게 사용하기 어렵다.
- 기계적인 반복 때문에 학습 동기가 떨어지고, 특히 고급 학습자에게는 부적합하다.
- 초급 단계에서부터 모어 화자와 동일한 수준의 발음을 요구하므로, 학습자의 동기가 저하될 수 있다.
- 구문 연습이 다 끝난 뒤에야 문법 규칙을 설명하거나 추론하게 하므로, 시간 낭비가 될 우려가 있다.
참고 문헌
[편집]- Brown, H. Douglas (2001). 《원리에 의한 교수》. 번역 권오량; 김영숙; 한문섭. 제2판. 서울: Pearson Education Korea. ISBN 8945090061.
- 강현화; 원미진 (2017). 《한국어 교육학의 이해와 탐구》. 서울: 한국문화사. ISBN 9788968175466.
각주
[편집]- ↑ 가 나 다 강현화 & 원미진 2017, 140쪽 .
- ↑ 가 나 Brown 2001, 26쪽 .
- ↑ Brown 2001, 26-27쪽.
- ↑ 강현화 & 원미진 2017, 321쪽.
- ↑ 강현화 & 원미진 2017, 162쪽.
- ↑ Brown 2001, 28쪽.
- ↑ Brown 2001, 27쪽.
- ↑ 강현화 & 원미진 2017, 3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