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목: | 백합목 |
과: | 청미래덩굴과 |
속: | 청미래덩굴속 |
종: | 청미래덩굴 |
학명 | |
Smilax china | |
L. |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인 청미래덩굴과의 덩굴성 떨기나무이다.
이름[편집]
경상도 지방에서는 명감나무, 전라도에서는 종가시덩굴, 황해도에서는 매발톱가시, 강원도에서는 참열매덩굴이라고 부르는데, 꽃집에서는 멍개나무 또는 망개나무로 부른다. 한자로는 토복령(土茯領) 또는 산귀래(山歸來)라고 쓴다.
생태[편집]
줄기는 마디마다 휘어 있으며, 군데군데에 가시가 나 있다. 잎은 윤이 나며 어긋난다. 4월 말에 새 잎이 날 무렵이 되면,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녹색의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암수딴그루인데, 암꽃에는 3개의 방을 가진 씨방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갈래로 나뉘어 뒤로 말린다. 후에 지름 7-9mm 정도인 공 모양의 열매가 붉게 익는다.
분포[편집]
주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쓰임새[편집]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줄기는 혈압을 내리는 약으로 쓴다. 불을 때도 연기가 나지 않고, 비에도 젖지 않아서 도피하거나 은거할 때 땔감으로 썼다.[A]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도 하는데, 경상도 의령 지방에서는 망개나무 잎으로 떡을 싸서 찐 망개떡을 해 먹는다.[1] 일본에서도 떡갈나무잎 대용으로 망개잎으로 떡을 해 먹는 지역이 있다.[2]
청미래덩굴 뿌리는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 충분히 식량 대신 먹을 수 있으며 신선이 먹다가 남겨 놓은 음식이라해서 선유량(仙遺糧)이라고 하며 우여량(禹餘量)이라 부르기도 한다.[3] 우여량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다른 약재다.
사진[편집]
-
수꽃
-
암꽃
-
잎
-
열매
-
익은 열매
-
망개떡
각주[편집]
- 내용
- 출처
- ↑ 온라인뉴스팀 (2015년 5월 27일). “망개떡 최초 생산 업체의 자부심! 의령망개떡 김가네”. 《헤럴드경제》. 2015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황교익 (2014년 1월 10일). “[Why] [황교익의 먹거리 Why? 파일] 망개떡·맥적이 한국 전통음식이라고? 음식 역사를 왜곡·미화하지 말라”. 《조선일보 푸드》. 2015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온라인 중앙일보 (2015년 1월 13일). “의병들의 혼이 담긴 "의령망개떡 사이소~"”. 《중앙일보》. 2018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청미래덩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BRIC ― 청미래덩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