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바

주바
Juba
جوبا
주바의 모습
주바의 모습
주바은(는) 남수단 안에 위치해 있다
주바
주바
북위 4° 51′ 동경 31° 36′ / 북위 4.85° 동경 31.6°  / 4.85; 31.6
행정
나라 남수단의 기 남수단
행정구역 주베크 주
인구
인구 250,000명 (2008년)
지리
해발 550 m
기타
시간대 EAT(UTC+03:00)

주바(영어: Juba, 아랍어: جوبا, 히브리어: ג'ובה)는 남수단의 수도이자 주베크 주(행정 구역 개편 이전에는 중앙에콰토리아 주)의 주도이다.

인구[편집]

2005년 당시 인구는 163,442명이었다. 항공 사진과 현지 봉사 단체의 증언을 토대로 할 경우 2006년 인구는 대략 25만 명에 육박한다는 분석도 있다. 오일 머니와 중국에서 유입된 노동자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역사[편집]

1936년의 주바 호텔

19세기, 주바 근처에 곤도코로(Gondokoro)라고 불린 무역기지가 있었다. 이곳은 오스만 투르크의 가장 남쪽 군사기지로 약간의 군인들이 진주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이 이 지역에 만연한 말라리아와 흑수열에 걸려 있었다.

1922년, 그리스의 무역상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여 백나일강 반대편에 주바를 건설했다. 그리스인들은 주바의 원주민들이었던 바리족과 원만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협조 속에 상가를 만들었다. 이후 40대 초까지 여러 은행 건물과 호텔 등이 지어졌다.

1899년부터 1955년까지 주바는 영국령 수단에 속해 있었다. 영국은 북부 수단과 남부 수단의 통합을 논의하는 주바 회의에서 수단의 남부 지역을 우간다와 합치길 바랐지만 남부 수단은 결국 북부 수단과 통합되고, 주바는 1956년 독립 이후 수단에 속한 도시가 되었다.

남부 수단과 북부 수단의 통합에 반대하는 남부 수단 반군들이 1, 2차 수단 내전을 일으켰으며, 남부 수단의 중심지인 주바는 이 내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도시 시설[편집]

주바의 거리

주바는 나일강의 포구로 백나일의 주요한 합류지점이다. 내전 이전의 주바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케냐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을 잇는 고속도로가 놓여 있었다.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주바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능력을 상실했다. 도로와 포구는 복구가 힘들 정도로 망가졌다. UN과 남수단 정부가 도로를 수리하고 있으나 완전한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게다가 수시로 찾아오는 우기로 인해 공사는 지연을 거듭할 수밖에 없다.

주바 대학교가 있으며 주바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기후[편집]

Juba (1971–2000, extremes 1931–1990)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 기온 기록 °C (°F) 42.2
(108.0)
43.0
(109.4)
43.6
(110.5)
42.4
(108.3)
43.7
(110.7)
38.5
(101.3)
37.0
(98.6)
38.5
(101.3)
39.0
(102.2)
39.6
(103.3)
40.4
(104.7)
42.8
(109.0)
43.7
(110.7)
평균 최고 기온 °C (°F) 36.8
(98.2)
37.9
(100.2)
37.7
(99.9)
35.4
(95.7)
33.5
(92.3)
32.4
(90.3)
31.1
(88.0)
31.6
(88.9)
33.1
(91.6)
34.0
(93.2)
34.7
(94.5)
35.9
(96.6)
34.5
(94.1)
일 평균 기온 °C (°F) 28.2
(82.8)
29.3
(84.7)
29.9
(85.8)
28.7
(83.7)
27.6
(81.7)
26.5
(79.7)
25.6
(78.1)
25.5
(77.9)
26.4
(79.5)
26.9
(80.4)
27.4
(81.3)
27.5
(81.5)
27.5
(81.4)
평균 최저 기온 °C (°F) 20.1
(68.2)
21.7
(71.1)
23.6
(74.5)
23.4
(74.1)
22.6
(72.7)
21.9
(71.4)
21.1
(70.0)
21.0
(69.8)
21.1
(70.0)
21.3
(70.3)
20.9
(69.6)
20.0
(68.0)
21.6
(70.9)
최저 기온 기록 °C (°F) 11.4
(52.5)
12.2
(54.0)
16.3
(61.3)
16.5
(61.7)
16.8
(62.2)
14.0
(57.2)
13.3
(55.9)
16.0
(60.8)
15.5
(59.9)
14.0
(57.2)
13.2
(55.8)
13.9
(57.0)
11.4
(52.5)
평균 강우량 mm (인치) 5.1
(0.20)
11.0
(0.43)
36.7
(1.44)
111.5
(4.39)
129.9
(5.11)
117.8
(4.64)
144.7
(5.70)
127.5
(5.02)
103.7
(4.08)
114.5
(4.51)
43.1
(1.70)
8.2
(0.32)
953.7
(37.55)
평균 강우일수 (≥ 0.1 mm) 1.4 2.0 6.6 11.6 12.4 10.3 13.0 11.5 8.6 10.4 6.5 1.9 96.2
평균 상대 습도 (%) 44 42 51 64 73 76 81 80 77 73 69 53 65
평균 월간 일조시간 279.0 235.2 210.8 198.0 207.7 207.0 182.9 204.6 228.0 241.8 237.0 260.4 2,692.4
가능 일조율 76 67 57 54 62 58 50 57 63 64 68 68 62
출처 1: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1]
출처 2: NOAA (sun and humidity, 1961–1990),[2] Deutscher Wetterdienst (extremes, mean temperatures)[3]

각주[편집]

  1.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Jub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UN). 2013년 3월 21일에 확인함. 
  2. “Juba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6년 1월 18일에 확인함. 
  3. “Klimatafel von Juba / Sudan” (PDF) (독일어). Deutscher Wetterdienst. 2016년 11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