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3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3품은 18품계 중 제5등급의 품계이다. 특히 조선시대 품계를 크게 양분할 때 정3품 상계 이상을 당상관(堂上官), 정3품 하계 이하를 당하관(堂上官)이라고 하였다.

고려[편집]

관직[편집]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좌우산기상시(左右散騎常侍)와 중추원의 부사 · 첨서원사(簽書院事) · 직학사(直學士) · 지주사(知奏事) · 좌승선(左承宣) · 우승선 · 좌부승선 · 우부승선, 6부(部)의 상서(尙書), 어사대부(御史大夫) · 삼사사(三司使) ·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그리고 비서성(祕書省) · 전중성(殿中省) · 예빈성(禮賓省) · 합문(閤門) · 위위시(衛尉寺) · 대복시(大僕寺) · 대부시(大府寺) · 사재시(司宰寺) · 사천대(蒔天臺)의 판사(判事), 동궁관(東宮官)의 태자빈객(太子賓客), 첨사부(詹事府) 첨사와 무반직으로서 상장군(上將軍) 등.[1]

조선[편집]

품계명[편집]

  • 종친계: 상계 명선대부(明善大夫), 하계 창선대부(彰善大夫)
  • 의빈계: 상계 봉순대부(奉順大夫), 하계 정순대부(正順大夫)
  • 문산계: 상계 통정대부(通政大夫), 하계 통훈대부(通訓大夫)
  • 무산계: 상계 절충장군(折衝將軍), 하계 어모장군(禦侮將軍)[2]

관직[편집]

상계 (당상관)[편집]

하계 (당하관)[편집]

  • 첨위(僉尉) (의빈부)
  • 정(正)
  • 목사(牧使)
  • 등등

각주[편집]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본래 과의장군(果毅將軍)이라 하였으나 세조 대에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