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뇌전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입체뇌전도(Stereoelectroencephalography, sEEG)는 대뇌전극을 삽입하여 깊이에 따른 뇌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치유가 힘든 뇌전증 환자에게 뇌전증 발작을 억제하려고 대증적인 목적에서 주로 삽입한다. 깊이에 따른 뇌 신호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사용되기도 한다.[1][2]

역사[편집]

1974년에 프랑스 파리의 상 안느 병원 연구팀이 뇌전증 발작이 일어나는 정확한 부위를 특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개발했다.[3] 뇌출혈이나 감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은 1% 미만이다. 이런 까닭에 심각한 뇌전증 환자에게 일부 시술되기도 한다.[4]

각주[편집]

  1. Akbari, Hassan; Khalighinejad, Bahar; Herrero, Jose L.; Mehta, Ashesh D.; Mesgarani, Nima (2018년 6월 19일). “Towards reconstructing intelligible speech from the human auditory cortex”. 2021년 2월 4일에 확인함. 
  2. Rastogi, Anisha; Vargas-Irwin, Carlos E.; Willett, Francis R.; Abreu, Jessica; Crowder, Douglas C.; Murphy, Brian A.; Memberg, William D.; Miller, Jonathan P.; Sweet, Jennifer A. (2020년 1월 29일). “Neural Representation of Observed, Imagined, and Attempted Grasping Force in Motor Cortex of Individuals with Chronic Tetraplegia”. 《Scientific Reports》 (영어) 10 (1): 1429. doi:10.1038/s41598-020-58097-1. ISSN 2045-2322. 
  3. Talairach J, Bancaud J, Szikla G, et al. Approche nouvelle de la neurochirugie de l’epilepsie. Méthodologie stérérotaxique et résultats thérapeutiques. Neurochirurgie (1974) 20 (Suppl. 1): 1-240.
  4. Cossu M, Cardinale F, Castana L, et al. Stereo-EEG in the presurgical evaluation of focal epileps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15 procedures. Neurosurgery (2005) 57: 706-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