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 | |
---|---|
![]() | |
진료과 | 신경과, epileptology ![]() |
빈도 | 0.9% |
뇌전증(腦電症, epilepsy) 또는 간질(癎疾)은 이유 없는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인 신경질환이다.[1][2][3] 대뇌 피질에서의 비정상적이고 강렬한 흥분이 발작의 원인이 되며, 발작의 길이와 주기는 다양하고 특별한 전조증상은 없다.[4] 유발 요인이 없는 발작이 두 번 이상 발생하면 뇌전증으로 진단된다.[5] 단, 한 번의 발작만 있더라도 재발 가능성을 임상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국제뇌전증연맹(ILAE)의 정의에 따라 뇌전증으로 간주될 수 있다.[6]
뇌전증 발작은 뇌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으로 인해 짧고 거의 감지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발작부터 격렬한 떨림이 길게 지속되는 발작까지 다양하다.[5] 이러한 발작은 직접적인 골절이나 사고 유발 등 부차적인 외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5] 뇌전증에서는 발작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으며,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기저 원인이 없는 경우도 있다.[7] 중독 등 특정 원인으로 유발된 단발성 발작은 뇌전증으로 간주되지 않는다.[8] 뇌전증 환자는 발작 증상의 충격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역과 문화에 따라 사회적 낙인이나 차별을 경험하기도 한다.[7]
뇌전증 발작의 근본적인 기전은 대뇌 피질에서 일어나는 과도하고 비정상적인 신경 활동이며,[8] 이는 뇌전도(EEG)나 뇌자도(MEG) 등 뇌파 기록 장치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대부분의 뇌전증에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특발성 질환으로 분류되며,[9] 일부 뇌 손상, 뇌졸중, 뇌종양, 뇌 감염, 또는 출생시 결함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뇌전증 발생기전’(epileptogenesis)으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9][10][11] 비록 소수의 사례에 한정되긴 하나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련성이 확인된 경우도 있다.[12][13] 진단 과정에서는 실신 등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고, 알코올 금단이나 전해질 불균형 등 다른 발작 원인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은 뇌 영상을 촬영하거나 혈액 검사를 통해 일부 진행될 수 있다. 뇌전증은 대개 뇌전도 검사(EEG)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고 해서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12]
다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뇌전증은 예방이 가능할 수도 있다.[9] 발작은 약 69%의 사례에서 약물로 조절할 수 있으며,[14] 저렴한 항뇌전증 약물도 종종 이용 가능하다.[9]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 신경자극 요법, 또는 식이 요법 변화가 고려될 수 있다.[15][16] 모든 뇌전증 사례가 평생 지속되는 것은 아니며, 많은 환자가 증상이 개선되어 더 이상 치료가 필요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9]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약 5,100만 명이 뇌전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약 80%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9][17] 2021년에만 14만 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1990년의 12만 5천 건에서 증가한 수치이다.[18][19][20] 뇌전증은 주로 어린이와 노인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21][22] 선진국에서는 신생아와 노인에서 새로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23] 개발도상국에서는 원인 빈도의 차이로 인해 어릴 때와 청소년·젊은 성인 같은 연령대 양극단에서 더 자주 발병한다.[24] 전체 인구 중 약 5~10%는 80세 이전에 유발 요인이 없는 발작을 한 차례 경험할 수 있다.[25] 첫 발작 후 2년 내에 두 번째 발작이 일어날 확률은 약 40% 정도이다.[26][27] 여러 지역에서 뇌전증 환자는 일정 기간 발작이 없음을 증명하기 전까지 운전에 대한 제한을 받거나 금지될 수 있다.[28]
명칭
[편집]‘뇌전증’(epilepsy)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ἐπιλαμβάνειν”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붙잡다, 사로잡다, 괴롭히다’라는 뜻을 지닌다.[29]
전간(癲癎)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간질이 정식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나, 2009년 6월 7일 대한간질학회에서 용어를 뇌전증으로 바꾸기로 최종 의결하였다.[30][31] 더 이전에는 지랄병이라고도 했다.
간질 자체가 잘못된 용어는 아니지만 사회적 편견이 심하고, 간질이라는 용어가 주는 사회적 낙인이 심하기 때문에 뇌전증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었다. 용어는 변경되었으나 뇌전증과 관련해서는 명명법 이외에는 바뀐 것이 없으며 진단과 치료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32]
관리
[편집]뇌전증은 부분발작인가 전신발작인가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일단 보통 약으로 치료하거나 식이요법으로 적당량의 칼륨이 함유된 음식을 균형있게 섭취한다. 몇몇 사례의 경우 미주신경자극술이나 케톤 식이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신경외과적 술기를 시행하거나 평생동안 항경련제(브롬화칼륨)로 투약하기도 한다.[33][34]
각주
[편집]- ↑ Chang BS, Lowenstein DH (September 2003). “Epileps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9 (13): 1257–66. doi:10.1056/NEJMra022308. PMID 14507951.
- ↑ Fisher RS, Acevedo C, Arzimanoglou A, Bogacz A, Cross JH, Elger CE, Engel J, Forsgren L, French JA, Glynn M, Hesdorffer DC, Lee BI, Mathern GW, Moshé SL, Perucca E, Scheffer IE, Tomson T, Watanabe M, Wiebe S (April 2014).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Epilepsia》 55 (4): 475–82. doi:10.1111/epi.12550. PMID 24730690. S2CID 35958237.
- ↑ Ghosh, Shampa; Sinha, Jitendra Kumar; Khan, Tarab; Devaraju, Kuramkote Shivanna; Singh, Prabhakar; Vaibhav, Kumar; Gaur, Pankaj (May 2021).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Biomedicines》 (영어) 9 (5): 470. doi:10.3390/biomedicines9050470. PMC 8146518. PMID 33923061.
- ↑ Fisher R, van Emde Boas W, Blume W, Elger C, Genton P, Lee P, Engel J (2005).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Epilepsia》 46 (4): 470–2. doi:10.1111/j.0013-9580.2005.66104.x. PMID 15816939.
- ↑ 가 나 다 “Epilepsy Fact sheet”. 《WHO》. February 2016. 2016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4일에 확인함.
- ↑ Fisher RS, Acevedo C, Arzimanoglou A, Bogacz A, Cross JH, Elger CE, Engel J, Forsgren L, French JA, Glynn M, Hesdorffer DC, Lee BI, Mathern GW, Moshé SL, Perucca E, Scheffer IE, Tomson T, Watanabe M, Wiebe S (April 2014).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Epilepsia》 55 (4): 475–482. doi:10.1111/epi.12550. PMID 24730690.
- ↑ 가 나 “Epilepsy”. 《World Health Organization》 (영어).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Fisher RS, van Emde Boas W, Blume W, Elger C, Genton P, Lee P, Engel J (April 2005).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Epilepsia》 46 (4): 470–472. doi:10.1111/j.0013-9580.2005.66104.x. PMID 15816939.
- ↑ 가 나 다 라 마 바 “Epilepsy Fact sheet”. 《WHO》. February 2016. 2016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4일에 확인함.
- ↑ Hammer GD, McPhee SJ, 편집. (2010). 〈7〉. 《Pathophysiology of disease: an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6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62167-0.
- ↑ Goldberg EM, Coulter DA (May 2013). “Mechanisms of epileptogenesis: a convergence on neural circuit dysfunc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4 (5): 337–349. doi:10.1038/nrn3482. PMC 3982383. PMID 23595016.
- ↑ 가 나 Longo DL (2012). 〈369 Seizures and Epilepsy〉.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판. McGraw-Hill. 3258쪽. ISBN 978-0-07-174887-2.
- ↑ Pandolfo M (November 2011). “Genetics of epilepsy”. 《Seminars in Neurology》 31 (5): 506–518. doi:10.1055/s-0031-1299789. PMID 22266888.
- ↑ Eadie MJ (December 2012). “Shortcomings in the current treatment of epilepsy”. 《Expert Review of Neurotherapeutics》 12 (12): 1419–1427. doi:10.1586/ern.12.129. PMID 23237349.
- ↑ Bergey GK (June 2013). “Neuro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Experimental Neurology》 244: 87–95. doi:10.1016/j.expneurol.2013.04.004. PMID 23583414.
- ↑ Martin-McGill KJ, Bresnahan R, Levy RG, Cooper PN (June 2020). “Ketogenic diets for drug-resistant epileps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0 (6): CD001903. doi:10.1002/14651858.CD001903.pub5. PMC 7387249. PMID 32588435.
- ↑ “GBD 2021 Cause and Risk Summary: EPILEPSY” (PDF).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Seattle, USA: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 2024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Sinmetz JD, Seeher KM, Schiess N, Nichols E, Cao B, Servili C, 외. (2024년 4월 1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disorders affecting the nervous system, 1990–2021: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1”. 《The Lancet Neurology》 (Elsevier) 23 (4): 344–381. doi:10.1016/S1474-4422(24)00038-3. hdl:1959.4/102176. PMC 10949203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8493795. - ↑ Wang H, Naghavi M, Allen C, Barber RM, Bhutta ZA, Carter A, Casey DC, Charlson FJ, Chen AZ, Coates MM, Coggeshall M, Dandona L, Dicker DJ, Erskine HE, Ferrari AJ, Fitzmaurice C, Foreman K, Forouzanfar MH, Fraser MS, Fullman N, Gething PW, Goldberg EM, Graetz N, Haagsma JA, Hay SI, Huynh C, Johnson CO, Kassebaum NJ, Kinfu Y, Kulikoff XR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Naghavi M, Wang H, Lozano R, Davis A, Liang X, Zhou M, 외.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January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1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hdl:11655/15525. PMC 4340604. PMID 25530442.
- ↑ Brodie MJ, Elder AT, Kwan P (November 2009). “Epilepsy in later life”. 《The Lancet. Neurology》 8 (11): 1019–1030. doi:10.1016/S1474-4422(09)70240-6. PMID 19800848.
- ↑ Holmes TR, Browne GL (2008). 《Handbook of epilepsy》 4판.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쪽. ISBN 978-0-7817-7397-3.
- ↑ 《Wyllie's treatment of epilepsy: principles and practice.》 5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ISBN 978-1-58255-937-7.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Newton CR, Garcia HH (September 2012). “Epilepsy in poor regions of the world”. 《Lancet》 380 (9848): 1193–1201. doi:10.1016/S0140-6736(12)61381-6. PMID 23021288.
- ↑ Wilden JA, Cohen-Gadol AA (August 2012). “Evaluation of first nonfebrile seizures”. 《American Family Physician》 86 (4): 334–340. PMID 22963022.
- ↑ Neligan A, Adan G, Nevitt SJ, Pullen A, Sander JW, Bonnett L, Marson AG, 외. (Cochrane Epilepsy Group) (January 2023). “Prognosis of adults and children following a first unprovoked seizur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1): CD013847. doi:10.1002/14651858.CD013847.pub2. PMC 9869434. PMID 36688481.
- ↑ Epilepsy: what are the chances of having a second seizure? (보고서). 2023년 8월 16일. doi:10.3310/nihrevidence_59456.
- ↑ L Devlin A, Odell M, L Charlton J, Koppel S (December 2012). “Epilepsy and driving: current status of research”. 《Epilepsy Research》 102 (3): 135–152. doi:10.1016/j.eplepsyres.2012.08.003. PMID 22981339.
- ↑ Magiorkinis E, Sidiropoulou K, Diamantis A (January 2010). “Hallmarks in the history of epilepsy: epilepsy in antiquity”. 《Epilepsy & Behavior》 17 (1): 103–108. doi:10.1016/j.yebeh.2009.10.023. PMID 19963440.
- ↑ “간질 명칭 ‘뇌전증’으로 바뀐다”. 경향신문. 2009년 6월 7일. 2013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김병군 기자 (2012년 6월 18일). “간질이라 불리던 '뇌전증' 약물치료만 해도 70% 이상 완치”. 부산일보. 2013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Trost LF, Wender RC, Suter CC, Von Worley AM, Brixner DI, Rosenberg JH, Gunter MJ (2005년 12월). “Management of epilepsy in adults. Treatment guidelines”. 《Postgraduate Medicine》 118 (6): 29–33. PMID 16382763.
- ↑ Hartzfeld, P; Elisevich K, Pace M, Smith B, Gutierrez JA (2008).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for medial temporal post-traumatic epilepsy”. 《Br J Neurosurg》 22 (2): 224–230. doi:10.1080/02688690701818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