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홍반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홍반열
다른 이름동양반점열
진료과감염내과
증상발열, 홍반, 괴사딱지[1]
합병증파종성 혈관내 응고, 다발성 장기 부전, 중추신경계 합병증,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뇌수막염
병인리케차 자포니카 감염
투약테트라사이클린, 스테로이드

일본홍반열(japanese spotted fever) 또는 동양반점열(oriental spotted fever)은 발진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감염 초기에 반점(macule)이, 후기에는 일부 환자에서 점상출혈이 나타난다.[2] 발열, 홍반, 진드기가 문 자리의 괴사딱지(가피)가 특징적인 증상이며 C반응단백질 수치가 올라간다. 또한 호산구감소증이 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전체적인 양상은 쯔쯔가무시병과 아주 유사하다.[1]

원인이 되는 세균은 리케차의 일종인 리케차 자포니카(Rickettsia japonica)이다.[3][4] 따뜻한 시기인 4~11월에 호발하며 주로 태평양을 끼고 있는 일본 중부와 남서부에서 잘 발병한다.[1]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가 특히 효과적이며, 스테로이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파종성 혈관내 응고, 뇌수막염, 다발성 장기 부전, 중추신경계 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등이 보고되었다.[1]

처음 일본홍반열에 관하여 기술된 것은 1984년이다.[5]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에 처음으로, 인천광역시 무의도에 살던 65세 농부로부터 리케차 자포니카 감염이 확인되었다.[6][7]

참고 문헌[편집]

  1. Noguchi, Masamitsu; Oshita, Shizuka; Yamazoe, Naohisa; Miyazaki, Mitsukazu; Takemura, Yousuke C. (2018년 7월 2일). “Important Clinical Features of Japanese Spotted Fever”.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영어) 99 (2): 466–469. doi:10.4269/ajtmh.17-0576. ISSN 0002-9637. 
  2.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1130쪽. ISBN 978-1-4160-2999-1. 
  3. Mahara F (1997). “Japanese spotted fever: report of 31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merging Infect. Dis.》 3 (2): 105–11. doi:10.3201/eid0302.970203. PMC 2627607. PMID 9204291. 
  4. Inc, GIDEON Informatics; Berger, Dr Stephen (2017). 《Infectious Diseases of Japan: 2017 edition》 (영어). GIDEON Informatics Inc. 237쪽. ISBN 9781498813846. 2017년 11월 11일에 확인함. 
  5. Mahara, F.; Koga, K.; Sawada, S.; Taniguchi, T.; Shigemi, F.; Suto, T.; Tsuboi, Y.; Ooya, A.; Koyama, H. (1985년 11월). “[The first report of the rickettsial infections of spotted fever group in Japan: three clinical cases]”. 《Kansenshogaku Zasshi. The Journal of the Japanese Associ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59 (11): 1165–1171. doi:10.11150/kansenshogakuzasshi1970.59.1165. ISSN 0387-5911. PMID 3938467. 
  6. Chung, Moon-Hyun; Lee, Seung-Hyun; Kim, Mi-Jeong; Lee, Jung-Hee; Kim, Eun-Sil; Lee, Jin-Soo; Kim, Mee-Kyung; Park, Mi-Yeoun; Kang, Jae-Seung. “Japanese Spotted Fever, South Korea - Volume 12, Number 7—July 2006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 CDC” (미국 영어). doi:10.3201/eid1207.051372. 
  7. “인하대병원, 일본홍반열 첫 학계 보고”. 2023년 3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