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 토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산화 토륨
Thorium dioxide
이름
IUPAC 이름
Thorium dioxide
Thorium(IV) oxide
별칭
Thoria
Thorium anhydr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ECHA InfoCard 100.013.842
UNII
  • InChI=1S/2O.Th
  • O=[Th]=O
성질
ThO2
몰 질량 264.037 g/mol[1]
겉보기 white solid[1]
냄새 odorless
밀도 10.0 g/cm3[1]
녹는점 3,350 °C (6,060 °F; 3,620 K)[1]
끓는점 4,400 °C (7,950 °F; 4,670 K)[1]
insoluble[1]
용해도 insoluble in alkali
slightly soluble in acid[1]
−16.0·10−6 cm3/mol[2]
2.200 (thorianite)[3]
구조
Fluorite (cubic), cF12
Fm3m, No. 225
a = 559.74(6) pm[4]
Tetrahedral (O2−); cubic (ThIV)
열화학
65.2(2) J K−1 mol−1
−1226(4) kJ/mol
위험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Flammability code 0: Will not burn. E.g. waterHealth code 2: Intense or continued but not chronic exposure could cause temporary incapacitation or possible residual injury. E.g. chloroformReactivity code 0: Normally stable, eve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and is not reactive with water. E.g. liquid nitrogenSpecial hazard RA: Radioactive. E.g. plutonium
0
2
0
Special hazard RA: Radioactive. E.g. plutonium
인화점 Non-flammable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400 mg/kg
관련 화합물
다른 양이온
Hafnium(IV) oxide
Cerium(IV) oxide
관련 화합물
Protactinium(IV) oxide
Uranium(IV) oxide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이산화 토륨(화학식:ThO2)은 산화 토륨(IV)로도 불리며 하얀 가루 결정체로 존재한다. 주로 란탄족과 우라늄의 부산물로서 생산된다. 토리아나이트는 이산화 토륨의 광물학적인 형태이다. 약간 희귀한편이며, 등축 정계에서 결정체를 이룬다. 녹는 점은 3390 °C로, 알려진 산화물중에서 가장 높다. 오직 몇몇 원소와화합물만이 녹는점이 이보다 더 높다.

화학적 성질[편집]

화합물은 모두 방사능을 띄며, 형석의 결정구조를 가진다. 이는 비슷한 이산화물중에서 흔하지 않은 일이다. 밴드 갭은 6eV이다.

사용[편집]

텅스텐 합금제로 쓰인다. 이산화 토륨이 포함된 유리는 유리 굴절율이 높고,빛 분산력이 작은 장점을 이용해 40%까지 이산화 토륨이 포함된 유리가 광학 기기나 과학 기기에 사용된다. 이산화 토륨은 핵 연료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은 녹는 점으로 인해서 플레임 스프레이나, 고온의 세라믹에도 쓰인다. 또한 TIG용접이나 항공기 엔진, 방전관에서 텅스텐 전극의 안정제로도 쓰인다. 토륨 텅스텐합금은 높은 녹는점으로 인해 잘 변형되지 않는다.

각주[편집]

  1. Haynes, p. 4.95
  2. Haynes, p. 4.136
  3. Haynes, p. 4.144
  4. Yamashita, Toshiyuki; Nitani, Noriko; Tsuji, Toshihide; Inagaki, Hironitsu (1997). “Thermal expansions of NpO2 and some other actinide dioxides”. 《J. Nucl. Mater.》 245 (1): 72–78. Bibcode:1997JNuM..245...72Y. doi:10.1016/S0022-3115(96)007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