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오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오영
尹五榮
작가 정보
출생1907년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1976년 8월 22일 0시 15분[1]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동선동2가 135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의 기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모교양정고보
필명치옹, 동매실주인
활동기간1959년 ~ 1976년
장르수필
부모윤용구(부)
주요 작품
<고독의 반추>, <곶감과 수필>, <방망이 깎던 노인>
영향
영향 받은 인물연암 박지원
영향 준 인물피천득

윤오영(尹五榮, 1907년 ~ 1976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수필가이다.

수필집 《고독의 반추》(1974), 《방망이 깎던 노인》(1974) 등과 수필문학론을 정리한 《수필문학입문》(1975) 등을 발간했다.[2]

국문학자 정민은 윤오영의 문체를 일러 간결하고, 함축과 여운이 유장하다고 평했다. 또한 그의 수필을 한국 수필이 거둔 가장 빛저운 수확의 하나로 극찬했다.[3]

생애[편집]

어렸을 때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후에 <연암의 문장>, <노계 가사의 재평가> 등 고전 문장가들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남겼다.

양정고보 재학 시절에는 동아일보 학생문예에 시를 발표하기도 하고, 경성시내 문학학생회 회장을 맡았다고 전한다. 1927년 5월에 열린 '전조선중등학생현상웅변대회'에 '자기혁신'을 주제로 참가하기도 했다.[4]
양정고보 졸업 후 보성고보에서 20년여간 국어교사로 교편생활을 하다가 5.16 이후 교원 자격 시비로 인한 무자격 교사 해임 조치[5]로 인해 교직을 떠나 학원 강사로 생계를 이었다. 1959년 《현대문학》지(誌)에 <측상락>(厠上樂)을 발표한 것이 작품활동의 시작이나, 1972년 창간한 《수필문학》지(誌)를 통해 가장 활발히 문단활동을 펼쳤다.

관계[편집]

양정고보 재학 때에 3년 후배로 만난 금아 피천득은 고보 졸업 후에도 보성고 교무실을 찾아 만나는 등 지속적으로 교류했다고 전한다. 윤오영의 수필 <비원(秘苑)의 가을>에 등장하는 '금아'가 피천득이며, 반대로 피천득의 수필집 《인연》에 나오는 '치옹'이 윤오영이다.[6]

작품활동[편집]

53세가 되던 1959년에 <측상락>(厠上樂)을 《현대문학》지(誌)에 발표하며 등단하였으나, 1972년 창간된 《수필문학》지(誌)에 <수필문학의 첫걸음>, <수필문학론> 등을 연재하며 활발한 문단활동을 펼쳤다. 1974년 수필집 《고독의 반추》[7]는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8] 같은 해에 '수필가협회'에서 발간한 《한국수필 75인집》에 <방망이 깎던 노인>이 수록되었다.[8]
1975년 《수필문학》지(誌)에 연재한 내용을 엮어 《수필문학입문》을 펴내어 수필문학 이론의 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주요 작품[편집]

방망이 깎던 노인〉, 〈달밤〉, 〈양잠설〉, 〈마고자〉, 〈백사장의 하루〉, 〈부끄러움〉

저서[편집]

수필집 《고독의 반추》, 《방망이 깎던 노인》, 《곶감과 수필》, 수필지도서 《수필문학입문》[9]

각주[편집]

  1. “수필가 윤오영씨”. 동아일보. 1976년 8월 24일. 
  2. 권영민 (2004).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630쪽. ISBN 10-8952104617. 
  3. 윤오영 (2000년 5월 12일). 정민, 편집. 《곶감과 수필》. 태학사. 13~15쪽. ISBN 89-7626-535-1. 
  4. “연사연제결정(演士演題決定)”. 동아일보. 1927년 5월 12일. 
  5. “보성고, 맹휴(盟休) 돌입”. 경향신문. 1963년 3월 12일. 
  6. “강우방의 책읽기 - 윤오영 수필집 '고독의 반추' 삶 관조 깊고 은은한 향기”. 한겨레신문. 1996년 10월 15일. 
  7. 윤오영 (1974) [1974]. 《고독의 반추》. 관동출판사. 
  8. “한국수필 75인집 - 수필가협발간”. 매일경제신문. 1974년 10월 26일. 
  9. 윤오영 (1975) [1975]. 《수필문학입문》. 관동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