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읍
보이기
유성읍(儒城面)은 충청남도 대덕군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다. 현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가 되었다.
역사
[편집]-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
---|---|---|---|
면 | 정·리 | 구·면 | 동·리 |
유성면 (儒城面) |
구성리, 어은리, 궁동리, 봉명리, 신흥리, 상대리, 구암리, 장대리, 복용리, 덕명리, 갑동리, 노은리, 죽동리, 지족리 | 대전 유성구 |
구성동, 어은동, 궁동, 봉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구암동, 장대동, 복용동, 덕명동, 갑동, 노은동, 죽동, 지족동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공주군 현내면 | 유성면 갑동리, 구암리, 궁동리, 노은리, 덕명리, 복용리, 신흥리, 상대리, 장대리, 죽동리, 지족리 |
회덕군 천내면 | 유성면 봉명리, 어은리, 구성리 |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 진잠군을 관할하게 하였다.
- 1914년 4월 1일 공주군 현내면을 대전군으로 통폐합하였다.[2] (12면)
- 1935년 10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면이 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승격되었다.
- 1983년 2월 15일 유성읍 일원이 충청남도 대전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