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23년 제22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up of coffee.svg
사랑방
2023년 제22주
2023년 5월
18 1 2 3 4 5 6 7
19 8 9 10 11 12 13 14
20 15 16 17 18 19 20 21
21 22 23 24 25 26 27 28
22 29 30 31 1 2 3 4
2023년 6월
22 29 30 31 1 2 3 4
23 5 6 7 8 9 10 11
24 12 13 14 15 16 17 18
25 19 20 21 22 23 24 25
26 26 27 28 29 30 1 2

사랑방

위키백과 사랑방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랑방은 위키백과 내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담소를 나누는 곳입니다.


새 주제로 글을 쓰시려면 새로운 주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사랑방의 예전 토론은 과거 토론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랑방을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도움말을 읽어 주세요.
  • 위키백과에 대한 질문은 질문방에 해 주세요. 새로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인사는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 각 문서에 대한 의견은 문서의 토론 공간을, 특정 분야에 대한 의견은 위키프로젝트의 토론 공간을 활용해 주세요.
  •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은 기술 사랑방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기타 요청은 위키백과:요청을 참고해주세요.
위키백과 소식
의견 요청


위키백과와 관련 없는 내용의 작성은 가능한 자제해 주세요.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질문이 있으신가요? 질문방에 질문을 남겨주세요!
사랑방을 이용하시기 전에 반드시 도움말을 읽어 주세요.

새로운 주제

루프백 IP의 기여[편집]

127.0.0.1은 루프백 IP로 알고 있는데, 이 아이피의 기여 내역이 있네요...? 아마 서버 컴퓨터로 편집된 것 같은데 한국어 위키백과 개설 초반도 아니고 2015년.. 어떻게 된 걸까요...? ㅡ 키페 2023년 5월 29일 (월) 17:14 (KST)답변[답변]

2013년2015년에 각각 한 차례씩 위키미디어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잘못된 구성이 있어서 발생한 것이라고 합니다. 무시하시면 됩니다. --ted (토론) 2023년 5월 30일 (화) 10:32 (KST)답변[답변]
감사해요 :) ㅡ 키페 2023년 6월 3일 (토) 00:34 (KST)답변[답변]

Growth team newsletter #26[편집]

2023년 5월 30일 (화) 00:14 (KST)

돌아온 위키미디어 공용 에디터톤[편집]

Gangwon-map ko.png

위키미디어 공용은 9천3백만개 이상의 미디어 자료가 모여있는 보물 창고입니다. 사진부터 짧은 동영상, 단어의 발음을 기록한 음성 파일 등 다양한 종류의 자료가 모여 있는 공간에 자료들이 떠다니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안에서 자신이 찾는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3년만에 돌아온 공용 에디터톤은 다양한 문화유산과 비경이 모여있는 대한민국의 강원도를 함께 탐구해 봅니다.

강원도의 사진 등 미디어 자료를 함께 정리하고, 새로운 분류를 함께 만들어간 참여자 분에게는 활동에 따라 소정의 리워드를 드립니다. 한국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 참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리워드
  • 50점 이하 - 추첨을 통해 문화상품권 1만원 증정
  • 50점 이상 - 문화상품권 1만원 상당 증정
  • 2등 - 문화상품권 3만원 상당
  • 1등 - 문화상품권 5만원 상당

 

2023 공용 에디터톤 참여하기

 

--이강철 (WMKR) (토론) 2023년 5월 30일 (화) 18:32 (KST)답변[답변]

자폐인 긍지의 날 에디터톤 알림[편집]

6월 17일 자폐인 긍지의 날을 기념해 에디터톤이 열립니다. 자폐권리운동과 신경다양성 관점을 담은 지식의 확충을 위해 열리는 이번 에디터톤에서는 자폐인 대상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공동 편집 활동이 진행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3년 6월 1일 (목) 17:53 (KST)답변[답변]

위키백과[편집]

지식백과 잘안되서 돼면 안될까요 2001:E60:D425:A36E:0:0:2335:A65E (토론) 2023년 6월 2일 (금) 18:09 (KST)답변[답변]

바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2001:E60:D425:A36E:0:0:2335:A65E (토론) 2023년 6월 2일 (금) 18:09 (KST)답변[답변]

제가 SNS를 하는데 한국어 위키중 유일하게 성공한 곳이 나무위키라는 글이 많이 리트윗되었습니다.[편집]

위키백과등 다른 위키의 실패로 나무위키가 한국어 위키에서 1등이면서 유일하게 활성화된 곳인데, 나무위키를 페이퍼컴퍼니가 운영하는 것을 떠나서 독재 운영으로 불투명하게 운영되는 건 사회 문제라는 글이 리트윗이 많이 되었습니다.

이제 문서수도 위키백과가 밀리는 것이 사실이고, 교수님 등 전문가 개인에 대한 문서도 나무위키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어쩌다가 이렇게 된 것일까요? Forkmango (토론) 2023년 6월 3일 (토) 11:42 (KST)답변[답변]

제가 보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독자 접근성 관점)
  • 검색 엔진 노출 문제(네이버 → 구글 등 타 검색 엔진으로의 영향 포함): 위키백과가 네이버(한국에서 어느 정도 점유율을 차지하는 검색 엔진)의 일반 검색에서 지식백과로 편입(일반 검색에서도 노출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웹사이트가 아닌 위키백과에만 존재하는 주제에 대해서만 표시될 정도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게 설정되어 있음) → 네이버에 의해 지식백과의 사전 중 위키백과의 노출 우선순위를 최하 수준으로 조정(결정적인 이유) → 네이버 검색에서 위키백과가 노출되는 정도가 낮아짐(지식백과 항목에서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한 백과사전 2~3개 정보만 메인에 표시되는 것이 현재 구조) → 한국어 위키백과 방문률 저하 → 이 영향에 따른 클릭률을 포함한 검색 노출 기준에서 구글 등 다른 검색 엔진에서 노출 감소
  • 인터넷 사용자층이 많은 중국에서의 유입률 또한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중국에서 네이버 차단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네이버 방문률이 꽤 많았던 것을 기억해 보면 한국어라는 언어 자체가 큰 장애물이 될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또, 위키백과는 전면 차단되었지만 중국에서 나무위키의 '천안문 광장' 등 정치적으로 민간함 주제도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합니다.
위 내용은 제가 생각하는 수년간 지켜본 근래의 상황이며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고 검색을 통해 어느 정도 노출이 되어야 일반인이 들어갈 볼 기회라도 생기지 않을까요? 문서의 품질만이 문제라고 생각되지도 않습니다. 예를 들어 커넥티드 카 문서도 상당히 보완을 해봤는데 구글이나 네이버에서는 빈약한 나무위키 글만 노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 글은 몇 페이지를 넘어가도 보이지 않아요. 아무래도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협회 쪽에서 구글과 네이버 등 검색 엔진과의 협업은 어려운 일인지 모르겠네요. 해결책이나 방향성은 제시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편집자 관점에서도 설명할 부분이 있지만 이미 사랑방을 통해 충분히 설명드려서 남기지 않겠습니다. --ted (토론) 2023년 6월 3일 (토) 13:08 (KST)답변[답변]

그로스 해킹에 관해서 관심을 가져보시고 경영학 책 중에 <디커플링>이라는 책도 있는 데 한번 관심 있게 봐보시죠. 위키백과 편집자 수를 키우는 데 어느 정도 실마리가 될 수 있을껍니다.--Leedors (토론) 2023년 6월 7일 (수) 20:33 (KST)답변[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