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골자리 AG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용골자리 AG | ||
![]()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용골자리 AG. | ||
명칭 | ||
---|---|---|
다른 이름 | CD–59 3430, HD 94910, HIP 53461, SAO 251185.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용골자리 | |
적경(α) | 10h 56m 11.57699s[1] | |
적위(δ) | −60° 27′ 12.8056″[1] | |
겉보기등급(m) | 6.96[2] | |
절대등급(M) | ~-8 (최소점)[3]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0.19 ± 0.70밀리초각[1] | |
거리 | 20,000 광년(6,000 파섹)[4][3] | |
성질 | ||
광도 | 1,500,000 L☉[5] | |
분광형 | LBV | |
추가 사항 | ||
질량 | 55 M☉[4] | |
표면온도 | 8,000-26,000 K[6] | |
자전 속도 | 220 ± 50[5] | |
항성 목록 |
용골자리 AG(AG Carinae)는 용골자리에 있는 항성으로, 밝은 청색변광성에 속하며 밝기는 태양의 약 150만 배로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의 반열에 들어간다. 이 별과 지구 사이의 광대한 공간(약 20,000광년)에 걸쳐 있는 성간 물질과 먼지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 이 별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 AG의 겉보기 등급은 7.1~9.0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 별은 항성풍의 형태로 자신의 질량을 외부로 날리고 있으며, 방출물질들은 거대한 행성상 성운을 만들고 있다. 이 별은 분광형 O형 초거성에서 울프-레이에별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에 있다.
참고 문헌[편집]
- Samus, N. N.; Durlevich, O. V.; et al. (2004년). “Combined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GCVS4.2)”. 2006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Bibcode:2007A&A...474..653V. arXiv:0708.1752. doi:10.1051/0004-6361:20078357.
- ↑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 ↑ 가 나 Groh, J. H.; Hillier, D. J.; Damineli, A.; Whitelock, P. A.; Marang, F.; Rossi, C. (2009). “ON THE NATURE OF THE PROTOTYPE LUMINOUS BLUE VARIABLE AG CARINAE. I. FUNDAMENTAL PARAMETERS DURING VISUAL MINIMUM PHASES AND CHANGES IN THE BOLOMETRIC LUMINOSITY DURING THE S-Dor CYCLE”. 《The Astrophysical Journal》 698 (2): 1698. Bibcode:2009ApJ...698.1698G. arXiv:0904.2363. doi:10.1088/0004-637X/698/2/1698.
- ↑ 가 나 Vamvatira-Nakou, C.; Hutsemekers, D.; Royer, P.; Cox, N. L. J.; Naze, Y.; Rauw, G.; Waelkens, C.; Groenewegen, M. A. T. (2015). “The Herschel view of the nebula around the luminous blue variable star AG Carinae” 1504: 3204. Bibcode:2015arXiv150403204V. arXiv:1504.03204 [astro-ph.SR].
- ↑ 가 나 Groh, J. H.; Hillier, D. J.; Damineli, A. (July 2011), “On the Nature of the Prototype Luminous Blue Variable AG Carinae. II. Witnessing a Massive Star Evolving Close to the Eddington and Bistability Limits”,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1), Bibcode:2011ApJ...736...46G, arXiv:1105.0814, doi:10.1088/0004-637X/736/1/46
- ↑ Stahl, O.; Jankovics, I.; Kovács, J.; Wolf, B.; Schmutz, W.; Kaufer, A.; Rivinius, Th.; Szeifert, Th. (2001). “Long-term spectroscopic monitoring of the Luminous Blue Variable AG Carin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75: 54–69. Bibcode:2001A&A...375...54S. doi:10.1051/0004-6361:200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