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관앵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왕관앵무속에서 넘어옴)

왕관앵무
수컷 왕관앵무의 모습
수컷 왕관앵무의 모습
암컷 왕관앵무의 모습
암컷 왕관앵무의 모습

🔊 왕관앵무의 소리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앵무목
과: 관앵무과
아과: 왕관앵무아과
Nymphicinae
속: 왕관앵무속
Nymphicus
Wagler, 1832
종: 왕관앵무
N. hollandicus
학명
Nymphicus hollandicus
Kerr, 1792년

학명이명

Psittacus hollandicus
Leptolophus hollandicus

왕관앵무의 분포

현재 왕관앵무의 서식 범위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왕관앵무(王冠鸚鵡, 영어: Cockatiel, /ˌkɒkəˈtl/;[2] Nymphicus hollandicus), 영어권 별칭 웨이로(weero/weiro[3][4]) 또는 쿼리온(quarrion[5][6])는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서 서식하는 관앵무과에 속하는 중형 앵무새이다.[7] 전 세계적으로 집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자 반려앵무로 길러지고 있으며 다른 앵무새에 비해서 사육이 쉽다. 앵무새 중에서는 사랑앵무 다음으로 많이 길러진다.[8]

왕관앵무는 왕관앵무속(Nymphicus)의 유일한 종이다. 이전까지는 왕관앵무가 작은잉꼬(Parakeet)인지 작은코카투인지 불분명했으나 현대의 분자학적 연구를 통해 왕관앵무는 왕관앵무아과(Nymphicinae)에 속한 독립된 종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현재는 관앵무과에 속하는 가장 작은 아과로 분류된다. 왕관앵무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원 서식지로 보통 습지, 관목, 덤불 지대에서 주로 서식한다.

계통과 이름[편집]

1793년 스코틀랜드의 작가이자 자연주의자인 로버트 케르가 왕관앵무를 Psittacus hollandicus이라는 학명을 처음 붙어 종을 분리했고, 1832년에는 요한 게오르크 바글러Nymphicus 속 아래로 배치했다.[9] 속 이름은 이 새의 원 서식지에서 처음 관측한 유럽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따 와 지어졌다. 탐험가들은 새가 너무 아름답다고 생각해 신화 속 요정의 이름인 님프(Nymph)를 따와 이름을 붙였다. hollandicus 라는 종명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옛 이름인 뉴홀랜드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왕관앵무의 생물학적 관계는 오랫동안 불확실했는데 현재는 왕관앵무아과(Nymphicinae)라는 단형 아과에 속하지만 과거에는 넓쩍꼬리앵무가 있는 장미앵무아과(Platycercinae) 아래로 분류하기도 했다. 이 문제는 분자학적 연구를 통해 해결되었다. 1984년 단백질 동위효소 연구에 따르면 다른 앵무새보다 코카투와 아주 가까운 관계이며,[10] 미토콘드리아 125 rRNA 염기서열 데이터에 따르면[11] 붉은꼬리검은유황앵무아과(Calyptorhynchinae, 검은 코카투)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독특한, 넓쩍꼬리앵무를 닮은 형태적 특징은 몸집이 줄어드며 그에 따라 생태적 지위가 변화하면서 생긴 진화적 결과물이다.

반면 베타 피브리노겐(β-fibrinogen) 유전자의 인트론 7의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유전자 차이가 붉은꼬리검은유황앵무아과 아래에 속한다기보단 왕관앵무아과를 독립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고 나왔다.[12]

현재 왕관앵무는 바짝 선 볏, 쓸개, 솜털, 매우 희미한 층(파랑과 녹색 털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음), 부리 측면을 덮고 있는 얼굴깃털 등 모두 관앵무과 이외에는 발견되지 않는 관앵무과에 속한 앵무새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어 생물학적으로 관앵무과(코카투)에 속하는 생물이라는 것은 확실하게 결정된 상태이다. 또한 다른 코카투와의 관계도 왕관앵무와 또 다른 코카투 종인 붉은관유황앵무와의 성공적인 잡종 사례가 한 건 이상 존재하여 매우 관게가 깊음을 알 수 있다.[13]

모습[편집]

외형[편집]

노래하며 먹이를 먹는 왕관앵무의 모습

왕관앵무의 독특한 도가머리(볏 같이 생긴 것)는 개체의 감정 상태를 나타낸다. 왕관앵무가 놀라거나 흥분하면 도가머리는 거의 수직을 이루며, 중립적이거나 편안한 상태에서는 부드럽게 비스듬히 기울어지며 화나거나 방어적인 상태에서는 머리 가까이로 평평하게 선다. 또한 도가머리가 평평하게 서 있어도 왕관앵무가 매혹하러거나 추파를 던질 땐 뒤편이 앞쪽으로 튀어나온다. 피곤할 땐 도가머리가 반 쯤 위에 있으며 끄트머리가 보통 위로 말려 올라간다.[14] 대부분의 코카투와는 달리 왕관앵무는 전체 길이의 절반을 차지하는 긴 꼬리깃도 가지고 있다. 이 길이는 약 30~33 cm로 왕관앵무가 코카투 중 가장 작은 몸집 30~60 cm의 동물이라는 걸 가정하면 매우 길다.

"노멀그레이"나 "야생형" 왕관앵무의 겉모습은 깃털이 대부분 회색빛이며 양 쪽 날개의 바깥쪽 끝부분에 눈에 띄는 흰색 점무늬가 있다. 수컷의 얼굴은 노란색 또는 흰색이며 암컷의 얼굴은 주로 회색, 밝은 회색 계열이고 암수 모두 양쪽 귀쪽에 '체다볼'이라고 부르는 둥근 주황 반점이 있다.[15] 이 주황 반점은 일반적인 수컷 성체면 매우 뚜렷하지만 암컷은 상당히 채도가 낮은 색인 경우가 많다. 왕관앵무의 다른 품종에서는 이 반점 색깔을 통해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성적 이형성[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irdLife International (2018). Nymphicus hollandic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8: e.T22684828A132056250. doi:10.2305/IUCN.UK.2018-2.RLTS.T22684828A132056250.en.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2. 〈cockatiel〉. 《Collins English Dictionary》 13판. HarperCollins. 2018. ISBN 978-0-008-28437-4. 
  3. Australia, HarperCollins Publishers (1985). 《Australia's Amazing Wildlife》 (영어). Bay Books. ISBN 978-0-85835-830-0. 
  4. Gray, Jeannie; Fraser, Ian (2013년 5월 15일). 《Australian Bird Names: A Complete Guide》 (영어). Csiro Publishing. ISBN 978-0-643-10470-9. 
  5. Esser, A. (2012년 12월 6일). 《Behavior and Environment: The Use of Space by Animals and Men》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1-4684-1893-4. 
  6. Pizzey, G.; Doyle, R. (198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Australia》. Sydney: Collins Publishers. 177쪽. ISBN 073222436-5. 
  7. “8 Best Medium-Sized Pet Bird Species”. 《The Spruce Pets》 (영어). 2022년 6월 3일에 확인함. 
  8. “Factsheets:Cockatiel”. Australian Museum. 2011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30일에 확인함. 
  9. Assis, V.D.L.; Carvalho, T.S.G.; Pereira, V.M.; Freitas, R.T.F.; Saad, C.E.P.; Costa, A.C.; Silva, A.A.A.; Assis, V.D.L.; Carvalho, T.S.G.; Pereira, V.M.; Freitas, R.T.F.; Saad, C.E.P.; Costa, A.C.; Silva, A.A.A. (1990년 1월 6일). “Environmental enrichment on the behavior and welfare of cockatiels (Nymphicus hollandicus)”. 《Arquivo Brasileiro de Medicina Veterinária e Zootecnia》 68 (3): 562–570. doi:10.1590/1678-4162-8747. ISSN 0102-0935. 
  10. Adams, M; Baverstock, PR; Saunders, DA; Schodde, R; Smith, GT (1984). “Biochemical systematics of the Australian cockatoos (Psittaciformes: Cacatuinae)”.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32 (3): 363–77. doi:10.1071/ZO9840363. 
  11. Brown, D.M. & Toft, C.A. (1999): Molecular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the cockatoos (Psittaciformes: Cacatuidae). Auk 116(1): 141-157. JSTOR 4089461
  12. Astuti, Dwi (2004): A phylogeny of Cockatoos (Aves: Psittaciformes) inferred from DNA sequences of the seventh intron of Nuclear β-fibrinogen gene. Doctoral work,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Earth Science, Hokkaido University, Japan.
  13. “Talking Birds”. 
  14. “How to Understand a Cockatiel by His Crest”. 《PetHelpful》 (영어). 2020년 8월 22일에 확인함. 
  15. “How to Understand a Cockatiel by His Crest”. 《PetHelpful》 (영어). 2020년 8월 22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 Astuti, Dwi (2004?): A phylogeny of cockatoos (Aves: Psittaciformes) inferred from DNA sequences of the seventh intron of nuclear β-fibrinogen gene. Doctoral work,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Earth Science, Hokkaido University, Japan. PDF fulltext
  • Dwi Astuti (2011).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Cockatoos (Aves: Psittaciformes) Based on DNA Sequences of The Seventh intron of Nuclear β-fibrinogen gene” (PDF). 《Jurnal Biologi Indonesia》 7 (1): 1–11. ISSN 0854-4425. 
  • Flegg, Jim (2002): Photographic Field Guide: Birds of Australia. Reed New Holland, Sydney & London. ISBN 1-876334-78-9
  • Martin, Terry (2002). 《A Guide To Colour Mutations and Genetics in Parrots》. ABK Publications. ISBN 978-0-9577024-6-2. 
  • Hayward, Jim (1992). 《The Manual of Colour Breeding》. The Aviculturist Publications. ISBN 978-0-9519098-0-5.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