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쿠리가나

오쿠리가나(일본어:
개요[편집]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혼용을 할 때 한자어에 대해서만 한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전부 한글로 표기하나, 일본에서는 일부 와고, 즉 일본의 고유어에도 한자 표기를 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국가'라는 한자어를 '國家'라고 표기할 수 있고 '나라'라는 고유어는 한글로만 표기 가능하나, 일본에서는 'こっか'라는 한자어를 주로 '国家'라고 표기하지만, '나라'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와고인 'くに'도 '国'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일본에서는 한자로 표기하는 범위가 더 넓어서 한자를 오독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한자 뒤에 가나를 붙여서 한자를 읽는 방법을 유추하게 하여 오독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다.
아래는 오쿠리가나가 사용된 문장의 예다. 문장을 단어 별로 나누었으며, 밑줄을 친 부분이 오쿠리가나이다. 굵은 부분은 한자가 훈독으로 읽힌 경우이다.
たくさんの
원칙[편집]
1973년 일본 내각 고시(告示)[1]에서 정한 기준을 따른다.
- 예)
書 く、実 る、生 きる
- 용언 중에서 형용사와 형용동사에는 다음의 규칙을 적용한다.
- 위 규칙은 활용어미 외에 동사의 활용형, 형용사・형용동사의 어근을 포함해도, 명사형 어미나 접사가 붙어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 명사는 오쿠리가나를 붙이지 않는다.
- 부사, 연체사, 접속사는 마지막 음절을 오쿠리가나로 한다.
- 예)
甚 だ、再 び、最 も
- 다만, 다른 낱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낱말부터 규칙을 적용한다.
- 예)
従 って、例 えば
- 예)
- 또한,
又 는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 예)
- 복합어는 그 단어를 이루는 각각의 요소를 독립된 단어로 생각하고 그에 맞는 오쿠리가나를 붙인다.
- 예)
申 し込 む、裏 切 る、軽 々 しい、乗 り換 え、独 り言
- 예)
예외와 허용[편집]
- 용언의 오쿠리가나에는 많은 예외가 있다.
- 예)
大 きい、少 ない、小 さい、明 るい、捕 まる
- 예)
- 명사는 원칙적으로 오쿠리가나를 붙이지 않으나, 어느 정도 예외가 있다.
- 예)
自 ら、後 ろ、幸 せ、二 つ、祭 り
- 예)
- 다음과 같은 단어는 용언에서 명사로 변한 꼴이라도 오쿠리가나를 붙이지 않는다.
- 예)
氷 、印 、光 、恋 、富
- 예)
그 외에, 오독할 가능성이 적은 단어는 오쿠리가나를 일부 생략할 수 있으며, 이를 허용이라고 부른다.
- 예)
申 し込 み →申 込 み、暮 らす →暮 す、終 わる →終 る、問 い →問 、落 書 き →落 書
다음과 같이 오쿠리가나를 더 붙일 수 있는 경우도 허용이라고 부른다.
- 예)
行 う →行 なう、断 る →断 わる、現 れる →現 われる
복합어 중에서 관용상으로 오쿠리가나를 붙이지 않았던 단어 중에는 아예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정한 것도 있다.
- 예)
場 合 、物 語 、立 場 、建 物
효과[편집]
오쿠리가나는 애초에 오독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오쿠리가나를 붙임으로써 훈이 다양한 한자를 문맥을 보지 않고서도 제대로 읽을 수 있고, 또 같은 한자어를 훈독이나 음독으로 구별해 읽어서 뜻을 구별해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자로만 쓰면 같은 幸, 全이지만, 오쿠리가나를 붙이면 각각
단어 | 뜻 |
---|---|
삶 | |
(가공하지 않은) 생 | |
살리다 | |
살다 | |
살리다, 꽂다 | |
태어나다 | |
낳다 | |
성장하다 (고어, 古語) | |
나다, 돋다 | |
자라게 하다, 기르다 | |
생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