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고추
보이기
오이고추 | |
---|---|
![]() 오이고추와 홍고추 | |
종 | |
속 | 고추속 |
종 | 고추 |
학명 | Capsicum annuum L. |
품종 | |
재배 품종 | 오이고추 |
원산지 | 한국 |
오이고추는 녹광고추와 피망을 교잡해 만든 재배종 고추이다.[1][2] 오이고추나 아삭이고추라 부르기도 한다.[3]
특징
[편집]열매가 크고 두꺼우며, 짙은 녹색이고 껍질이 연하다.[3] 매운 맛은 거의 없고 과육이 부드럽고 아삭거린다.[4]
재배
[편집]주산지는 경상남도 밀양이며,[4] 녹광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 등과 함께, 한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고추 품종이다.[5][6][7]
오이고추의 재배품종으로는 '길상', '맛광', '순한길상', '롱그린맛', '따고또따고' 등이 있다.[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인교준 (2015년 10월 3일). “호박고구마·오이고추 등 개량품종 인기”. 《연합뉴스》.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김태성 (2013년 5월 14일). “오이고추가 청양고추 눌렀다”. 《매일경제》.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정지은; 신지은; 황경준; 이재욱; 김선일 (2009). “오이고추 피클의 저장기간 중의 성분 및 기호도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 (3): 345~349.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호건 (2013년 5월 21일). “콜라비·오이고추…'콜라보 채소'가 뜬다”. 《SBS 뉴스》.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작목기술정보 – 고추 – 일반사항 – 8. 품종의 분류”. 《농사로》. 농촌진흥청.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윤효진; 이슬; 황인경 (2012). “품종별 청고추의 항산화 효과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의 세포 사멸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44 (6): 750~758. doi:10.9721/KJFST.2012.44.6.750. 2018년 2월 7일에 확인함.
- ↑ 박상규 (2013년 7월 10일). “매운맛 약한 ‘오이맛 풋고추’ 인기몰이”. 《농민신문》. 2019년 2월 3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음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