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은분리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은분리법(鉛銀分離法) 또는 단천연은법(端川鍊銀法)은 16세기 초 연산군 시기에 조선에서 발명된[1] 은광석에서 순수 을 추출하는 기술이다.

조선에서 만들어졌지만 본국에서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의 은 생산량을 크게 높여 대항해시대 서양인들의 탐험을 촉진시키고, 일본이 서양과 잦은 교류를 하게 되는 등 세계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기술이다.

역사[편집]

1503년 6월 13일, 조선의 왕 연산군 앞에서 김감불(金甘佛)과 김검동(金儉同)이라는 사람이 시연했던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1]

良人金甘佛、掌隷院奴金儉同以鉛鐵錬銀以進曰: "鉛一斤, 錬得銀二錢。 鉛是我國所産, 銀可足用。 其錬造之法, 於水鐵鑪鍋內, 用猛灰作圈, 片截鉛鐵塡其中, 因以破陶器, 四圍覆之, 熾炭上下以鑠之。" 傳曰: "其試之。"

양인(良人) 김감불(金甘佛)과 장례원(掌隷院) 종 김검동(金儉同)이, 납[鉛鐵]으로 은(銀)을 불리어 바치며 아뢰기를, "납 한 근으로 은 두 돈을 불릴 수 있는데, 납은 우리 나라에서 나는 것이니, 은을 넉넉히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불리는 법은 무쇠 화로나 남비 안에 매운재를 둘러 놓고 납을 조각조각 끊어서 그 안에 채운 다음 깨어진 질그릇으로 사방을 덮고, 숯을 위아래로 피워 녹입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시험해 보라." 하였다.

연산군일기 49권, 연산 9년(1503년) 5월 18일 계미 3조

이후, 명나라에 책 등을 통하여 알려졌다. 연은분리법을 만든 나라인 조선중종반정 이후 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전국의 은광 개발을 억제하는 등 연은분리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따라서 조선의 화폐경제 발달이 늦춰졌다.

1526년, 일본은 조선에서 두 기술자를 데려와서 연은분리법을 전수받았다. 그리고 일본 전국으로 연은분리법이 전파된다. 에도 시대에 이르러, 연은분리법의 도움으로 은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일본은 은본위제를 확립하였다.

17세기, 에도 시대 일본은 세계 3위의 은 생산국으로 떠오른다. 그리고 당시 서양 국가들은 신대륙의 발견 등으로 은 중심의 화폐 경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일본은 청나라와 함께 서양 국가들의 교역 욕구를 자극했다. 결국 연은분리법은 개발국인 조선에게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일본의 화폐 경제 발달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현대식 은 추출법으로 대체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원리[편집]

연은분리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은광석 안에는 이 섞여 있는데, 둘은 서로 다른 물질이기 때문에 녹는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납이 먼저 녹아 산화되어 은광석으로부터 분리되고, 순수한 만 남아 은을 추출하는 원리이다.

각주[편집]

  1. “조선왕조실록”. 2020년 3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