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사진.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사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착편모조류
강: 후각편모조강
목: 이소크리시스목
과: 노엘라에르하브다세아과
속: 에밀리아니아속
학명
Emiliania huxleyi
(Lohm.) Hay and Mohler
노르웨이 하르당게르피요르드에서의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대증식(2020년 5월).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학명Emiliania huxleyi)는 석회비늘편모류에 속한 종으로, 적도부터 아극지까지, 영양분이 풍부한 용승 지역부터 빈영향 환경까지 거의 모든 지역에 존재한다.[1][2][3][4] 바다의 유광층에 존재하는 수많은 식물성 플랑크톤 중 하나로, 해양 먹이 그물의 기반을 차지한다.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여름에 수온약층이 변화할 때 영양분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 대증식이 일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 석회비늘편모류와 마찬가지로 코콜리드라고 불리는 석회질 껍질로 덮인 단세포 생물이며, 코콜리드는 많이 존재하지만 완전히 덮은 코코스피어 형태는 드물다.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잘 분해되지 않는 알케논을 합성해, 껍질에 더해 '부드러운' 부분이 침전물에 기록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알케논은 과거의 표층 해수 온도를 추정할 때에도 사용하기 때문에, 고기후학적 가치도 갖고 있다.

개관[편집]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의 이름은 최초로 해저 침전물을 연구해 코콜리드를 발견한 토머스 헨리 헉슬리체사레 에밀리아니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약 27만 년 전 게피로캅사속에서 진화하여[5][6] 약 7만 년 전부터 주요 식물성 플랑크톤 집단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5][7] 석회비늘편모류 중 가장 많고 넓게 분포하는 종으로, 코콜리드 모양에 따라 7개 다형으로 나눈다.[8][9][10] 코콜리드는 보통 투명하고 무색이지만, 물에서 빛을 잘 굴절시키는 석회질로 구성되어 있어, 우주에서 관측했을 때 대증식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위성에서 촬영한 대증식의 넓이는 10,000 km2 이상까지 커지며, 선박에서 측정한 결과 이러한 대증식 환경에서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가 주요 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1]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제임스 러브록이 주장한 가이아 이론의 영감으로 작용했다.

분포[편집]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만연종으로 분류된다. 석회비늘편모류 종 중 생존 가능한 온도 범위가 가장 넓으며(1~30 °C),[3] 빈영향(아열대 환류)부터 부영양화(용승 지역/노르웨이 피오르)까지 모든 환경에서 관찰되었다.[12][13][14] 또한, 해수 표면부터 200 m까지 분포한다는 점에서, 빛이 적거나 빛의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4][12][15] 결과적으로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북극해부터 남극해까지, 해안부터 심해까지 넓은 범위에서 서식하며,[3][16] 이 조건이 만족하는 지역에는 거의 확실하게 서식하고, 총 석회비늘편모류 개체수 중 20~50% 가량을 차지한다.[3][12][17][18]

대규모 대증식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해당 지역의 식물성 플랑크톤 수의 75% 이상을 차지할 정도까지 개채 수가 증가하며,[11] 대증식 시 전지구적 기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탄산 칼슘디메틸설파이드를 대량으로 공급한다.[19] 대증식이 일어나면 코콜리드가 반사하는 빛의 양이 증가해, 해수 표면이 하얗게 보이게 된다. 이를 이용해 위성 사진을 이용하여 대증식 지역을 찾을 수 있다.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대증식은 해양의 반사율에도 영향을 준다. 빛의 산란이 증가하면 깊이당 빛이 지나가야 하는 경로가 증가하여, 빛의 흡수가 늘어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20] 또한, 해저층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서, 다른 석회비늘편모류와 마찬가지로 다른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생명지구과학적 영향[편집]

기후 변화[편집]

다른 식물성 플랑크톤과 마찬가지로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는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한다. 하지만 모든 석회비늘편모류는 석회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또한 이산화 탄소를 해양에서 배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는지, 해양 산성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해양 온도 유지[편집]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 대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태양광 산란은 태양빛을 반사시킴으로서 열이 대기 중으로 다시 돌아가게끔 하며, 동시에 남은 열이 해양 표면에 붙잡히게끔 한다. 대기와 열을 교환하는 것은 해양 표면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해수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통일된 견해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사진[편집]

각주[편집]

  1. Okada, Hisatake (1973). “The distribution of oceanic coccolithophorids in the Pacific”. 《Deep Sea Research and Oceanographic Abstracts》 (영어) 20 (4): 355–374. Bibcode:1973DSRA...20..355O. doi:10.1016/0011-7471(73)90059-4. 
  2. Charalampopoulou, Anastasia (2011) Coccolithophores in high latitude and Polar regions: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composition, calcific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University of Southampton, School of Ocean and Earth Science, Doctoral Thesis, 139pp.
  3. McIntyre, Andrew (1967). “Modern coccolithophoridae of the atlantic ocean—I. Placoliths and cyrtoliths”. 《Deep Sea Research and Oceanographic Abstracts》 (영어) 14 (5): 561–597. Bibcode:1967DSRA...14..561M. doi:10.1016/0011-7471(67)90065-4. 
  4. Boeckel, Babette; Baumann, Karl-Heinz (2008년 5월 1일). “Vertical and lateral variations in coccolithophore community structure across the subtropical frontal zone in the South Atlantic Ocean”. 《Marine Micropaleontology》 67 (3–4): 255–273. Bibcode:2008MarMP..67..255B. doi:10.1016/j.marmicro.2008.01.014. 
  5. Thierstein, H. R.; Geitzenauer, K. R.; Molfino, B.; Shackleton, N. J. (1977년 7월 1일). “Global synchroneity of late Quaternary coccolith datum levels Validation by oxygen isotopes”. 《Geology》 (영어) 5 (7): 400–404. Bibcode:1977Geo.....5..400T. doi:10.1130/0091-7613(1977)5<400:gsolqc>2.0.co;2. ISSN 0091-7613. 
  6. Paasche, E. (2001). “A review of the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Prymnesiophycea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growth, coccolith formation, and calcification-photosynthesis interactions”. 《Phycologia》 40 (6): 503–529. doi:10.2216/i0031-8884-40-6-503.1. S2CID 84921998. 
  7. Bijma, J.; 외. (2001). “Primary signa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Report from Working Group 2” (PDF).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2 (1): n/a. Bibcode:2001GGG.....2.1003B. doi:10.1029/2000gc000051. 
  8. Findlay, C. S; Giraudeau, J (2000년 12월 1일). “Extant calcareous nannoplankton in the Australian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austral summers 1994 and 1995)”. 《Marine Micropaleontology》 40 (4): 417–439. Bibcode:2000MarMP..40..417F. doi:10.1016/S0377-8398(00)00046-3. 
  9. Cook, S.S.; 외. (2011). “Photosynthetic pigment an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two Southern Ocean morphotypes of Emiliania Huxleyi (Haptophyta)”. 《Journal of Phycology》 47 (3): 615–626. doi:10.1111/j.1529-8817.2011.00992.x. PMID 27021991. S2CID 25399383. 
  10. Hagino, K.; 외. (2011). “New evidence for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cosmopolitan coccolithophore Emiliania huxleyi (Prymnesiophyceae) from the cox1b-atp4 genes”. 《Journal of Phycology》 47 (5): 1164–1176. doi:10.1111/j.1529-8817.2011.01053.x. PMID 27020197. S2CID 24499896.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Holligan, P. M.; 외. (1993). “A biogeochemical study of the coccolithophore, Emiliania huxleyi, in the North Atlantic”. 《Global Biogeochem. Cycles》 7 (4): 879–900. Bibcode:1993GBioC...7..879H. doi:10.1029/93GB01731. 
  12. Winter, A., Jordan, R.W. & Roth, P.H., 1994. Biogeography of living coccolithophores in ocean waters. In Coccolithophore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61–177.
  13. Hagino, Kyoko; Okada, Hisatake (2006년 1월 30일). “Intra- and infra-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 in selected coccolithophore species in the equatorial and subequatorial Pacific Ocean” (PDF). 《Marine Micropaleontology》 58 (3): 184–206. Bibcode:2006MarMP..58..184H. doi:10.1016/j.marmicro.2005.11.001. hdl:2115/5820. 
  14. Henderiks, J; Winter, A; Elbrächter, M; Feistel, R; Plas, Av der; Nausch, G; Barlow, R (2012년 2월 23일). “Environmental controls on Emiliania huxleyi morphotypes in the Benguela coastal upwelling system (SE Atlantic)”.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영어) 448: 51–66. Bibcode:2012MEPS..448...51H. doi:10.3354/meps09535. ISSN 0171-8630. 
  15. Mohan, Rahul; Mergulhao, Lina P.; Guptha, M. V. S.; Rajakumar, A.; Thamban, M.; AnilKumar, N.; Sudhakar, M.; Ravindra, Rasik (2008년 4월 1일). “Ecology of coccolithophores in the Indian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Marine Micropaleontology》 67 (1–2): 30–45. Bibcode:2008MarMP..67...30M. doi:10.1016/j.marmicro.2007.08.005. 
  16. Hasle, G.R., 1969. An analysis of the phytoplankton of the Pacific Southern Ocean: Abundanc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during the Brategg Expedition, 1947-1948, Universitetsforlaget.
  17. Beaufort, L.; Couapel, M.; Buchet, N.; Claustre, H.; Goyet, C. (2008년 8월 4일). “Calcite production by coccolithophores in the south east Pacific Ocean”. 《Biogeosciences》 5 (4): 1101–1117. Bibcode:2008BGeo....5.1101B. doi:10.5194/bg-5-1101-2008. ISSN 1726-4189. 
  18. Poulton, A.J.; 외. (2010). “Coccolithophore dynamics in non-bloom conditions during late summer in the central Iceland Basin (July–August 2007)” (PDF). 《Limnology and Oceanography》 55 (4): 1601–1613. Bibcode:2010LimOc..55.1601P. doi:10.4319/lo.2010.55.4.1601. S2CID 53312384. 
  19. Westbroek, Peter (1993). “A model system approach to biological climate forcing. The example of Emiliania huxleyi”. 《Global and Planetary Change》 (영어) 8 (1–2): 27–46. Bibcode:1993GPC.....8...27W. doi:10.1016/0921-8181(93)90061-R. 
  20. Seitz, R (2011). “Bright water: Hydrosols, water conservation, and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 105 (3–4): 365–381. arXiv:1010.5823. Bibcode:2011ClCh..105..365S. doi:10.1007/s10584-010-9965-8. S2CID 16243560. 
참고 문헌
  • Amouroux, D.; P. S. Liss; E. Tessier; M. Hamren-Larsson; O. F. X. Donard (2001). “Role of oceans as biogenic sources of selenium”.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89 (3–4): 277–283. Bibcode:2001E&PSL.189..277A. doi:10.1016/S0012-821X(01)00370-3. 
  • Andreae, M. O.; P. J. Crutzen (1997년 5월 16일). “Atmospheric aerosols: biogeochemical sources and role in atmospheric chemistry”. 《Science》 276 (5315): 1052–1058. doi:10.1126/science.276.5315.1052. S2CID 40669114. 
  • Araie, H.; T. Obata; Y. Shiraiwa (2003). “Metabolism of selenium in a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J Plant Res》 116: 119. 
  • Boisson, F.; C. S. Karez; M. Henry; M. Romeo; M. Gnassia-Barelli (1996).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n the marine coccolithophorid Cricosphaera elongata cultured in the presence of selenium or cadmium”. 《Bulletin de l'Institut Océanographique(Monaco)》: 239–247. 
  • Dacey, J. W. H.; S. Wakeham (1986년 9월 19일). “Oceanic dimethylsulfide: Production during zooplankton grazing on phytoplankton”. 《Science》 233 (4770): 1314–1316. Bibcode:1986Sci...233.1314D. doi:10.1126/science.233.4770.1314. PMID 17843360. S2CID 10872038. 
  • Dambara, A.; Y. Shiraiwa (1999). “Requirement of selenium for the growth and selection of adequate culture media in a marine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Bulletin of the Society of Sea Water Science, Japan》 53 (6): 476–484. 
  • Danbara, A.; Y. Shiraiwa (2007). “The requirement of selenium for the growth of marine coccolithophorids, Emiliania huxleyi, Gephyrocapsa oceanica and Helladosphaera sp. (Prymnesiophyceae)”. 《Plant and Cell Physiology》 40 (7): 762–766. doi:10.1093/oxfordjournals.pcp.a029603. 
  • DeBose, J. L.; S. C. Lema; G. A. Nevitt (2008년 3월 7일). “Dimethylsulfoniopropionate as a foraging cue for reef fishes”. 《Science》 319 (5868): 1356. Bibcode:2008Sci...319.1356D. doi:10.1126/science.1151109. PMID 18323445. S2CID 20782786. 
  • Doblin, M. A.; S. I. Blackburn; G. M. Hallegraeff (1999). “Growth and biomass stimul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by dissolved organic substanc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36 (1): 33–47. doi:10.1016/S0022-0981(98)00193-2. 
  • Fabry, V. J. (2003). 《Calcium carbonate production by coccolithophorid algae in long-term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Marcos (US). 
  • Howard, E. C.; 외. (2006년 10월 27일). “Bacterial taxa that limit sulfur flux from the ocean”. 《Science》 314 (5799): 649–652. Bibcode:2006Sci...314..649H. doi:10.1126/science.1130657. PMID 17068264. S2CID 41199461. 
  • Norici, A.; R. Hell; M. Giordano (2005). “Sulfur and primary production in aquatic environments: An ecological perspective”. 《Photosynthesis Research》 86 (3): 409–417. doi:10.1007/s11120-005-3250-0. PMID 16307310. S2CID 13019942. 
  • Obata, T.; Y. Shiraiwa (2005). “A novel eukaryotic selenoprotein in the haptophyte alga Emiliania huxleyi”.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0 (18): 18462–8. doi:10.1074/jbc.M501517200. PMID 15743763. 
  • Obata, T.; H. Araie; Y. Shiraiwa (2003). “Kinetic studies on bioconcentration mechanism of selenium by a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Plant Cell Physiology》 44: S43. 
  • Obata, T.; H. Araie; Y. Shiraiwa (2004). “Bioconcentration mechanism of selenium by a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Plant Cell Physiology》 45 (10): 1434–1441. doi:10.1093/pcp/pch164. PMID 15564527. 
  • Read, B.; J. Kegel; MJ. Klute (2013). “Pan genome of the phytoplankton Emiliania underpins its global distribution”. 《Nature》 499 (7457): 209–213. Bibcode:2013Natur.499..209.. doi:10.1038/nature12221. PMID 23760476. 
  • Shiraiwa, Y. (2003). “Physiological regulation of carbon fixation in the photosynthesis and calcification of coccolithophorids”.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B》 136 (4): 775–783. doi:10.1016/S1096-4959(03)00221-5. PMID 14662302. 
  • Sorrosa, J. M.; M. Satoh; Y. Shiraiwa (2005). “Low temperature stimulates cell enlargement and intracellular calcification of coccolithophorids”. 《Marine Biotechnology》 7 (2): 128–133. doi:10.1007/s10126-004-0478-1. PMID 15782289. S2CID 7531881. 
  • Todd, J. D.; 외. (2007년 2월 2일). “Structural and regulatory genes required to make the gas dimethyl sulfide in bacteria”. 《Science》 315 (5812): 666–669. Bibcode:2007Sci...315..666T. doi:10.1126/science.1135370. PMID 17272727. S2CID 22472634. 
  • Vallina, S. M.; R. Simo (2007년 1월 26일).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MS and the solar radiation dose over the global surface ocean”. 《Science》 315 (5811): 506–508. Bibcode:2007Sci...315..506V. doi:10.1126/science.1133680. PMID 17255509. S2CID 37488668. 
  • Vila-Costa, M.; 외. (2006년 10월 27일). “Dimethylsulfoniopropionate uptake by marine phytoplankton”. 《Science》 314 (5799): 652–654. Bibcode:2006Sci...314..652V. doi:10.1126/science.1131043. PMID 17068265. S2CID 27541024. 
  • Volkman, J. K.; S. M. Barrerr; S. I. Blackburn; E. L. Sikes (1995). “Alkenones in Gephyrocapsa oceanica: Implications for studies of paleoclimat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9 (3): 513–520. Bibcode:1995GeCoA..59..513V. doi:10.1016/0016-7037(95)00325-T.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