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모항성
이름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적경 01h 36m 48s
적위 +41° 24 ′ 38″
거리 13.47 파섹
겉보기 등급 4.09
궤도요소
평균거리(AU) 0.83
이심률 0.254
공전주기 241.52 일
궤도경사각 - 도
각거리 0.061618 초각
물리적 특징
질량 1.98 MJ
반지름 - RJ
중원소함량 0.09 [Fe/H]
발견 정보
발견일 1999 년
상태 논문 심사 통과
외계 행성 목록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태양과 비슷한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의 공전 주기는 241.2일이다. 1999년 4월 제오프리 마시와 폴 버틀러 연구진이 발견했으며,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은 두 개 이상의 행성을 거느린 첫 번째 평범한 항성으로 기록되었다.(‘평범한 항성’의 경우에 국한한 것이다. 모든 항성으로 대상을 확장하면, 여러 개의 행성을 거느린 최초의 항성은 펄사 PSR 1257+12이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항성계 내에서 c는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두 번째로 가깝다.

발견[편집]

알려져 있는 대다수의 외계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시선속도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이는 어머니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의 스펙트럼도플러 효과를 정확히 관측하여 이루어진 결과이다. c가 발견되었을 때는 이미 뜨거운 목성 b가 먼저 발견된 상태였다. 그러나 1999년 시선속도 곡선으로 b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음이 드러났다.

1999년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의 과학자들은 이 항성이 세 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독립적으로 내렸다.[1] 두 개의 행성들에는 각각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의 이름이 붙었다.

공전궤도 및 질량[편집]

지금까지 발견된 많은‘긴 공전주기를 지닌 외계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c의 궤도 역시 큰 이심률을 갖고 있다. 이 이심률은 우리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보다 훨씬 더 크며, 심지어 명왕성보다도 큰 값이다.[2] 만약 c를 우리 태양계에 위치시킨다면, 그 궤도는 지구금성 사이에서 형성될 것이다.

c의 궤도 이심률이 커진 이유는 또 다른 행성 d에서 받는 중력적 섭동 때문이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와 지금은 행성계를 이탈한 것으로 보이는 과거 미지의 행성 둘 사이의 중력적 상호 작용 때문에 d는 어머니 항성으로 가까이 옮겨갔으며 이 때문에 c의 궤도는 찌그러지게 되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c의 궤도는 6700년 주기로 원래의 둥근 궤도로 회귀한다고 한다.[3]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를 발견한 기법은 시선속도법으로, 이 방법에 의하면 궤도경사각을 알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알려진 이 행성의 질량은 어디까지나 최솟값이다. c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1.97배로, 궤도경사각에 따라 실제 질량은 훨씬 더 클 수도 있다.

특징[편집]

행성의 질량이 크기 때문에 c는 가스 행성으로 생각된다. 간접적 방법을 통해 발견했기 때문에 이 행성의 실제 조성물질, 표면 온도 및 반지름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행성의 조성물질이 목성과 비슷하며 화학적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하면, c의 상층부 대기에는 구름이 전혀 없을 것으로 보인다.[4]

참고 문헌[편집]

  1. Butler, R.; 외. (1999). “Evidence for Multiple Companions to υ Andromedae”. 《The Astrophysical Journal》 526: 916 – 927. doi:10.1086/30803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Butler, R.; 외. (2006).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646: 505 – 522. doi:10.1086/5047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web version)
  3. Ford, E.; 외. (2005). “Planet-planet scattering in the upsilon Andromedae system”. 《네이처434: 873 – 876. doi:10.1038/nature0342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Sudarsky, D.; 외. (2003). “Theoretical Spectra and Atmospheres of Extrasolar Giant 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588 (2): 1121 – 1148. doi:10.1086/374331.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