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나시에보 문화
![]() Afanasevo culture | |
![]() 주황색이 아파나시에보 문화 | |
지역 | 유라시아 스텝 |
---|---|
시대 | 청동기 시대 |
연대 | 기원전 3500년경-기원전 2500년경 |
후행 문화 | 안드로노보 문화, 오쿠네보 문화, 파쥬류크 문화, 카라수크 문화 |
아파나시에보 문화(영어: Afanasievo culture)는 기원전 3300년부터 기원전 2500년까지 미닌스크 분지와 알타이산맥을 점령한 남시베리아의 초기 고고학 문화이다. 이름은 인근에 있는 산인 고라 아파나시에바(Gora Apanasieva)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아파나시예프산은 오늘날 러시아의 하카시야주 보그라드스키군에 있는 산이다.[1]
데이비드 W. 안토니는 아파나시에보의 인구가 기원전 3700년에서 3300년 사이에 돈볼가 지역의 얌나야 레핀 문화 이전의 유라시아 스텝을 건너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믿는다.[2] 지리적 위치와 연대 때문에, 앤서니와 레오 클레인, J. P. 말로리, 빅터 H. 메이어와 같은 초기 학자들은 아파나시에보어를 토하라조어와 연결시켰다.[3][4][5][6]
연대 측정[편집]
전통적인 고고학적 이해는 기원전 2000-2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목기를 기원전 3705년, 인간의 유해를 기원전 2874년의 것으로 추정한다.[7] 이 날짜 중 가장 빠른 날짜설은 이제 거부되었으며, 문화가 시작된 연대는 기원전 3300년경으로 추정된다.[8]
문화[편집]
이 문화에서는 대량 무덤이 일반적이지 않았다.[9] 아파나시에보 고분에는 일반적으로 구덩이에서 등을 구부린 고인과 함께 단일 및 소규모 공동 매장이 포함된다. 매장 구덩이는 직사각형, 때로는 원형으로 돌담으로 표시된 인클로저로 배열된다. 매장은 지역 사회 집단을 구성하는 4~5개의 울타리가 있는 가족 매장지를 나타낸다고 주장되어 왔다.
아파나시에보 경제에는 소, 양, 염소가 포함되었다. 야생이든 가축이든 말의 유해도 발견되었다. 아파나시에보인들은 이 지역에서 최초의 식량 생산자가 되었다. 도구는 돌(도끼, 화살촉), 뼈(낚싯바늘, 촉) 및 뿔로 제작되었다. 녹용 조각 중에는 말의 뺨 조각으로 확인된 물체가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바퀴 달린 차량의 예술적 표현은 아파나시에보 문화에 기인한다. 구리, 은, 금 장신구도 발견되었다.[3]
물리적 인류학[편집]
유전학[편집]
아파나시에보 개체의 전체 게놈 분석은 그들이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개체군과 유 전적으로 매우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파나시에보와 얌나야 인구는 둘 사이에 지리적으로 위치한 그룹보다 서로 훨씬 더 유사했다(아파나시에보 샘플과 달리 동부 시베리아 수렵 채집인의 많은 조상을 가지고 있음). 이는 아파나시에보 문화가 서부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이주를 통해 알타이 지역으로 유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초기에는 현지 인구와 거의 혼합되지 않았다.[10][11][12] 얌나야와 아파나시에보 인구의 유전적 근접성은 단부모 하플로그룹, 특히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의 우세에서도 반영된다.[12][a]
알타이 산맥에서 대초원에서 파생된 아파나시에보 조상은 동쪽으로 몽골로, 남쪽으로 신장으로 퍼졌다. 아파나시에보 관련 조상은 알타이 지역과 몽골에서 청동기 시대에 사라졌고 동쪽과 남서쪽에서 이주하는 인구의 도착으로 대체되거나 흡수되었다. 신장에서는 아파나시에보 관련 조상이 적어도 기원전 1000년 후반까지 지속되었다.[13][14]
질병[편집]
아파나시에보 고라에서는 사람의 치아에서 페스트균의 두 변종을 추출했다. 하나는 기원전 2909-267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다른 하나는 기원전 2887-267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둘 다 일곱 사람의 같은 (대량) 무덤에서 나온 것이며 거의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9] 이 균주의 유전자는 사람의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플라젤린을 발현한다. 즉 선페스트가 아니었다.[15]
다른 문화와의 연결 가능성[편집]
금속 사용, 말, 바퀴 달린 탈것, 쿠르간 스텝 문화와의 문화적 관계와 같은 초기 인도유럽인의 특성으로 인해 아파나시에보인은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 유전적 연구는 아파나시에보와 타림 미라 사이의 유전적 차이뿐만 아니라 아파나시에보와 후속 시베리아 기원 오쿠네보 문화 사이의 불연속성을 입증했다.[16]
많은 학자들이 아파나시에보 문화가 중국에 야금술이 도입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17][18]
후계자[편집]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오쿠네브 문화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이는 팔레오시베리아 지역의 비 인도 유럽 산림 문화가 지역으로 확장된 것으로 간주된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쿠네브 문화는 초기 아파나시에보 문화의 영향을 보여준다.[10] 이 지역은 이후 각각 안드로노보, 카라수크, 타가르 및 타슈니크 문화에 의해 점령되었다.[19][20]
인용주[편집]
- ↑ Allentoft et al. (2015) sampled four females from the Afanasievo culture, two individuals carried mtDNA haplogroup J2a2a, one carried T2c1a2, and one carried U5a1a1. Narasimhan et al. (2019) analyzed the remains of 24 individuals ascribed to the Afanasievo culture. Of the 14 samples of Y-DNA extracted, 10 belonged to R1b1a1a2a2, 1 to R1b1a1a2a, and 3 belonged to Q1a2. The mtDNA samples belonged to subclades of U (particularly of U5), along with T, J, H and K.
참조주[편집]
- ↑ Vadetskaya, E.; Polyakov, A.; Stepanova, N. (2014). 《The set sites of the Afanasievo culture》. Barnaul: Azbuka.
- ↑ Anthony, David W. (2010년 7월 26일).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7–310쪽. ISBN 978-1400831104.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allory, J. P. (1997).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4–6쪽. ISBN 1884964982. 2015년 2월 15일에 확인함.Mallory, J. P. (1997).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pp. 4–6. ISBN 1884964982. Retrieved February 15, 2015.
- ↑ Anthony, David W. (2010년 7월 26일).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4–265, 308쪽. ISBN 978-1400831104.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Mallory, J. P.; Mair, Victor H. (2000). 《The Tarim Mummies: Ancient China and the Mystery of the Earliest Peoples from the West》. London: Thames & Hudson. ISBN 0-500-05101-1.
- ↑ Клейн Л. С. Миграция тохаров в свете археологии // Stratum plus. Т. 2. С. 178—187.
- ↑ Svyatko, S. (2009). “New Radiocarbon Dates and a Review of the Chronology of Prehistoric Populations from the Minusinsk Basin, Southern Siberia, Russia”. 《Radiocarbon》 2009 (1): 243–273 & appendix I p.266. doi:10.1017/S0033822200033798.
- ↑ Anthony, D. W. (2013). “Two IE phylogenies, three PIE migrations, and four kinds of steppe pastoralism” (PDF). 《Journal of Language Relationship》 9: 1–21. doi:10.31826/jlr-2013-090105.
- ↑ 가 나 Rasmussen, S15-16. These samples are marked "RISE509" and "RISE511".
- ↑ 가 나 Allentoft, ME (2015년 6월 11일).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PDF). 《Nature》 (Nature Research) 522 (7555): 167–172. Bibcode:2015Natur.522..167A. doi:10.1038/nature14507. PMID 26062507.Allentoft, ME (June 11, 2015).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PDF). Nature. Nature Research. 522 (7555): 167–172. Bibcode:2015Natur.522..167A. doi:10.1038/nature14507. PMID 26062507. S2CID 4399103.
- ↑ Mathieson, Iain (2015년 11월 23일). “Genome-wide patterns of selection in 230 ancient Eurasians”. 《Nature》 (Nature Research) 528 (7583): 499–503. Bibcode:2015Natur.528..499M. doi:10.1038/nature16152. PMC 4918750. PMID 26595274.
- ↑ 가 나 Narasimhan, Vagheesh M. (2019년 9월 6일).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65 (6457): eaat7487. doi:10.1126/science.aat7487. PMC 6822619. PMID 31488661.
- ↑ Zhang, F; Ning, C; Scott, A; 외. (2021). “The genomic origins of the Bronze Age Tarim Basin mummies”. 《Nature》 599 (7884): 256–261. Bibcode:2021Natur.599..256Z. doi:10.1038/s41586-021-04052-7. PMC 8580821. PMID 34707286.
- ↑ Wang, Chuan-Chao; Yeh, Hui-Yuan; Popov, Alexander N.; Zhang, Hu-Qin; Matsumura, Hirofumi; Sirak, Kendra; Cheronet, Olivia; Kovalev, Alexey; Rohland, Nadin (March 2021).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Nature》 (영어) 591 (7850): 413–419. Bibcode:2021Natur.591..413W. doi:10.1038/s41586-021-03336-2. ISSN 1476-4687. PMC 7993749. PMID 33618348.
- ↑ Rasmussen, 575.
- ↑ Hollard, Clémence; 외. (2018). “New genetic evidence of affinities and discontinuities between bronze age Siberian populations”. 《Am J Phys Anthropol》 167 (1): 97–107. doi:10.1002/ajpa.23607. PMID 29900529.
- ↑ Baumer, Christoph (2012년 12월 11일).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I.B. Tauris. 122쪽. ISBN 978-1780760605.
- ↑ Keay, John (2009년 10월 1일). 《China: A History》. Basic Books. ISBN 978-0465020027.
- ↑ “Central Asian Arts: Neolithic and Metal Age cultur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3월 2일에 확인함.
- ↑ “Stone Age: European cultur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3월 2일에 확인함.
추가 자료[편집]
- H. P. Francfort, The Archeology of Protohistoric Central Asia and the Problems of Identifying Indo-European and Uralic-Speaking populations (review 보관됨 2007-03-12 - 웨이백 머신) in : Persée 2003: Archéologie de l'Asie intérieure de l'âge du bronze à l'âge du fer
- Haywood, Antohny (2012년 5월 2일). 《Siberia: A Cultural History》. Andrews UK Limited. ISBN 978-1908493378.
- Hollard, C. (2014년 9월 1일). “Strong genetic admixture in the Altai at the Middle Bronze Age revealed by uniparental and ancestry informative markers”.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American Academy of Forensic Sciences) 12: 199–207. doi:10.1016/j.fsigen.2014.05.012. PMID 25016250. 2020년 1월 8일에 확인함.
- Kozshin, P (1970). “O psaliach is afanasievskih mogil”. 《Sovetskaya Archeologiya》 4: 189–93.
- Einführung in die Ethnologie Zentralasiens Marion Linska, Andrea Handl, Gabriele Rasuly-Paleczek (2003) (.doc version)
- Sinor, Denis (1990년 3월 1일).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43041.
- Zvelebil, Marek (1986년 11월 13일). 《Hunters in Transition: Mesolithic Societies of Temperate Eurasia and Their Transition to Far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68680.0521268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