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투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시투인(버마어: စစ်တုရင Sittuyin[1])은 8세기 경에 차투랑가에서 직계 파생하여 생겨난 변형 체스 게임의 일종이다. 미얀마(버마)의 장기이다.
판[편집]
시투인 판은 8열 8행의 64칸으로 이루어져 있고, 체스 판과 달리 색을 번갈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판을 가로지르는 두 대각선이 있다.
기물[편집]
- 민기(Min-gyi, 玉)는 체스의 킹에 해당하며, 행마는 아무 방향으로 한 칸 움직일 수 있다.
- 싯케(Sit-ke, 將)는 체스의 퀸에 해당하며, 행마는 샤트란지의 퍼즈와 마찬가지로 대각선으로 1칸 움직일 수 있다.
- 신(Sin, 象)은 체스의 비숍 또는 장기의 상에 해당하며, 행마는 쇼기의 은장과 마찬가지로 대각선 및 전방으로 1칸 움직일 수 있다.
- 민(Myin, 馬)은 체스의 나이트, 장기의 마에 해당하며, 행마는 체스의 나이트에 가깝다.
- 야타(Yahhta, 車)는 체스의 룩, 장기의 차에 해당하며, 행마는 체스의 룩에 가깝다.
- 네(Nè, 兵)는 체스의 폰에 해당하며, 움직임은 같다.
a | b | c | d | e | f | g | h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
7 | 7 | ||||||||
6 | 6 | ||||||||
5 | 5 | ||||||||
4 | 4 | ||||||||
3 | 3 | ||||||||
2 | 2 | ||||||||
1 | 1 | ||||||||
a | b | c | d | e | f | g | h |
규칙[편집]
네의 위치는 고정되며, 야타는 바닥 줄의 아무데나, 다른 말은 자기 진영의 아무데나 놓는다. 공식 시합에서는 상대방의 기물 위치를 다 정할 때까지 볼 수 없다.
게임은 3단계로 진행된다.
- 기물의 위치 정하기, 여덟 수 동안 자기 기물을 아무데로나 놓는다. 정식 대회에서는 이 기간 동안 가림판으로 가려진다.
- 기물 옮기기 한쪽이 폰을 옮기기 전까지 계속된다. 자기 기물을 아무 빈칸으로나 옮긴다
- 네를 옮기는 것으로 게임이 시작된다.
게임의 목표는 체크메이트이며, 스테일메이트는 패배이다. 네는 대각선상에 있을 때만 승격(프로모션)할 수 있고, 오직 싯케로만 가능하며, 싯케가 상대에게 잡혔을 때만 승격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영어) 시투인 - 보드게임긱 평점 7.5/10.00
- Sittuyin, by Hans L. Bodlaender.
- Sittuyin, the Burmese Chess, by Jean-Louis Cazaux.
- Burmese traditional chess by Dr. Peter Nicolaus.
각주[편집]
![]() |
이 글은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