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탈링 방정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탈링 원리(Starling principle)는 혈액과 조직 사이의 세포외액 이동이 미세혈관 내부의 혈장과 외부의 간질액 사이의 유체 정지 압력(hydrostatic pressure, 정수압)과 콜로이드 삼투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Starling이 사망한 지 수년 후에 제안된 스탈링 방정식(Starling equation)은 그 관계를 수학적 형태로 설명하며 많은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반투막에 적용될 수 있다. 고전적인 스탈링 원리와 이를 설명하는 방정식은 최근 몇 년 동안 수정되고 확장되었다.

방정식[편집]

고전적인 Starling 모델의 다이어그램; 세동맥은 왼쪽에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정맥은 오른쪽에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간질성 용질(주황색)의 농도는 세동맥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고전적인 Starling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

여과 계수[편집]

반사 계수[편집]

대략적인 값[편집]

특정 기관[편집]

신장[편집]

[편집]

임상적 중요성[편집]

역사[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Levick, J R (2004년 6월 15일). “Revision of the Starling principle: new views of tissue fluid balance”. 《The Journal of Physiology》 557 (Pt 3): 704. doi:10.1113/jphysiol.2004.066118. ISSN 0022-3751. PMC 1665155. PMID 1513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