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박새
![]() | ||||||||||||||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oecile palustris 린네 | ||||||||||||||
![]() 쇠박새의 분포 |
쇠박새(marsh tit, 울음소리 (도움말·정보))는 박새과에 속하며 학명은 Poecile palustris이다. 몸길이 약 11cm로 머리꼭대기·턱밑·멱은 검고, 뺨은 희다. 부리는 굵고 튼튼하며, 암수가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삼림과 정원 등지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떼를 지어 다닌다. 산란기는 4-5월이며, 7-8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알은 품은 지 13일이면 부화하고, 알에서 나온 새끼는 16-17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주로 곤충을 먹지만, 거미와 나무열매도 먹는다. 우리나라·일본·중국·유럽에 분포한다.
아종[편집]
아종은 다음과 같이 10개로 인식된다:[1]
- P. p. dresseri (Stejneger, 1886)
- P. p. palustris (Linnaeus, 1758)
- P. p. italicus (Tschusi & Hellmayr, 1900)
- P. p. stagnatilis (Brehm, CL, 1855)
- P. p. kabardensis (Buturlin, 1929)
- P. p. brevirostris Taczanowski, 1872
- P. p. ernsti (Yamashina, 1933)
- P. p. hensoni (Stejneger, 1892)
- P. p. jeholicus (Kleinschmidt, O & Weigold, 1922)
- P. p. hellmayri Bianchi, 190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Gill, Frank; Donsker, David, 편집. (2018). “Waxwings and allies, tits, penduline tits”. 《World Bird List Version 8.1》.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Blasco-Zumeta, Javier; Heinze, Gerd-Michael. “Marsh tit” (PDF). 《Identification Atlas of Aragon's Birds》. 2019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 Xeno-canto: audio recordings of the marsh 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