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붓꽃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솔붓꽃(Iris ruthenica)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Iris ruthenica Ker Gawl. | ||||||||||||||
이명 | ||||||||||||||
Iris ruthenica var. nana Maxim. |
솔붓꽃(Iris ruthenica)은 백합목 붓꽃과에 속하는 외떡잎식물 여러해살이풀로써 대한민국 멸종위기 식물이다.[1]
특징[편집]
솔붓꽃의 꽃은 4~5월에 피며 색상은 보라색이며 꽃자루 끝에 두개씩 달린다. 높이는 8~13cm로 자라며, 잎은 비함몰상 타원형으로 길이는 15cm 정도 나비 4mm정도 나며, 열매는 둥근 모양이다. 솔붓꽃은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로 지정 되어있다.[2][3][4]
분포 지역[편집]
솔붓꽃은 대한민국 지역인 대구, 충남, 경기의 일부 지역과 전라남도 해안과 중국에서 자란다.[2][4][3][5]
쓰임새[편집]
솔붓꽃의 뿌리는 솔 제조용과 뿌리줄기는 약재로 쓰인다.[2][3]
이름[편집]
솔붓꽃이란 이름은 이 풀의 뿌리를 말려 밥솥을 닦을 때 솔로 쓰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가는 붓꽃, 자포연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대한민국과 만주의 습지에 자라는 풀로 소사간화, 소사간이라 불렀으나 현재는 부채붓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6]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 ↑ “우리가 보호해야 할 생물들. 환경부 지정 246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솔붓꽃”. 두산백과.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솔붓꽃”. 아카데미서적.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한국의 붓꽃, 솔붓꽃”.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멸종위기 야생식물 '솔붓꽃' 전라남도 해안서도 발견”. 연합뉴스. 2013년 5월 9일.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김태정.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꽃 백가지2》. 현암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솔붓꽃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