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쟁이
![]() | ||||||||||||
![]() | ||||||||||||
생물 분류![]() | ||||||||||||
---|---|---|---|---|---|---|---|---|---|---|---|---|
| ||||||||||||
아과 | ||||||||||||
|
소금쟁이(water strider)는 노린재아목에 속하는 곤충 중에서 소금쟁이과(Gerridae)에 속한 종들을 말한다. 주요 서식지는 극지방을 제외하고, 한국, 일본, 시베리아, 중국 대륙 등의 동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이다. 몸 길이는 수컷이 11~14mm, 암컷이 13~16mm 정도이고, 몸 색깔은 진한 갈색이나 검은색을 띤다. 주요 서식지는 연못, 개천, 늪지 등이다.
생태[편집]
소금쟁이는 주로 물고기 시체나 곤충의 체액을 먹고 사는 육식동물이며, 육상 곤충이 물에 빠졌을 땐 수면의 물결을 통해 위치를 알아내 사냥한다. 소금쟁이는 각각의 세력권을 가지고 사는데, 자신의 둘레에 원을 그림으로서 영역 표시를 하고 다른 소금쟁이가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소금쟁이는 물 위를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살므로 세력권도 이동할 때마다 변한다. 소금쟁이는 날개를 이용해 비행이 가능하나, 날개가 신체에 비해 작아서 한번에 오랫동안 날 수는 없다. 물 속이나 낙엽 밑에서 겨울잠을 자며, 겨울잠에서 깨어난 암컷은 봄이나 여름에 물에 떠있는 물체 위에 알을 낳는다. 알은 애벌레를 거쳐 성충이 된다. 소금쟁이는 주로 수면 위에서 생활하는데, 소금쟁이가 물에 뜰 수 있는 이유는 다리 끝부분에 많은 잔털들이 나 있는데, 이 털에 기름기가 있어 물에 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잔털 속에 맺히는 많은 공기방울들에 의해 부력이 작용하는 것도 한 이유이다. 소금쟁이의 다리의 역할은 각각 다르다. 짧은 앞다리로는 먹이를 잡는데 사용하고, 가운뎃다리로는 노를 젓듯이 소용돌이를 일으켜 추진력을 얻는다. 그러므로, 가운뎃다리가 없으면 헤엄을 못 친다. 한편, 뒷다리는 방향타처럼 사용하는데, 뒷다리 하나가 없으면 방향을 잡지 못해 빙글빙글 돈다. 또한, 소금쟁이는 1초에 자기 몸 길이의 100배나 되는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1] 천적으로는 새, 물고기, 개구리가 있고, 동족을 먹기도 한다.[2]
분류[편집]
- 소금쟁이과 (Gerridae)
- Rhadadotarsinae
- Trepobatinae
- Halobatinae
- Ptilomerinae
- Cylindrostethinae
- Charmatometrinae
- Eotrechinae
- Gerrinae
각주[편집]
- ↑ 박미용 (2003년 9월 25일). “[과학이야기]소금쟁이 추진력 소용돌이서 나온다”. 《주간경향》.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권오길 (2019년 8월 17일). “[권오길이 쓰는 생명의 비밀] 물 위의 스케이터 ‘소금쟁이”.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사진첩[편집]
동영상[편집]
소금쟁이 소용돌이 패턴 실험 https://www.youtube.com/embed/eeyefu93t7A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소금쟁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곤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