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erplexing/작업장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분단을 다룬 대한민국의 영화[편집]

초기에 남북한의 분단과 그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소재로 한 영화는 체제 수호를 위해 만들어졌고출처필요, 남과 북, 자유주의공산주의의 대립을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접근했다.출처필요 영화를 끌고 가는 갈등도 체제간의 대립에 의해 결정되었고 인물의 심리적 복잡성도 크게 부각되지 못 했다.출처필요

하지만 80년대 들어선 코리안 뉴웨이브 영화들은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의 민주화 요구에 부응하며 반공 이데올로기가 아닌 민족의 현실을 근본적으로 재성찰하고자 했다.출처필요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은 도식적이던 이전 영화들과 달리 리얼리즘적인 태도를 취하며 역사의 진실을 다루고자 했다.출처필요 남북의 대립보다는 그에 희생된 인간들을 휴머니즘적 입장에서 그려냈다.출처필요 그러나 뉴웨이브 영화들은 역사적 현실을 자각하고 그를 비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출처필요, 대개 휴머니즘이란 모호한 입장에 빠짐으로서 오히려 역사를 추상화해버리는 역효과를 낳았다.출처필요

1990년대 중반 이후의 대한민국 영화는 리얼리즘적인 태도에서 한 발 물러나, 현실보다 영화의 형식을 우선하거나 영화를 통해 현실을 사유하게 된다.출처필요 역사와 현실에 대한 부채의식이 이전 영화에 비해 약하고 현실을 영화를 위한 최소한의 구실이 되기 쉽다. 출처필요강제규 감독의 《쉬리》는 남북의 역사적 현실이나 이데올로기는 영화적 쾌감을 위한 빌미가 된다.출처필요 여균동 감독의 《세상밖으로》는 남한 사회의 모순을 가로지르며 북상하는 세 인물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이 영화에서 분단과 현실의 문제는 알레고리 형식을 통해 우회적으로만 드러난다.출처필요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는 역사와 개인의 갈등보다는 개인들의 관계에, 이데올로기보다는 일상에 비중을 둔다. 이 영화에서 남북한 병사들의 친분을 쌓아온 세계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는 것이라 여겨졌을 때, 한 남한군 병사는 스스로 죽음을 택함으로써 그 세계를 지키려 한다.출처필요

  • 문재철, 〈새로운 방식으로 분단을 상상하기〉 - 《영화와 시선 1: 공동경비구역JSA》, 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