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hoisieon/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한의 개인숭배[편집]

북한 지배 가문인 김씨 일가를 둘러싼 개인 숭배 [1] 수십 년 동안 북한 에 존재해 왔으며 북한 문화 의 여러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북한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지만, 많은 탈북자들서방 방문객들은 북한의 전 지도자인 김일성김정일을 비판하거나 "충분한" 존경심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종종 엄격한 처벌을 받는다고 말한다. [3] [4] 공식적으로는 ' 조선의 영원한 지도자 '라고 불린다. 개인숭배는 1948년 김일성이 집권한 직후부터 시작되어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크게 확대됐다. 김씨 일가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확대된 것이다.

2014년 평양만수대대기념비김일성 (왼쪽)과 김정일 (오른쪽)이 묘사되어 있고 방문객들이 동상에 경의를 표하고 있다. [5]

다른 나라에서도 다양한 수준의 개인숭배가 있었지만, 북한의 개인숭배는 스탈린 이나 마오쩌둥 보다 더 널리 퍼져 있고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6] 숭배는 또한 지도자에 대한 국민의 감정, 헌신의 강도, [7] 숭배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정권 자체를 유지하는 데 있어 유교적 가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수행하는 핵심 역할로 특징 지어진다. 북한의 개인숭배는 북한 의 공식 이념인 주체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배경[편집]

평양 장대언덕에 있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벽화

서대숙 에 따르면, 김씨 가문을 둘러싼 개인숭배는 김씨 가문에 대한 전적인 충성과 복종을 요구하며, 대를 이어 일인 독재 국가를 수립하게 된다. [8] 1972년 북한 헌법은 김일성 주석의 사상을 국가의 유일한 지도원칙으로 삼고 그의 활동을 인민의 유일한 문화유산으로 담고 있다. [9] 뉴 포커스 인터내셔널(New Focus International) 에 따르면, 특히 김일성을 둘러싼 개인숭배가 가문의 세습을 합법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10] 박용수는 호주 국제 시사 저널 에서 "수령님의 위신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대한 지도자] 북한의 모든 것보다 최우선 순위에 있습니다." [11]

김일성은 일반적으로 자력갱생 으로 이해되는 주체 사상의 정치적 이념을 195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더욱 발전시켰다. 주체는 [12]김정일이 [13] 정치 를 발표할 때까지 온 나라의 모든 사상, 교육, 문화, 생활의 주된 지도자였다. 국가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14]

김정은은 2012년 4 월 제4차 당대회 에서 주체를 김정일이 발전시키고 심화시킨 김일성의 종합사상으로 더욱 규정하여 이를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명명하고 '유일한 지도사상'이라고 규정하였다. 당과 국가에 대한 이념이다. [15] [16] [17]

뉴포커스 인터내셔널(New Focus International) 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두 주요 언론사( 노동신문조선중앙통신 )는 "김씨 숭배"와 관련된 기사를 한 달에 약 300개 정도 발행한니. [18] 보고서는 또한 김정일의 사망 으로 일반 북한 주민들이 김일성을 둘러싼 막대한 양의 선전에 점점 싫증이 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18] 데일리NK 도 2015년에 젊은 세대가 외부 세계에 더 관심을 갖고 있고, 정부가 ' 장마당 ' 세대의 충성심을 확보하고 김정은 우상화를 조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19]

북한 정부는 개인숭배가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지도력뿐 아니라 주체 사회주의 철학을 진심으로 지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

김일성[편집]

아리랑 페스티벌 중 상영된 이미지
Pyongyang Mural
평양에서 연설하는 김일성의 모습을 담은 벽화
평양의 김일성과 망치, 붓, 낫 ( 조선로동당 의 상징)을 이상화한 벽화
북한 평양 김일성광장을 마주한 인민대학습당 벽에 걸린 대형 초상화

김일성을 둘러싼 개인숭배는 인민들 사이에 단연코 가장 널리 퍼져있다. [21] 김일성 에 대한 진정한 애정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정부에 의해 정치적 목적으로 조작되어 왔다. [22]

개인 숭배는 이미 1949년에 김일성 동상이 처음으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23] 김일성 숭배는 1953년 대 숙청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24] 1967년 김정일은 국가선전정보부에 임명되어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을 키우는 데 주력하기 시작했다. [25] 수령 ('위대한 지도자')라는 호칭이 습관적으로 사용된 것도 이 무렵이다. [26] 그러나 김일성은 이미 1949년부터 자신을 "위대한 지도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23].

탈북자 2인자인 황장엽은 북한이 '위대한 수령'이라는 유일한 이념에 의해 완전히 통치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소련탈스탈린화 시대, 즉 1956년 스탈린의 개인숭배가 해체되었을 때 소련에서 공부하는 일부 북한 학생들도 김일성의 개인숭배가 커지는 것을 비판하기 시작했고 그들이 귀국했을 때 " 수개월간 집중 심문을 받았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사람은 비밀리에 살해됐다”고 밝혔다. [27]

공식 전기에 따르면 김일성은 오랜 지도자 가문 출신이며 공식적인 북한 현대사는 그의 삶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8] 그는 한국 점령 말기에 (소련과 미국의 노력을 무시하고) 거의 단독으로 일본군을 격파하고 [29] 한국 전쟁 이후 국가를 재건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평생 동안 그는 "태양", "위대한 주석", "천상의 지도자" 등과 같은 존경받는 칭호 와 "쌍 영웅 금메달"과 같은 상을 받았다. [28] [30] [31] 이러한 직위와 상은 종종 스스로 부여되었으며 그의 아들도 그 관행을 반복했다. [31] 조선중앙통신(정부 관영 통신사)은 중국의 마오쩌둥,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 미국의 지미 카터 등 세계 지도자들이 김일성에 부여한 칭호와 애정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도했다. [30]

모든 주요 간행물(신문, 교과서 등)에는 김일성의 '교시'가 포함되어야 했다. [32] 또한, 그의 이름은 한 줄에 한 단어로 작성해야 하며, 페이지 나누기가 있거나 텍스트 줄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없다(예: 김일......성). [33]

북한 어린이들은 학교에서 모든 면에서 '수령님의 은총'으로 먹고 입고 양육받는다고 배운다. [34] 국내의 대형 초등학교에는 김일성을 주제로 한 강의실(김일성연구소)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이 객실은 잘 관리되어 있으며 고품질 자재로 지어졌으며 만경대 출생지의 모델이 있다. [35] 공공건물을 장식한 그의 형상 의 크기는 그것이 걸려 있는 건물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규정된다. [36] 그가 태어난 곳도 순례지가 되었다. [34]

강철환은 북한에서의 어린 시절을 이렇게 썼다.

어린 나와 내 친구들의 눈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이 어떤 비천한 인간적 기능에도 훼손되지 않은 완벽한 존재였다. 나는 우리 모두가 그랬듯이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소변을 보거나 배변을 하지 않았다고 확신했다. 누가 신의 그런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겠냐. [37]

김일성은 자신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에서 북한 지도자들을 추종자들에게 깨끗이 소개한 이유를 설명하는 아버지와 할아버지와 관련된 일화를 들려주었다. 회고록에 따르면, 김일성의 아버지는 어린 시절 술을 자주 마시던 스승에게 술을 가져오라고 자주 불려갔는데, 어느 날 그의 아버지는 술에 취한 스승이 도랑에 얼굴부터 빠지는 것을 목격했다. 이로 인해 어린 학생은 당황한 교사를 모욕하여 와인을 모두 포기하는 대결로 이어졌다. 김일성의 할아버지는 이 이야기의 교훈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의 할아버지의 의견은 다음과 같았다: 학생들이 선생님의 사생활을 자주 들여다보면 선생님에 대한 경외심을 잃게 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사는 먹지도 않고 소변도 보지 않는다는 확고한 믿음을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학교에서 권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그 뒤에서 생활해야 한다. [38]

전기(일대기) 작가 서대숙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칭찬의 규모는 종종 광신주의에 접해 있다. 그의 사진은 국기와 국장 앞에 전시된다. 애국가가 연주되기 전에 김일성 원수님의 노래가 연주된다. 최고의 고등 교육 기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가장 높은 파티 학교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노래, 시, 에세이, 이야기, 심지어 그의 이름을 딴 꽃까지 있다. [39]

김일성광장 본청사에 걸려 있는 김일성 주석의 공식 초상화.

김일성화 는 인도네시아 전대통령 수카르노 가 김일성의 이름을 딴 난초이다. [40] 1965년 보고르 식물원을 방문하던 중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2005년 김정일의 연설에 따르면 수카르노와 정원 원장은 꽃 이름을 김일성의 이름을 따서 짓기를 원했다고 한다. 김일성은 거절했지만 수카르노는 “아닙니다. 당신은 인류를 위해 막대한 공헌을 했기 때문에 큰 존경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41] 국내에서는 꽃(그리고 아래에 설명된 김정일화 )이 지도력을 우상화하는 데 사용된다. [42]

1994년 김일성이 사망 하자 김정일은 3년간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다. [43] 음주 등 애도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밝혀진 사람은 처벌을 받았다. [44] 그의 죽음 이후 그는 ' 영원한 대통령 '으로 불렸다. 1998년에는 이를 반영하기 위해 헌법이 개정되었다. [45]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김정일은 국가의 개인숭배를 크게 확대했다. [46]국기 반죽: 국가애도기간 중에는 북한의 국기가 반죽되어 거리에 게양되지 않으며, 공공 장소에서는 국기가 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연주 중지: 국가애도기간 동안에는 음악회, 공연, 축제 등의 문화적 활동이 중지된다. 국가애도 행사: 김일성 국가애도기간 동안에는 공식적인 추모 행사와 기념 행사가 열리며, 북한 국민은 이에 참석해야 한다. 국가애도 의상: 국가애도기간 동안 북한 국민들은 검정색 의상을 입고, 재킷이나 넥타이 등을 착용하지 않는다. 국가애도 기간 연장: 국가애도 기간은 필요에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김일성의 사망 기념일인 7월 8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추모 행사와 기념행사가 진행된다.

1997년에는 김일성 탄생(1912년 4월 15일)을 1년으로 하는 주체연대제가 도입되어 그레고리력을 대체하게 되었다. [47] [48] 따라서 2023 년은 주체 112 년(0년은 없음)에 해당한다.

2014년 7월 8일은 김일성 사망 20주년이 되는 날이다. 북한 당국은 7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10일간의 애도기간을 선포했다 [49] 기념일에는 강연, 학습 세션, 지역 합창단 등이 포함되었으며 어린이와 근로자가 동원되어 다양한 행사에 참여했다. 혜산시 의 한 주민은 "요즘 녀맹과 직장에서 수령님 서거와 관련된 사건들이 연일 벌어지고 있어 주민들이 힘들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민은 “지난해 장성택 숙청 이후부터 싸우기만 하면 끌려가니까 아무도 불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49]

김정일[편집]

김정일이 태어난 곳으로 추정되는 백두산 에 그려진 그림

북한 역사에 만연한 현대 신화에 따르면, 이는 개인 숭배와 정치적 통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된다. [50] 김정일은 백두산 Paektusan Secret Camp(한국어판) 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1942년(그의 실제 출생은 1941년 소련 에서임), 그의 탄생은 제비에 의해 예고 되었고, 겨울이 봄으로 바뀌고, 별이 하늘을 비추고, 쌍무지개가 저절로 나타났다고 한다. [51] 그의 아버지를 둘러싼 주장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주장은 평생 동안 계속되었다. [52] [53]

1970년대 초반부터 김일성은 처음에는 은밀하게 후계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했으나, 1975년에는 김정일을 '당의 중심'으로 부르거나 아버지와 관련하여 '우리의 위대한 수령님 과 파티 센터". 1977년 김정일의 후계가 최초로 확인된 소책자에는 김일성의 유일한 후계자로 김정일이 아버지의 충성스러운 종이었으며 아버지의 미덕을 물려받았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모든 당원들은 김정일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 그들은 또한 그의 절대적인 권위를 지지하고 그에게 무조건 순종하라는 촉구를 받았다. [54]

1996년 이전 김정일은 자신의 동상 건립을 금지하고 초상화 제작을 금지했다. [55] 그러나 1996년에는 학교들에 김정일 관련 강의를 위한 별도의 김정일연구소를 설립하도록 요구했다. 여기에는 그의 출생지 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56] 전국에는 약 40,000개의 연구기관(김일성, 김정일 연구소 포함)이 있다. [57]

1973년부터 2012년 사이에 김정일은 54개 이상의 직함을 얻었는데, 그 중 대부분은 군사 훈련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 정치적, 군사적 성취와는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었다. [58] [59] 그의 가장 일반적인 직함은 "친애하는 지도자"였다.

정부는 김정일이 생후 6개월 이전에 걷고 말할 수 있게 된 등 그의 생애 동안 그가 이룩한 위대한 업적에 대한 수많은 선전 보고서를 발표했다. [60] 북한 노동신문은 ' 신원 불명의 프랑스 패션 전문가'가 김 위원장의 패션에 대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퍼지고 있는 김정일 상태는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61] 조선중앙통신도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김정일 생일을 맞아 자연과 하늘이 이토록 신비로운 황홀경을 펼쳐 보였다”고 전했다. [62]

일본 식물학자 가모 모토테루는 김정일의 46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 김정일화 '(문자 그대로 '김정일의 꽃')라는 이름의 다년생 베고니아를 새로 재배했다. [63]

김정일 사망 이후[편집]

김정일의 혁명업적을 기사로 실은 노동신문

2011년 12월 17일 그가 사망한 뒤 조선중앙통신은 백두산 촌호수 에서 유례없는 큰 소리와 함께 얼음층이 터지고 강풍을 동반한 눈폭풍이 일대를 강타했다고 전했다. [64] 아들 김정은의 정치신문은 아버지를 '우리 당의 영원한 총비서'로 굳건히 하려고 했다. [65] 한국 유교 사회의 전형적인 100일 애도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우는 모습이 목격 되었으며, 한국 통일 연구원 의 한 분석가는 애도 기간 동안 드러난 대중의 슬픔 중 상당 부분이 다음과 같은 것이라고 판단했다. 진정한 슬픔의 표현. [66] 하지만 서방 의 한 언론인은 슬픔을 표현한 것이 진정성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67]

김일성의 애도기간과 유사하게 100일 애도기간 규정을 따르지 않거나 [68] 애도에 성실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사람 [69] 은 처벌 대상이 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처형되기도 했다. [70] 이에 대한 주목할만한 예는 김철 과 다른 고위 관료들의 사망 의혹이다. [71] 그러나 철씨의 경우 북한 엘리트들의 폭력적인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는 외국 정책( Foreign Policy) 의 원래 설명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소문"을 기반으로 한 것 같다. [72]

  1. Lucy Williamson (2011년 12월 27일). “Delving into North Korea's mystical cult of personality”. 《BBC News》. 2013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9일에 확인함. 
  2. Choe, Yong-ho., Lee, Peter H., and de Barry, Wm. Theodore., eds. Sources of Korean Tradition, Chichester,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 419, 2000.
  3. Ben Forer (2012년 1월 12일). “North Korea Reportedly Punishing Insincere Mourners”. ABC News. 2012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9일에 확인함. 
  4. “DPRK, Criminal Penalties”. US State Dept. 2011년 12월 2일. 2013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9일에 확인함. 
  5. "North Korea pays homage to the Kim dynasty, past, present (and future?)" Justin McCurry. The Guardian. London. 17 December 2012. Accessed 18 August 2017.
  6. Armstrong, Charles K. (2013). 《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22쪽. ISBN 978-0801468797. 
  7. Hunter, Helen-Louise (1999). 《Kim Il-song's North Kore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5쪽. ISBN 978-0275962968. 2014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31일에 확인함. 
  8. Suh 1988, 314쪽
  9. Suh 1988, 315쪽
  10. Staff (2013년 12월 27일). “We have just witnessed a coup in North Korea”. New Focus International. 2014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11. Park, Yong-Soo (2009). “The political economy of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PDF).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Austral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63 (4): 542. doi:10.1080/10357710903312587. 2014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12. Cumings, Bruce (2005).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United States: W.W. Norton. 414–446쪽. ISBN 0393327027. 
  13. “Juche”. GlobalSecurity.org. 2013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14. Han S Park (September 2007). “Military-First Politics (Songun)”. Korea Economic Institute/Academic Paper Series. 6쪽. 2012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15. Rüdiger 2013.
  16. Alton & Chidley 2013.
  17. Kim Jong-un (2012). “Let us brilliantly accomplish the revolutionary cause of Juche”. Naenara. 2013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18. “North Koreans Losing Interest In Cult Of Kim?”. New Focus International. 2013년 5월 20일. 2013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4일에 확인함. 
  19. Lee Sang Yong (2015년 12월 29일). 'Jangmadang Generation' eschews regime idolization, pursues outside info”. DailyNK. 2016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0. Jason LaBouyer "When friends become enemies — Understanding left-wing hostility to the DPRK" Lodestar. May/June 2005: pp. 7–9. Korea-DPR.com. Retrieved 18 December 2007.
  21. Dean Nelson (2011년 12월 23일). “The stage management of the grief for Kim Jong-il”. 《The Telegraph》. 2012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9일에 확인함. 
  22. Portal, Jane (2005). 《Art Under Control in North Korea》. United Kingdom: Reaktion Books. 98쪽. ISBN 978-1861898388. 2014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23. Becker, Jasper (2005). 《Rogue Regime: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70443. 
  24. “Kim Il-sung (1912~1994)”. KBS World Radio. 201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25. Cha, John (2012). 《Exit Emperor Kim Jong-il》. United States: Abbott Press. 39쪽. ISBN 978-1458202161. 
  26. Lim, Jae-Cheon (2008). 《Kim Jong-il's Leadership of North Korea》. Routledge. 40쪽. ISBN 978-0203884720. 
  27. Hwang Jang-yop (2006).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Columbia Law School. 2013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28. “Kim Il-sung (1912~1994)”. KBS World Radio. 201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29. Cumings, Bruce (1997).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United States: W W. Norton & Co. 160쪽. ISBN 0393040119. 
  30. “Humankind Awards Many Titles to Kim Il Sung”.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년 4월 3일. 201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31. Suh 1988, 320쪽
  32. “Kim Il-sung (1912~1994)”. KBS World Radio. 201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33. “The Bewildering Cult of Kim”. New Focus International. 2013년 5월 27일.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7일에 확인함. 
  34. “Kim Il-sung (1912~1994)”. KBS World Radio. 201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35. Demick 2009, 120–123쪽
  36. Demick, Barbara. “Nothing to Envy Excerpt”. Nothingtoenvy.com. 2012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37. Chol-hwan Kang and Pierre Rigoulot (2005). The Aquariums of Pyongyang: Ten Years in the North Korean Gulag, Basic Books, p. 3. ISBN 0465011047.
  38. Kim Il-sung (1992). 《With the Century》 1. Chapter 3.2. 2014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28일에 확인함. . Note that the version of With the Century available online (https://web.archive.org/web/20051231095503/http://www.korea-dpr.com/articles-ng/biography-kimilsung.htm) includes the anecdote and the grandfather's moral, but omits the detail about the necessity of screening eating/urinating from pupils.
  39. Suh 1988, 316쪽
  40. Sebastien Berger (2018년 4월 13일). “No bombs, just blooms at North Korean flower show”. 《Yahoo! News. 2020년 7월 23일에 확인함. 
  41. David R Arnott (2011년 4월 6일). “Flowers and North Korea”. NBC News. 2013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5일에 확인함. 
  42. Angélil, Marc; Hehl, Rainer (2013). 《Collectivize: Essays on the Political Economy of Territory, Vol. 2》. Berlin: Ruby Press. 99쪽. ISBN 978-3944074030. 
  43. “Kim Jong Il publicly mourned by thousandsg”. CBS News. 2011년 12월 21일. 2013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31일에 확인함. 
  44. Martin 2006, 508쪽
  45. Constitution of North Korea (1988 amended) Wikisource
  46. David McNeill (2011년 12월 20일). “Kim Jong-Il: Leader of North Korea who deepened the cult of personality in his country following the death of his father”. 《The Independent》.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47. Ben Piven (2012년 4월 10일). “North Korea celebrates 'Juche 101'. Al Jazeera. 2013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2일에 확인함. 
  48. Lee, Hy-Sang (2001). 《North Korea: A Strange Socialist Fortres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20쪽. ISBN 978-0275969172. 2014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2일에 확인함. 
  49. Kang Mi Jin (2014년 7월 5일). “Kim's Death Sees Songs and Ten Days of Mourning”. DailyNK. 2014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5일에 확인함. 
  50. Jaeyeon Woo; Alastair Gale (2011년 12월 23일). “Pyongyang Myth-Builders Step It Up”. 《Wall Street Journal》. 2014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8일에 확인함. 
  51. Becker, Jasper (2005). 《Rogue Regime :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91쪽. ISBN 978-0198038108. 201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52. David McNeill (2011년 12월 20일). “Kim Jong-Il: Leader of North Korea who deepened the cult of personality in his country following the death of his father”. 《The Independent》.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53. Suh 1988, 284쪽
  54. Suh 1988, 276–280쪽
  55. Demick 2009, 123쪽
  56. Demick 2009, 120–123쪽
  57. Robert Marquand (2007년 1월 3일). “N. Korea escalates 'cult of Kim' to counter West's influenc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1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4일에 확인함. 
  58. 전, 영선 (2006). 《다시 고쳐 쓴 북한의 사회와 문화》 [A New View of 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역락. ISBN 8955564910. 
  59. Lanʹkov, Andreĭ N. (2007). 《North of the DMZ: Essays on Daily Life in North Korea》. US: McFarland and Company. 26–27쪽. ISBN 978-0786428397. 2014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0. Julian Ryall (2011년 1월 31일). “The Incredible Kim Jong-il”. 《The Telegraph》. 2012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61. “N.Korea leader sets world fashion trend: Pyongyang”. FRANCE 24. 2010년 4월 7일. 2011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62. “Unprecedented Natural Phenomena on Jong Il Peak”. KCNA. 2009년 2월 12일. 2014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0일에 확인함. 
  63. Melissa Bell (2011년 12월 20일). “Kimjongilia: the flower of a fallen dictator”. 《Washington Post》. 2012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3일에 확인함. 
  64. “Mother nature mourns Kim Jong-il death”. 《The Telegraph》. 2011년 12월 22일. 2012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65. Kim Jong-un (2012). “Let us brilliantly accomplish the revolutionary cause of Juche”. Naenara. 1쪽. 2013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66. Choe Sang-hun; Norimitsu Onishi (2011년 12월 20일). “North Korea's Tears: A Blend of Cult, Culture and Coercion”. 《New York Times》. 2012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67. Tom Geoghegan (2011년 12월 20일). “How genuine are the tears in North Korea?”. 《BBC News》. 2013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68. Julian Ryall (2012년 1월 26일). “North Korea threatens to punish mobile-phone users as 'war criminals'. 《The Telegraph》. 2013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일에 확인함. 
  69. Choi Song Min (2012년 1월 11일). “Harsh Punishments for Poor Mourning”. Daily NK. 2013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일에 확인함. 
  70. “North Korean Official Executed With A Mortar Shell”. 《Huffington Post UK》. 2012년 10월 25일. 2013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4일에 확인함. 
  71. “N. Korean leader dismissed, purged 31 ranking officials after appointment as heir: lawmaker”. Yonhap News. 2010년 10월 23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72. 《Foreign Policy》.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