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Av3037/보존1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기는 첫 활동 시작 때 부터 2009년 2월 28일까지 토론 했던 내용을 담고 있는 페이지입니다.
2009년 3월 1일 이후의 토론 문서 확인이나 새로 토론을 작성하고 싶으시면 사용자토론:Av3037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Av3037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I110 桂陽 / IRTC1015() 2007년 1월 22일 (화) 16:02 (KST)답변

앞으로 새 글을 쓰시거나 편집할 때에는 위키백과:편집 지침에 맞게 작성하거나 편집해 주세요[편집]

..:) -- 세오테뤼(··) 2007년 1월 22일 (화) 22:08 (KST)답변

그림:393474.jpg[편집]

저작권이 어떻게 됩니까? -- 세오테뤼(··) 2007년 1월 22일 (화) 22:17 (KST)답변

그림:Korea New Network.jpg[편집]

'출처:네이버'라는 말만 가지고서는 해당 그림을 올릴 수 없습니다. 원 저작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누구에게나 쓸 수 있게 한다는 허가를 받으셨나요? \ --hnc197 2007년 1월 22일 (화) 22:34 (KST)답변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대부분의 그림은 배타적인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저작권에서 자유로운 백과사전을 지향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배타적인 저작권을 가진 그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121.131.80.43 2007년 1월 22일 (화) 23:22 (KST)답변

SBS의 중국어/일본어 표기[편집]

방송국의 공식 이름이 아닙니다. 굳이 함께 써 줘야 하나요? -- ChongDae 2007년 1월 23일 (수) 16:38 (KST)답변


서명[편집]

위키백과가 물론 GFDL로 배포되고는 있지만, 개인을 드러내는 서명은 베끼시더라 할지라도 변형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3일 (수) 19:50 (KST)답변

관리자 선거 투표부탁드립니다[편집]

관리자 선거 중입니다. 꼭 투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undermacht 2007년 11월 27일 (화) 01:10 (KST)답변

SBS의 중국어 표기[편집]

Av3037님, 제가 엠파스 실시간 지식에 질문하니까 SBS를 중국어로 하면 首尔电台(SBS)이라고 답변내용에 나왔습니다.

꼭 확인해 주세요 ^^ --Fx120 (토론) 2008년 6월 13일 (금) 19:54 (KST)답변

위키프로젝트 교통[편집]

안녕하세요? 마창진 광역권의 버스 관련 문서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위키프로젝트 교통(미개설)에 참여하실 생각이 있으신지요? 버스 교통 등 교통 관련 문서의 편집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참여 의사가 있으시다면 제안 게시판에서 참여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하높(Skyhigh05) 2008년 7월 12일 (토) 02:24 (KST)답변

참여신청 하였습니다. 그러고보니 아직 육로교통쪽은 프로젝트가 없었네요. Av3037 2008년 7월 12일 (토) 18:06 (KST)답변

고속도로 노선 번호 안내 표지[편집]

다른 언어판에 문서가 있는데 WP한국어판에 올리지 마시고 공용에 올려 주세요.----hyolee2♪/H.L.LEE 2008년 9월 6일 (토) 14:04 (KST)답변

알겠습니다. 그런데 공용 업로드는 처음이라 많이 작업이 더디네요... 그나저나 공용문서로의 링크는 어떻게 해야되나요?Av3037 2008년 9월 6일 (토) 14:39 (KST)답변

그대로 링크를 하면 좋습니다. 그림:Kimjongilia.jpg 그러나,WP한국어판과 중복하고 있는 경우는 WP한국어판쪽에 있는 페이지를 삭제할 필요가 있습니다.----hyolee2♪/H.L.LEE 2008년 9월 6일 (토) 14:56 (KST)답변

파일들을 모두 공용으로 옮기고 나니 이런 내용의 글이 251번 파일과 관련하여 사용자 토론(공용)으로 날아들어왔습니다. 이게 무슨 뜻인가요?(해석은 영 아닌지라...)

There seems to be a problem regarding the description and/or licensing of this particular file. It has been found that you've added in the image's description only a Template that's not a license and although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s about the image, it's not a valid license. Could you please resolve this problem, adding the license in the image linked above? You can edit the description page and change the text. Uploading a new version of the file does not change the description of the file. This page may give you more hints on which license to choose. Thank you. Av3037 2008년 9월 7일 (일) 12:17 (KST)답변

야구 관련 문서에 꾸준히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편집]

최근 바뀜에서 야구 관련 문서에 기여하시는 걸 많이 보았어요. 앞으로도 좋은 기여 기대할게요. S.BULLET. (토론) 2008년 9월 10일 (수) 00:27 (KST)답변

예 감사합니다^^; 원래는 야구를 시청하다보니 자연스레 편집에 손이 갔는데 요즘 편집이 부쩍 늘어난것 같습니다. 야구 프로젝트로의 참여도 고려중입니다. Av3037 2008년 9월 10일 (수) 00:39 (KST)답변

철도역 정보[편집]

관할 기관을 지사나 그룹역 단위로 써 줄 필요가 있나요? 지사 이하의 단위는 운영상의 편의를 위해 있는 것인데, 이를 정보 틀에 한번에 담는 건 틀에 너무 자세한 정보를 담는 것 같네요.
그리고, 전대체1-1 등의 변수는 아예 구조에서 빠졌으므로, 유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9월 20일 (토) 13:58 (KST)답변

한국철도공사 본사가 전체구간을 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총괄이라면 또 모르지만요. 종전의 지역관리역 체제가 지사체제로 전환되면서 지사의 권한이 한층 강화된 만큼 지사 표기는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대뜸 한국철도공사로만 표기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지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전대체1-1 등은 철도역 틀의 디자인이 대폭 변경된 이후 그에 맞게 최초로 적용한 구간이 이쪽구간이어서 틀변경 초기의 입력란 군더더기가 그대로 남아있기는 합니다. 이점은 수정을 해야겠지요...Av3037 2008년 9월 20일 (토) 14:22 (KST)답변

지사의 권한이 강화됐다고 하셨는데, 지사 체제가 그 선구의 독자적인 규칙을 만들어 영업할 정도인가요? 필요하다면 지사는 <br /> 등으로 처리해 입력하는 게 좋을 듯 하지만, 저는 지사 자체가 그리 큰 의미가 있는지부터 회의적입니다. 그리고 그렇다고 해서 남의 편집을 “통째로” 되돌리시는 건 좀 아니잖습니까. -_-a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9월 20일 (토) 16:15 (KST)답변

겉으로 봐서는 통째로 되돌려진것 같아보이지만 실제로는 되돌림과 동시에 일부 수정을 하였습니다. 그래도 어느정도 좀 과하게(;;) 편집된 점은 여지가 없네요... 이점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Av3037 2008년 9월 20일 (토) 23:32 (KST)답변

인터위키[편집]

이미 지나간 일입니다만, 이와 같은 편집을 발견했습니다. 지금은 알고 계시겠지만, 다른 언어판의 생성되지 않은 문서로의 인터위키는 추가하지 말아주세요. :) --정안영민 (토론) 2008년 10월 21일 (화) 20:54 (KST)답변

네, 알겠습니다. 실은 해당언어로도 문서를 작성할 생각이었는데 어찌하다보니 흐지부지 되어버렸답니다. 여튼 조심하겠습니다 :) 언제나 수고가 많으십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1일 (화) 20:59 (KST)답변

틀:전철역 출구 정보[편집]

역 주변의 시설을 틀까지 써서 정리해 줄 필요가 있을까요? 역 주변 시설의 정보는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정보이며, 필요가 있다면 현행 방식대로 순서 없는 목록(*)을 사용하거나, 단순히 wikitable 클래스를 사용한 표를 사용하면 될 것 같네요. 지금의 틀만 보건대, 내용의 비중에 비해서는 너무 튀지 않나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지금 역세권 정보로서 등재되는 항목도 어느 정도 기준을 잡아서 제한해야 한다고 보지만, 이건 다른 얘기)

글타래를 연 김에 하나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생성하셨는데, 319000호대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나온 발표 자료가 있었던가요? 독립된 항목으로서 생성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봅니다. 기계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면 기존에 있는 차량 문서에 통합해서 기술할 수도 있을 테고요.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10월 26일 (일) 20:00 (KST)답변

역세권 정보를 초기에는 wikitable를 사용하였습니다만 그렇게 되면 너무 용량이 증가해버리는 문제가 발생해버리고, 작업에 있어서도 번거로움이 너무 많아 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적어도 이 틀이 적용될 역은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틀 생성 이후 입력이 매우 쉬워졌을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문서의 정리가 더욱 말끔히 되었습니다. 정리를 위해서는 틀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이야기가 나와서말인데요,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의 문서가 생성되어 있어 동일히 생성하였습니다. 문서 생성이 조금 이른 감은 있으나, 지금은 좀더 지켜 봐야겠지요.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0:10 (KST)답변

그리고 무엇보다 틀의 장점은 형식 수정이 매우 쉽다는 점입니다. 틀 하나만 수정해도 문서에 걸려있는 틀 전체가 수정되지요. 반면 wikitable로 작업했을 경우 일일이 돌아가며 수정해야하는 극악의 노가다(...)를 해야할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작성도 그렇지만 수정에 있어서도 편리하기 때문에 틀을 작성하게 된 것입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0:23 (KST)답변

으음, 추가하려다가 편집 충돌이 일어나서 날려먹은 부분을 붙여넣습니다.

[1] 또한, 내용을 작성하실 때 불필요한 서식은 사용하지 않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내용에 서식을 사용하는 건 경우에 따라 가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가 될까 싶어 제 방침을 말씀드리자면, 역 정보 틀의 승강장 정보에는 승강장의 면 ·선 수만을, 노선과 주변역 정보는 운행 체계, 즉 운영면의 노선이 아닌 서류상의 노선을 입력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운영면의 항목인 역 번호는 철도역 정보가 아닌, 문서 아래쪽에 있는 틀:인접정차역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별 일이 없는 경우 제 방침에 안 맞다고 판단되는 내용은 지우거나 되돌리므로, 의견이나 이의가 있으시면 주저하지 마시고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장 바람직한 건 수정할 필요가 없는 서식을 사용하는 거겠지요. 역 주변 시설물의 열거에 표를 사용한다고 크게 달라지는 것도 없는데다, wikitable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이 형식을 다시 수정할 일이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뭐 단순 반복 작업이면 을 써도 되는 거고요. ;)
입력이라면 ‘*1번 출구: XXX(줄바꿈)*2번 출구: XXX’와 ‘{{전철역 출구 정보|1번=XXX|2번=XXX}}’가 편의성에서 얼마나 더 차이가 나는지도 모르겠고, 저 틀로는 출구 이름이 숫자가 아닌 경우의 예외 처리도 곤란합니다. 틀은 많이 반복되거나 복잡한 내용을 사용할 때 쓰는 것인데,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서식에까지 틀을 사용해서 서버에 부담을 늘릴 필요가 있을까요? 아직까지 이 정도로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나중을 위해서라도 낭비는 최소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10월 26일 (일) 20:37 (KST)답변

맞는 말씀입니다. 출구 정보는 많이 반복되는 작업이며 복잡한 형식이기도 합니다. 그러한 기준이 만족하기에 틀을 생성한 것입니다. 문서의 효율성을 위한다면 틀을 생성해야 해야겠지요. 제 작성 방침이라면 기존의 조잡한 작성을 없애고 가독성을 높이면서도 문서를 보는데 효과적인 문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0:44 (KST)답변

서버에 부담이 된다면 오히려 wikitable이 더욱 더 큽니다. 문서 하나하나를 열때마다 고용량의 문서를 열어야되니 그쪽이 더욱더 부담이 크겠지요. 이런쪽은 차라리 틀을 이용하여 링크형식으로 틀을 불러내오는게 더 좋습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0:46 (KST)답변

저는 사실 표 사용 자체에도 부정적인 입장이지만, 우선 틀을 왜 사용하지 말자고 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가 해당 문서만의 내용을 불러오는 것만으로 끝나지만, 틀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뿐만 아니라 문서에서 사용된 틀도 불러오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리(변수 등)를 해 주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그저 내용이 많은 문서를 불러오는 것보다 ‘처리’라는 과정이 더해지는 만큼 서버의 부담이 더 커진다고 하는 겁니다. 단순한 내용을 틀로 처리하지 않는 건 이 때문입니다. 미디어위키의 표 문법이 그다지 어려운 것도 아니고요.
또한 wikitable을 사용한 표를 보고 ‘고용량’이라고 하셨는데, 출구 2개분의 내용을 정리하는 건 다음과 같습니다.
1번 XXXXXXXXXX
2번 YYYYYYYYYY
{| class="wikitable"
! 1번
| XXXXXXXXXX
|-
! 2번
| YYYYYYYYYY
|}
고용량인가요? ;)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10월 26일 (일) 21:02 (KST)답변

1번과 2번 정도로는 고용량이라고는 할 수 없지요. 적어도 10번 이상이 넘어가면 확연히 차이납니다. 출구 15개의 종로3가역을 예로 들자면... wikitable을 사용했을때와 사용하지 않고 틀을 사용했을때 500byte 벌어집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1:09 (KST)답변

음... 우선은 작업을 중단하도록 하지요... 현재까지 약 60개가 완료되었습니다만, 사실 텍스트로 보기에는 1,2번정도의 출구정보야 무리가 없습니다만, 10번 15번까지 가면 내용이 너무 복잡해집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만한 방안을 검토해보는 방법도 좋겠네요.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1:12 (KST)답변

우선, 글에 답변을 하실 때는 글 앞에 :를 붙여 들여쓰기를 해 주세요.
문서의 용량이 그 정도로 차이가 난 건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나 ‘style="background: #ffc000;"’ 같은, 제 표현대로라면 ‘불필요한 서식’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굳이 필요하지 않은 임의의 서식은 말씀드린 것처럼 잠재적인 가독성 문제도 있을 뿐더러, 이처럼 문서의 용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비교를 하실 때는 좀 신중하셨으면 하네요. - I110 桂陽 / IRTC1015() 2008년 10월 26일 (일) 21:18 (KST)답변
네. 하지만 아까전에 제가 말한대로 출구가 10개나 15개가 넘어가는, 혹은 한 출구에 많은 역세권 정보를 보기에는 기존의 텍스트방식은 다소 편집이 조잡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네요. 애초에 그런 문서들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시작한 편집이었으니 말이지요... Av3037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21:28 (KST)답변

지평 구역사 철거일자[편집]

건물 자체의 철거는 11월 13일 낮에 개시되어 14일에 철거 폐기물이 모두 반출되어 완료되었습니다만, 어떤 근거로 11월 27일에 철거되었다고 하시는 것인지 알 수가 없군요. - 일본해&대한해협 (토론) 2008년 12월 21일 (일) 02:10 (KST)답변

철도 관련 카페를 둘러보다가 발견하여 수정했던 내용입니다. 그렇군요... 13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되었군요. 아마도 확인하신 분이 11월 27일에 확인하셨다는 걸 왜곡하여 해석한 모양입니다. 잘 알겠습니다. 주의하겠습니다. Av3037 (토론) 2008년 12월 21일 (일) 02:18 (KST)답변

새해 인사[편집]

2009년 한 해에도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김광주 (토론) 2008년 12월 31일 (수) 11:02 (KST)답변

김광주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Av3037 (토론) 2008년 12월 31일 (수) 14:13 (KST)답변

야구 문서가 알찬 글 후보에 올라와 있습니다[편집]

알찬 글 후보에 올려 놓았습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 --Nt (토론)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13:41 (KST)답변

고속도로 표지판[편집]

고속도로 표지판 어떻게 만드는건가요? --125.245.196.194 (토론) 2009년 2월 27일 (금) 14:22 (KST)답변

예전에 썼던 글입니다. 위키백과용 고속도로 표지판 이미지 제작과정 일람...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Av3037 (토론) 2009년 2월 27일 (금) 15:54 (KST)답변

논산 분기점과 동대구 분기점 편집[편집]

논산천안고속도로 틀과 대구부산고속도로 틀을 자꾸 빼시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대구부산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는 각각 중앙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등과 번호만 같은 독립된 노선인데 말입니다. --211.179.112.158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3:56 (KST)답변

그다지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괄호로 따로 노선표기를 해주는 것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건 한 고속도로에 다른 고속도로가 종속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다소 혼란은 있겠는데요... 우선 표기는 정정하겠습니다. 하지만 계속 언급했다시피 동대구 분기점대구부산고속도로이렇게 길게 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대구부산선으로도 충분합니다. Av3037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4:07 (KST)답변

도로명 동음이의[편집]

토론:무학로 (마산)

광역시급은 'Y도로 (XX)'로 시급은 'Y도로 (XX시)'로 통일성을 갖추어 주세요. 155.230.16.16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6:08 (KST)답변

말씀하기전에 이미 바꿨습니다만...;;;; Av3037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6:08 (KST)답변

중부선과 통영대전선[편집]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89727 에서 별표 0의 한글 문서를 보십시오. 법령이 우선입니다. 님이 그렇게 알고 있지 않다면 님이 잘못 알고 계신 것입니다. 88올림픽선과 광주무안선을 분리하듯이 이 경우도 별개입니다. 155.230.16.16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8:43 (KST)답변

여기서 작성하지 마시고 앞서 제가 썼던 155.230.16.16 (토론)님의 토론에 답변을 다십시오. Av3037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8:45 (KST)답변

번호만 같은 다른 고속도로 나들목 표시하실 때 말입니다.[편집]

'~선' 식으로 표시하기보다는 '~고속도로'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훨씬 낳아 보입니다. 대동 분기점 문서나 동대구 나들목 문서에 대구부산고속도로라고 표시했는데도 틀이 심하게 변형되지 않았으며, ~선 이라고 하면 철도와 헷갈릴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11.179.112.158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23:30 (KST)답변

간결하게 표기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철도와 혼동 문제는 [[경부고속도로|경부선]]라고 표기하면 해결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경부선 링크를 누르면 어차피 경부고속도로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유니목이나 특수 버스가 아닌 이상 철도와 도로가 서로 직결/연결될 일은 없다고 봅니다. 철도와 철도, 도로와 도로가 직결/연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요. Av3037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23:40 (KST)답변
그렇지만 ~선 이라고 하니까 왠지 어색합니다. 일반인들 중 ~선 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고속도로 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죠. 그리고 위키백과의 링크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고요. --211.179.112.158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23:50 (KST)답변
라디오 교통정보 같은데에선 줄여서 ~선이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우선 틀에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는 듯 하니 211.179.112.158님의 의견을 받아들이겠습니다. 최근 도로문서에 많은 기여를 하시던데 정식사용자로 등록하여 더 많이 기여하시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여튼 감사합니다^^;Av3037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23:5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