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18호/2012년 5월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자 토론 문서최신 판18호 (기여기록)님이 12년 전에 편집한 것입니다. (새로 고침)


피방 시간이 다 되어

수고하십시오.--18호 (토론) 2012년 5월 6일 (일) 15:31 (KST)답변

중화권 배우 표기

홍콩배우들의 이른바 "현지음" 표기는 광동어가 아니라 북경어이다. 따라서 무리한 현지음보다는 원래의 한자음 표기를 채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다.

중국대륙 배우들도, 원래 한자음 표기를 추천하다. 다시 생각하시기 바라다.--Zhxy 519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6:16 (KST)답변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18호 (토론) 2012년 5월 8일 (화) 12:46 (KST)답변

양산고용노동지청

문서 생성 시에는, 문서의 첫 머리에 굵은 글씨로 표제어를 표기함과 함께 간단한 정의를 써 주십시오. 다른 일반 문서를 보시면 금방 아실 것입니다.--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10일 (목) 19:13 (KST)답변

아직 어떻게 정의를 써 넣을지 할 능력 부족으로 저렇게 두는 것이니 Lee Soon님께서 수정을 해주시면 어떠신지요? 서로 협의 하는 것이..--18호 (토론) 2012년 5월 11일 (금) 09:20 (KST)답변


위키백과:저명성 지침 개정

위키백과의 저명성 지침에 대해 많은 토론이 있었으며, 현재까지 모아진 '총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참고하세요.

  • 1. 기존의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명성 기준은 상당히 완화되거나 수정되어야 합니다.
  • 2. 위키백과:저명성 지침 중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야 한다"는 내용은 삭제하였습니다.
  • 3.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저명성'이란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에 의해 언급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4. 과거 '저명성'으로 번역했던 notification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용어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 아사달 (토론) 2012년 5월 18일 (금) 13:31 (KST)답변

음..저는 총의에 따르겠사옵니다..--18호 (토론) 2012년 5월 18일 (금) 13:36 (KST)답변

분사기업

귀하께서 생성하신 위 문서는 저작권을 침해하는 문서이므로 삭제 신청하였습니다.

  • 해당 출처를 밝혀도 그 내용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은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에 위배되는 행위입니다.
  • 해당 기사 전문이 아닌 일부만을 옮겨와도 저작권 침해입니다.

혹시 이렇게 생성 및 편집하신 문서가 또 있다면 스스로 삭제 신청을 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또 백:저작권을 참고하시어 앞으로는 저작권 침해와 같은 방법으로 문서를 생성하지 말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18일 (금) 18:33 (KST)답변

그렇습니까? 연예인 드라마, 영화 같은..인물 문서의 경우도 일부만을 옮겨 오지 않습니까?--18호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1:51 (KST)답변

출처를 잘 확인해 주세요.

귀하가 지난 2012년 1월 2일에 한 귀인 조씨 (인조)의 편집은, 잘못된 것이므로 되돌립니다.

[1] 이 편집에서 귀하가 추가한 출처의 '귀인 조씨' 자료는 조선의 21대 왕 영조의 후궁이고, 문서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은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후궁입니다.

출처를 제시할 때, 내용을 잘 확인하고 출처를 추가하여 주세요. --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20일 (일) 20:23 (KST)답변

지적 해주셔서 감사합니다.--18호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1:50 (KST)답변

해당 문서의 어느 부분이 독자연구인지 말씀해 주십시오.

폐비 이씨 (이자겸의 3녀), 폐비 이씨 (이자겸의 4녀), 귀인 조씨 (인조)

출처를 보강하겠습니다. 독자연구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씀하여 주십시오. --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8:21 (KST)답변

위 세 문서 중 폐비 이씨 두 문서는 《고려사》의 열전 부분을 참고한 것으로, 해당 서적명을 명시하고 독자 연구 틀을 제거합니다. 고려사의 경우 저작권법으로 보호하는 기간이 지났기에 저작권의 보호를 받지 않는 저작물입니다. --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8:26 (KST)답변
귀인 조씨 (인조) 문서 역시 조선왕조실록의 해당 내용 날짜를 모두 집어 넣었으므로 해당 틀을 제거합니다. 참고로 위 문서의 경우 출처 필요 틀이 더 적절합니다. '독자 연구'의 경우 여러 내용들을 바탕으로 기여자가 새로운 내용을 도출해낼 때 쓸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를 참고하십시오. 아무튼 귀하 덕분에 위 문서가 더욱 충실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심자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8:47 (KST)답변
혹시나 해서 도서관에 가서 관련 자료가 있는지 확인 겸 국역 고려사 중 후궁 관련 내용을 오늘 보고 왔습니다. 앞으로도 수고 해주세요.저는 다만 출처가 미약해서 독자연구를 달아 놓았습니다 혹시라도 기분이 상하셧다면 풀었으면 합니다.--18호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3:29 (KST)답변

탐라국의 高/髙

  1. 왕자 표기에 대해서는 제 사용자 토론 페이지[2]에 답변을 드렸으니 참고하십시오.
  2. 탐라국 문서를 되돌리기 하셔서 다시 되돌리기했습니다. 제가 수정하기 이전 판은 왕자 표기도 문제가 있고 일본어에서 그대로 긁어온 한자 표기 문제도 있습니다(일본 신자체로 된 것을 강희자전체로 바꿈).
  3. 高는 제가 찾아보니 상용한자에 高만 기재돼 있습니다. 비록 제주고씨 종친회에서는 髙를 선호할지 모르나, 이미 수많은 고씨들이 자신의 성을 高라고 기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두 종류가 다 쓰이고 있을 경우에는 현행 국어 규정과 상용한자를 따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게다가 EUC-KR 코드에도 高만 들어가 있음). 비슷하게 '전주李씨'는 종친회에서 '리'로 적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걸로 아는데요, 이미 많은 전주이씨들은 '이'로 적고 있고 대부분의 공식 문서에서 '이성계' '이승만'으로 적지 '리성계' '리승만'으로 적지 않습니다.
  4. 정 高를 髙로 바꾸셔야겠다면 되돌리기하지 마시고, 현재 문서에서 高만 골라서 髙로 수정해주세요. 만약 그냥 되돌리기하실 경우 1,2에서 설명한 정정 사항들을 뒤엎게 됩니다. --Yes0song (토론) 2012년 5월 30일 (수) 15:35 (KST)답변

제주 고씨 관련해서 답변을 달았으니 제 사용자 토론을 확인해 주세요.

사용자토론:Yes0song#제주 고씨[3]에 적었습니다. --Yes0song (토론) 2012년 5월 31일 (목) 13:3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