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부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용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아욱목
과: 아욱과
아과: 아욱아과
족: 무궁화족
속: 무궁화속
종: 부용
학명
Hibiscus mutabilis
L. (1753)

부용(芙蓉, Hibiscus mutabilis)은 아욱목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며, 목부용(木芙蓉)이라고도 한다.[1]

생태

[편집]

추위에 강한 편이고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높이는 1 ~ 3m에 이르며 가지에는 털이 있다. 은 보통 5 ~ 7갈래로 갈라지며, 잎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은 8월에서 10월 무렵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한 송이씩 달리며 연분홍색이나 흰색을 띤다. 꽃은 꽃잎이 모두 다섯 장으로 무궁화꽃과 비슷하지만 약간 커서 지름이 10 ~ 13cm 정도이다. 아침에 피고 저녁에는 사그라드는 하루살이 꽃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매일 차례차례로 개화한다. 둥글게 생긴 열매는 씨방이 여러 개로 노란색 털이 많이 나 있고 익으면 말라 쪼개진다. 번식은 씨, 꺾꽂이, 포기나누기로 한다.

무궁화와 비슷하지만, 잎과 줄기가 달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행운은 반드시 온다.'가 부용의 꽃말이다.

분포

[편집]

중국장강 유역 이남이 원산이며, 특히 후난성쓰촨성에서 주로 재배된다. 후난성은 부용을 널리 재배하여 '부용국(芙蓉國)'으로도 불리며, 쓰촨성의 청두시 일대에서도 부용을 흔히 볼 수 있어 '용성(蓉城)'으로도 불린다.[2]

이외에 대만, 일본난세이 제도규슈, 시코쿠 등지에도 자생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남부 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제주도에서는 야생으로 자라기도 한다.

또한 한때 미국 남부 지역에서 매우 흔하게 재배되어 '남부연합 장미'라는 의미의 컨페더레이트 로즈(영어: Confederate rose)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남북 전쟁 도중 한 병사가 치명상을 입어 관목 옆에서 를 흘리다 죽은 뒤 그의 피가 꽃의 색을 흰색에서 빨간색으로 물들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3]

이용

[편집]

꽃이 화려해 주로 관엽식물로 이용되며, 꽃과 잎, 뿌리는 중의학이나 한의학에서 각각 부용화(芙蓉花), 부용엽(芙蓉葉), 부용근(芙蓉根)으로 불리고 항염항균 효과가 있어 옹종, 화상, 타박상, 독사에 물린 상처, 충혈과 통증, 폐열로 인한 해수 등의 증상의 약재로 쓰인다.[4]

또한 일본의 난세이 제도이즈 제도 등에서는 부용의 섬유로 짠 이나 밧줄이 발굴되었으며, 고시키지마 열도에서는 부용의 줄기 껍질로 짠 인 비다나시(일본어: ビーダナシ)가 발굴되었다.[5]

꽃 색깔 변화

[편집]
부용의 하루동안 꽃 색깔 변화.

부용의 꽃 색깔 변화는 아침에 흰색, 정오에 분홍색, 저녁에 빨간색 순서로 이루어지며, 온도가 낮아지면 색깔 변화가 느려진다.[6]

빨간색으로 변한 꽃잎은 관목에서 떨어지기 전까지 며칠 동안 남아있게 되며,[7] 꽃 색깔 변화에 따라 안토시아닌페놀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부용”. 《우리말샘》. 
  2. 김승호 (2022년 7월 17일). “무궁화랑 판박이 꽃, 키 큰 '부용'. 대한금융신문.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3. Peg Godwin; Jennifer Stroud (2017년 4월 7일). “Confederate Rose” (영어). NC State Extension. 2020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木芙蓉 Mufurong” (중국어). 홍콩 침회 대학 중의약 학원.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5. 下野敏見 (2005년 2월). 《南九州の伝統文化 Ⅱ(民具と民俗、研究)》. 鹿児島県の伝統文化シリーズ 2 (일본어). 南方新社. ISBN 9784861240195. 
  6. Francis S.P. Ng (2006). 《Tropical Horticulture and Gardening》 (영어). Clearwater Publications. ISBN 9789675222443. 
  7. Siu Kuin Wong; Yau Yan Lim; Eric Wei Chiang Chan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Hibiscus: species variation, altitudinal change, coastal influence and floral colour change” (PDF). 《Journal of Tropical Forest Science》 (영어) 21 (4): 307-315.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