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전체 이름 | 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
---|---|
원어 이름 | Busan Sports Complex Auxiliary Stadium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5° 11′ 23″ 동경 129° 03′ 21″ / 북위 35.189652° 동경 129.055701° |
기공 | 1993년 11월[1] |
건설 기간 | 7년 10개월 |
개장 | 2001년 9월 16일[2][3][4][1][5][6] |
소유 | 부산광역시청[2] |
운영 |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2][1] |
건설 비용 | 2,269억 4천만 8백만 원[1][2]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9 × 75 m 트랙: 400 m × 8 레인 |
좌석 | 4,549석[2] |
수용 인원 | 15,000명[2] |
개최 대회 | K리그2 (2022년) K3리그 (2022년 ~ 현재) K4리그 (2023년 ~ 현재) K3리그 베이직 |
홈 경기장 | 부산 FC 부산 교통공사 FC (2022년 ~ 현재) 부산 아이파크 FC (2022년) 부산 아이파크 FC 퓨처스 (2023년 ~ 현재) |
![]() |
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釜山綜合運動場補助競技場, Busan Sports Complex Auxiliary Stadium)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천연잔디 필드와 우레탄 트랙이 갖춰진 다목적 경기장으로, 부산종합운동장 내에 조성되어 있다. 2023년부터 부산 아이파크 FC 퓨처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 가 나 다 라 마 바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
-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8쪽.
-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두피디아》. 두산.
참고 문헌[편집]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두피디아》. 두산.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9.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2020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9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