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3세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6월) |
보리스 3세
Борис III | |
---|---|
![]() | |
![]() | |
![]() | |
재위 | 1918년 10월 3일-1943년 8월 28일 |
전임 | 페르디난드 1세 |
후임 | 시메온 2세 |
이름 | |
휘 | 보리스 클레멘스 로베르트 마리아 피우스 루트비히 스타니슬라우스 크사버 작스코부르크고츠키 프린츠 폰 타르노보 (독일어: Boris Klemens Robert Maria Pius Ludwig Stanislaus Xaver Sakskoburggotski, Prinz von Tarnowo) 보리스 클레멘트 로베르트 마리야 피 스타니슬라프 삭스코부르크고츠키 (불가리아어: Борис Клемент Роберт Мария Пий Станислав 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 |
신상정보 | |
출생일 | 1894년 1월 30일 |
출생지 | 불가리아 공국 소피아 |
사망일 | 1943년 8월 28일 (49세) |
사망지 | 불가리아 차르국 소피아 |
가문 | 작센코부르크고타 |
부친 | 페르디난트 1세 |
모친 | 파르마 공녀 마리아 루이사 |
배우자 | 이탈리아 공주 조반나 |
자녀 | 불가리아 공주 마리야 루이자 시메온 2세 |
종교 | 천주교 → 불가리아 정교회 |
보리스 3세(불가리아어: Борис III, 1894년 1월 30일 - 1943년 8월 28일)는 불가리아의 2대 차르이다.
1918년 즉위한 이후 점점 더 전제군주제로 통치하기 시작했고, 1923년부터는 절대왕정을 부활시키며 스스로를 신격화하였다. 그는 재위 말기 나치 독일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대량 학살과 홀로코스트를 일으킨 책임이 있다.[1]
그의 봉건적인 왕국은 점점 더 대중의 지지를 잃었고 강렬한 저항에 직면했다. 장남인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1946년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수립으로 불가리아 왕국은 종말을 맞게 되었다.[2]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보리스 3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임 페르디난트 1세 (재위 1908–1918) |
불가리아의 차르 1918-1943 |
후임 시메온 2세 (재위 1943–1946) |
![]() |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