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인민군 | |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 | |
국적 | ![]() |
---|---|
창립일 | 1944년 12월 22일 |
편제 | 베트남 인민육군 베트남 인민해군 베트남 인민공군 베트남 국경 경비대 베트남 해안 경비대 |
충원방식 | 징병제[1] |
징집 연령 | 18~25세 |
병력 | 412,000명 |
예비군 | 40,000명 |
지휘체계 | |
명령체계 | 베트남 인민군 총참모부 |
본부 | ![]() |
통수권자 | 응우옌푸쫑 |
국방장관 | 응오쑤언릭 |
군사비 | |
예산 | 78억원 (2013년 기준) |
GDP 대비 | 5% (2013년 기준) |
방위산업 | |
해외 공급 | ![]() ![]() ![]() ![]() ![]() ![]() ![]() ![]() ![]() ![]() ![]() ![]() ![]() ![]() 과거: ![]() |
함께 읽기 |
베트남 인민군(베트남어: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軍隊人民越南)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군(정규군) 겸 베트남 공산당의 당군이다. 1944년 12월 22일 베트남의 독립운동가 호치민과 보응우옌잡이 프랑스, 일본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베트남 독립동맹회의 선전해방군을 모태로 설립되었다.[2]
1945년 9월 2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독립을 선포한 뒤 베트남 인민군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이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와 싸웠고, 베트남 전쟁에서는 베트남 공화국과 미국을 비롯한 동맹국들과 전쟁을 치렀으며,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캄보디아 전쟁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크메르 루주를 상대로 싸웠다.
베트남 인민군은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8세부터 25세까지 징집한다. 복무기간은 18개월이다.[3]
각주[편집]
- ↑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1846394&cid=43764&categoryId=43765
- ↑ 양승윤, 《동남아와 아세안》,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년(개정증보판), ISBN 8974640961, 215쪽
- ↑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1846394&cid=43764&categoryId=4376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