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 (식물)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선의 꽃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Dictamnus albus L. | ||||||||||||||||||
이명 | ||||||||||||||||||
Dictamnus fraxinella Pers.[1] |
백선(白鮮, Dictamnus)은 운향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북아프리카, 남유럽, 아시아 일대에 자생한다. 식물 자체는 타오르는 덤불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식물의 쓰임새에 따라, 봉황삼 또는 봉삼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특징[편집]
뿌리는 땅속에 있는 길고 굵직한 뿌리를 봉삼이라고 하며 귀한 약재로 쓴다. 줄기와 밑부분은 묵질화하는 경향이 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5-9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자잘한 톱니가 있다. 붉나무처럼 작은 잎 사이의 엽축에 날개가 발달하는 점이 특징이다. 꽃은 5-6월에 줄기 위쪽에 달리는 총상꽃차례에 연한 분홍색 꽃이 피어 올라간다. 꽃잎은 5장이고 보라색 줄무늬가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모두 꽃잎 밖으로 길게 벋어난다. 잎과 꽃차례와 꽃자루에 기름샘이 많아 약간 역겹기도한 독특한 냄새가 난다. 열매는 별모양의 삭과이다.[2]
이름[편집]
백선이라는 약명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각주[편집]
- ↑ Synonym in Anthos.es
- ↑ 이동혁. 《한국의 야생화 바로 알기》. 이비락. 83쪽.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무환자나무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