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에스피나아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나데시아족에서 넘어옴)

에스피나아과
Barnadesia dombeyana
Barnadesia dombeyana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국화과
아과: 에스피나아과
Barnadesioideae
(D.Don) K.Bremer &
R.K.Jansen, 1992
모식종
에스피나속(Barnadesia Mutis ex L.f.)
[출처 필요]

에스피나아과(espina亞科, 학명: Barnadesioideae 바르나데시오이데아이[*])는 국화과아과이다.[1] 단일 족인, 에스피나족(Barnadesioidea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과 식물들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다.[2][3]

하위 분류

[편집]
  • 에스피나속(Barnadesia Mutis ex L.f.)
  • Arnaldoa Cabrera
  • Chuquiraga Juss.
  • Dasyphyllum Kunth
  • Doniophyton Wedd.
  • Duseniella K.Schum.
  • Fulcaldea Poir.
  • Huarpea Cabrera
  • Schlechtendalia Less.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4]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5][6][7]

국화과

에스피나아과 (Barnadesioideae): 9 속, 93 종. 남아메리카, 주로 안데스에 분포.

사칸사아과 (Famatinanthoideae): 남아메리카 1속 1종.

멸가치아과 (Mutisioideae): 58 속, 750 종. 남아메리카에 분포.

스티프티아아과 (Stifftioideae): 남아메리카아시아에 분포.

운데를리키아아과 (Wunderlichioideae): 8 속, 24 종, 베네수엘라가이아나에 대부분 분포.

고크나티아아과 (Gochnatioideae): 4 또는 5 속, 90 종.

프리클리프아과 (Hecastocleidoideae): 유일 종 Hecastocleis shockleyi. 미국 남서부에 분포.

엉겅퀴아과 (Carduoideae): 83 속, 2,5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단풍취아과 (Pertyoideae): 5 또는 6 속, 70 종.

김나레나아과 (Gymnarrhenoideae): 유일 종 Gymnarrhena micrantha. 북아프리카에 분포.

치커리아과 (Cichorioideae): 224 속, 3,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코림비움아과 (Corymbioideae): 유일 속 코림비움속(Corymbium)에 7종.

국화아과 (Asteroideae): 1,130 속, 16,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각주

[편집]
  1. Bremer, Kåre & Jansen, Robert K..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79(2): 415. 1992.
  2. Urtubey, Estrella; Stuessy, TF (November 2001). “New Hypothese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arnadesioideae (Asteraceae) Based on Morphology”. 《Tax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50 (4): 1043–1066. doi:10.2307/1224720. 
  3. Ruth E. Timme, Jennifer V. Kuehl, Jeffrey L. Boore and Robert K. Jansen (2007).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ctuca and Helianthus (Asteraceae) plastid genomes: identification of divergent regions and categorization of shared repeat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4: 302–312. doi:10.3732/ajb.94.3.302. 2008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4일에 확인함. 
  4. Panero, J.L.; Funk, V.A. (2002).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Proc. Biol. Soc. Wash.》 115: 909–922. 
  5. Panéro, José J.; Freire, Susana E.; Ariza Espinar, Luis; Crozier, Bonnie S.; Barboza, Gloria E.; Cantero, Juan J. (2014).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0 (1): 43–53. doi:10.1016/j.ympev.2014.07.012. 2017년 1월 3일에 확인함. 
  6. Zhi-Xi Fu; Bo-Han Jiao; Bao Nie; Tiangang Gao (2016).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4): 416–437. doi:10.1111/jse.12216.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7. Funk, Vicki A.; Fragman-Sapir, Ori (2009). 〈22. Gymnarrheneae (Gymnarrhenoideae)〉. V.A. Funk; A. Susanna; T. Stuessy; R. Bayer.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PDF). Vienn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327–332쪽.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