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의학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은 질병의 위험성에 대해 예상되는 반응에 따라 각각의 환자에 대해 어떠한 약이 효과가 있는지 결정해 처방을 내리는 개인 맞춤형 의학 모형이다.[1] 정밀의학 및 층화의학과 유사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2] 진단과 치료의 합성어인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또한 맞춤의학의 일환으로 분류된다.
환자에 따라 각각의 처방을 결정하는 방법은 히포크라테스 당시부터 연구되었으며,[3] 현대에 들어 유전체학의 발전으로 인해 질병에 대한 분자 수준의 진단 결과와 의학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 맞춤의학에 대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적용[편집]
진단과 치료[편집]
통상적인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개인마다의 기준을 설정하고 환자를 진단할 수 있게 되면 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개별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유전자형 검사(genotyping)는 생물검정법(biological assay)을 사용해 개인의 DNA 염기서열(DNA sequence)을 알아내는 검사다.[4] 유전자형 검사를 통해 환자의 DNA 염기서열을 밝힌 후 이것을 표준 참조 유전체 또는 표준 참조 게놈(reference genome)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여 질병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유전자 변이(genetic variation)가 있는지 확인한다.[5] 최초의 표준 참조 유전체는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를 통해 규명된 성인 남성 1명의 유전체다.
각주[편집]
- ↑ “Stratified, personalised or P4 medicine: a new direction for placing the patient at the centre of healthcare and health educatio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5년 5월.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 “Many names for one concept or many concepts in one name?”. PHG Foundation. 2016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Jan 2015년 1월 6일에 확인함.
- ↑ Egnew, Thomas (2009년 3월 1일). “Suffering, Meaning, and Healing: Challenges of Contemporary Medicine”. 《Annals of Family Medicine》 7 (2): 170–175. doi:10.1370/afm.943.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 Research Portfolio Online Reporting Tools: Human Genome Project Archived 2019년 9월 25일 - 웨이백 머신,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발행, 2014년 4월 28일 확인.
- ↑ 영문 위키백과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