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상장애
![]() | |
ICD-10 | F22.0 |
---|---|
ICD-9 | 297.1 |
MeSH | D010259 |
망상 장애(妄想障碍, 영어: delusional disorder)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와는 혼돈스러운 면이 있으나 과거 편집증(偏執症, 영어: paranoia)으로 불렸던 질환으로, 조현병과 비교하면 괴이하지 않은 망상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며 사회적 직업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인다.
진단[편집]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 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의 진단 기준이다. (망상증상은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중 양성증상에 해당.)
- 기괴하지 않은 망상(즉, 미행 당한다거나, 누가 독을 먹인다거나, 감염되었다거나, 멀리서 타인이 자신을 사랑한다거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하다거나, 질병을 가지고 있다는 등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된다).
- 조현증의 진단 기준 1)이 한 번도 충족된 적이 없었다.
- 주의: 망상적 주제와 연관되어 환촉이나 환미가 망상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다.
- 환미: 망상 속에서 생기는 맛 현실에선 느낄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 환촉 : 현재 느끼지 못한 촉감을 망상적으로 느끼는 경우 이다.
- 망상이나 망상에 이어지는 판단 장해에 의해 영향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능 수준은 심하게 손상되지 않으며, 행동도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다.
- 망상과 동반되는 우울삽화 등의 기분 장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기분 삽화, mood episode), 기분 삽화의 기간이 전체 망상의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야 한다.
- 장애가 남용 약물, 투약 약물과 같은 물질 또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망상 장애로 진단받은 후에 다음과 같이 유형을 세분화하도록 한다. (주요 망상 주제에 근거하여 다음의 아형이 적용된다)
- ① 색정형: 보통 높은 지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고 믿는 망상
- ② 과대형: 확대된 가치, 힘, 지식, 정체감, 또는 신격화된 인물이나 유명인과의 특별한 관계에 대한 망상
- ③ 질투형: 연인이 부정하다는 망상
- ④ 피해형: 누군가가 (또는 친한 사람이) 악의적으로 행동한다는 망상
- ④ 신체형: 신체적 결함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있다고 생각하는 망상
- ⑥ 혼재형: 위의 유형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보이지만, 어느 한 가지 특징도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
- ⑦ 불특정형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