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닝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닝카어
말링케어
Maninkakan (ߡߊ߬ߣߌ߲߬ߞߊ߬ߞߊ߲)
사용 국가 기니, 말리, 라이베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사용 민족 만딩카족
언어 인구 약 460만 명[1]
문자 은코 문자, 라틴 문자
언어 계통 니제르콩고어족?
 만데어파
  서부 만데어군
   만딩어
    동부 만딩어
     마닝카어
말링케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기니의 기 기니
말리의 기 말리
언어 부호
ISO 639-3 다수:
mku – 코냥카어
emk – 동부 마닝카카어
msc – 상카라 마닝카카어
mzj – 마냐어
jod – 워제나카어
jud – 워로두구어
kfo – 코로어
kga – 코야가어
mxx – 마후어
글로톨로그 mane1267  (Manenkan)[2]

마닝카어(Maninka) 또는 말링케어(Malinke)는 만데어족에 속하는 만딩어의 동남부 방언들로 이루어진 언어 또는 방언군이다. "마닝카"라는 이름이 다른 방언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히 동부 마닝카어라고 특정하여 부르기도 한다. 기니 등에 거주하는 말링케족의 모어이며 특히 상기니(Upper Guinea)에서 310만 명의 사람이 사용한다. 밀접한 관계의 언어인 밤바라어가 국어로 지정된 말리에도 많은 사용자가 분포하며 이외에 공식 지위는 없지만 라이베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중세의 말리 제국에서 궁정 언어이자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다.

각주[편집]

  1. Ethnologue (25th ed., 2022)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nenk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