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강
론강 | |
Rhône (프랑스어, 독일어) Rotten (발저어) | |
(지리 유형: 강) | |
발레주 저지대를 흐르는 론강과 덩 듀 미디 (배경 산)
| |
나라 | 스위스, 프랑스 |
---|---|
지방 | 발레주, 보주 · 프리부르주, 베린주 |
지류 | |
- 왼쪽 | 이제르강, 듀랑스강 |
- 오른쪽 | 앵강, 손강 |
발원지 | 론 빙하 |
- 고도 | 2,208 m (7,244 ft) |
합류점 | 지중해 |
길이 | 813.69 km (506 mi) |
면적 | 98,000 km2 (37,838 sq mi) |
유량 | |
- 평균 | 1,710 m3/s (60,388 cu ft/s) |
- 최대 | 360 m3/s (12,713 cu ft/s) |
- 최소 | 13,000 m3/s (459,091 cu ft/s) |
론강(프랑스어: Rhône, 오크어: Ròse, 프랑코프로방스어: Rôno, 독일어: Rhone, 이탈리아어: Rodano, 라틴어의 Rhodanus에서 유래됨)은 스위스 영역의 알프스산맥에서 발원하여 프랑스를 거쳐 지중해로 들어가는 강이다.
유럽에서 유일하게 지중해로 통하는 큰 강이지만, 수위가 낮아서 오랫동안 수운과 기타 용도로 사용되지는 못했다. 근대 이후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프랑스의 적극적인 개발로 론강의 수위 조절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교통, 농업, 발전을 목적으로 한 개발이 론강 주변에서 많이 행해졌다. 현재 스위스는 론강의 상류를 수력발전에 활용하고 있다.
험한 산과 복잡한 주변 지형을 거치는 긴 강이기에, 아름다운 경치에 매료된 여러 예술가들이 이 강을 묘사하였다. 프랑스에서 주도하는 계획에 따라 현재 라인강과 론강을 잇는 대수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 계획이 완성된다면 북해와 지중해 간의 수로가 만들어지는 셈이며, 수로의 용량에 대해 의심스러워하는 많은 의견에도 불구하고 이 수로의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정치, 경제적 의미는 클 것으로 보인다.
지리[편집]
길이는 813km로 유럽의 주요 강 중에서 지중해로 흘러가는 유일한 강이다. 스위스 남부의 론 빙하의 녹은 물에서 발원하여 서쪽의 발레 지역으로 향하면서 빙식곡과 구조곡을 따라 형성된 협곡을 흐른다. 론 강은 삼각주를 만들면서 레만호로 흘러들어 가서, 호수의 남서쪽으로 빠져나와 지그재그 형태로 프랑스의 쥐라산맥의 방향을 따라 서쪽으로 흘러간다.
리옹에서 론강은 북쪽에서 흘러 온 주요 지류 손강을 만나 남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알프스 산지와 중앙 고지 사이를 흐르면서 몇 개의 지류를 만나면서 양안으로 암석 지대의 협곡을 지나기도 하고 홍수 때 침수되는 충적지와 계단 모양의 충적단구를 지나기도 한다. 하구에 가까워 지면서 강 주변에 습지가 늘어난다. 삼각주는 아를부터 시작되어 마르세유 서쪽까지 이어지는데 여기서 론강은 크게 두 개의 물줄기로 갈라져 지중해로 유입된다.[1]
지나는 곳[편집]
- 스위스 발레주 브리크, 피스프, 로이크, 시에르, 시옹, 생모리스, 제네바주 제네바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 론주 리옹, 이제르주 비엔, 드롬주 발랑스, 몽텔리마르,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레지옹 보클뤼즈주 아비뇽, 부슈뒤론주 아를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James F. Luhr (2009). 《Smithsonian Institution Earth》. Smithsonian Institution. 225쪽. ISBN 978-0-7566-6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