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열 럼블
로열 럼블(Royal Rumble)은 미국 프로레슬링 단체 WWE에서 매년 1월마다 치르는 페이퍼뷰이다. 이날 대회의 메인이벤트는 30명이 벌이는 경기이다.(2011년에는 40명이 출전했다.) 레슬매니아, 섬머슬램, 머니 인 더 뱅크, 서바이벌 시리즈 와 함께 WWE 5대 페이퍼뷰 중 하나이다.
경기규칙[편집]
이날 메인이벤트로 치러지는 로얄 럼블 경기에서는 보통 프로레슬링 경기에서는 다루어 지지 않는 규칙을 따르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다.
- 사전 추첨된 번호를 통해 1번 선수와 2번 선수가 링에서 겨루게 된다.
- 매 90초가 지날 때마다 링에는 한 명씩 추가로 들어오게 된다.
- 로프의 상단으로 넘어가 두 발이 땅에 닿게 될 경우 탈락으로 인정된다. 만약 두 발 중 한 발이라도 땅에 닿지 않거나 미들로프나 1단로프 밑으로 나가질 경우 탈락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최후의 남는 선수가 로얄 럼블 경기의 승자가 된다. 해당 도전자는 그 해 열리는 WWE 최대의 PPV인 레슬매니아에서 WWE 챔피언십 또는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에 도전할수 있는 기회를 얻게된다.
로열 럼블 역대 우승자[편집]
날짜 | 개최한 곳 | 경기장 | 관중수 | 우승자 | 등장번호 |
---|---|---|---|---|---|
1988년 1월 24일 | ![]() |
캅스 스타디움 | 18,000 | 핵소우 짐 더간 | 13번 |
1989년 1월 15일 | ![]() |
더 슈미트 | 19,000 | 빅 존 스터드 | 27번 |
1990년 1월 21일 | ![]() |
올랜도 아레나 | 16,000 | 헐크 호건 | 25번 |
1991년 1월 19일 | ![]() |
마이애미 아레나 | 16,000 | 24번 | |
1992년 1월 19일 | ![]() |
니커보커 아레나 | 17,000 | 릭 플레어 | 3번 |
1993년 1월 24일 | ![]() |
아코 아레나 | 16,000 | 요코즈나 | 27번 |
1994년 1월 22일 | ![]() |
프로비던스 시빅 센터 | 14,500 | 렉스루거 브렛하트 |
23번 27번 |
1995년 1월 22일 | ![]() |
USF 선 돔 | 10,000 | 숀 마이클스 | 1번 |
1996년 1월 21일 | ![]() |
셀랜드 아레나 | 9,600 | 18번 | |
1997년 1월 19일 | ![]() |
알라모돔 | 60,525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5번 |
1998년 1월 18일 | ![]() |
새너제이 아래나 | 18,542 | 24번 | |
1999년 1월 24일 | ![]() |
애로 헤드폰드 오브 애너하임 | 14,816 | 빈스 맥마흔 | 2번 |
2000년 1월 23일 | ![]()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19,231 | 더 락 | 24번 |
2001년 1월 21일 | ![]() |
뉴올리언스 아레나 | 16,056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27번 |
2002년 1월 20일 | ![]() |
필립스 아레나 | 12,915 | 트리플 H | 22번 |
2003년 1월 19일 | ![]() |
플리트 센터 | 15,338 | 브록 레스너 | 29번 |
2004년 1월 25일 | ![]() |
와코비아 센터 | 17,289 | 크리스 벤와 | 1번 |
2005년 1월 30일 | ![]() |
세이브 마트 센터 | 12,000 | 바티스타 | 28번 |
2006년 1월 29일 | ![]()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아레나 | 16,000 | 레이 미스테리오 | 2번 |
2007년 1월 28일 | ![]() |
AT&T 센터 | 13,500 | 언더테이커 | 30번 |
2008년 1월 27일 | ![]()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20,798 | 존 시나 | 30번 |
2009년 1월 25일 | ![]() |
조 루이스 아레나 | 16,685 | 랜디 오턴 | 8번 |
2010년 1월 31일 | ![]() |
필립스 아레나 | 16,697 | 에지 | 29번 |
2011년 1월 30일 | ![]() |
TD 가든 | 15,113 | 알베르토 델 리오 | 38번 |
2012년 1월 29일 | ![]() |
스콧트레이드 센터 | 18,121 | 쉐이머스 | 22번 |
2013년 1월 27일 | ![]() |
US 에어웨이 센터 | 15,103 | 존 시나 | 19번 |
2014년 1월 26일 | ![]() |
콘솔 에너지 센터 | 15,715 | 바티스타 | 28번 |
2015년 1월 25일 | ![]() |
웰스 파고 센터 | 17,164 | 로만 레인즈 | 19번 |
2016년 1월 24일 | ![]() |
암웨이 센터 | 15,998 | 트리플 H | 30번 |
2017년 1월 29일 | ![]() |
알라모돔 | 52,000 | 랜디 오턴 | 23번 |
2018년 1월 28일 | ![]() |
웰스 파고 센터 | 17,629 | 나카무라 신스케 (남자부) 아스카 (여자부) |
14번 25번 |
2019년 1월 27일 | ![]() |
체이스 필드 | 48,193 | 베키 린치 (여자부) 세스 롤린스 (남자부) |
28번 10번 |
2020년 1월 26일 | ![]() |
미닛메이드 파크 | (여자부) (남자부) |
번 번 |
하우스 쇼 & TV 쇼 로얄럼블 기록[편집]
이벤트 | 날짜 | 개최한 곳 | 경기장 | 우승자 | 참고 |
---|---|---|---|---|---|
하우스 쇼 | 1987년 10월 4일 | ![]() |
세인트루이스 아레나 | 원 맨 갱 | 12인 로얄럼블 매치 |
하우스 쇼 | 1988년 3월 16일 | ![]() |
하트퍼드 시빅 센터 | 릭 루드 | 20인 로얄럼블 매치 |
하우스 쇼 | 1994년 1월 17일 | ![]()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오웬 하트 | 30인 로얄럼블 매치 |
하우스 쇼 | 1994년 5월 9일 | ![]() |
캐슬 홀 | 언더테이커 | 18인 로얄럼블 매치 |
RAW | 1998년 6월 15일 | ![]() |
프리먼 콜리시엄 | 맨카인드 & 케인 | 10 태그팀 로얄럼블 매치 |
RAW is WAR | 1999년 1월 11일 | ![]() |
컴팩 센터 | 차이나 | 코퍼레이트 럼블 매치 |
스맥다운 | 1999년 9월 16일 | ![]() |
토마스 & 맥 센터 | 언더테이커 | 5인 로얄럼블 매치 |
스맥다운 | 2004년 1월 8일 | ![]() |
본 브라운 센터 | 크리스 벤와 | 4인 로얄럼블 매치 |
스맥다운 | 2004년 1월 29일 | ![]() |
MCI 센터 | 에디 게레로 | 15인 로얄럼블 매치 |
RAW | 2007년 1월 22일 | ![]() |
캔주돔 | 그레이트 칼리 | 7인 로얄럼블 매치 |
RAW | 2008년 1월 14일 | ![]() |
모빌 시빅 센터 | 혼스워글 | 미니 로얄럼블 매치 |
스맥다운 | 2011년 1월 28일 | ![]() |
U.S. 뱅크 아레나 | - | 4인 로얄럼블 매치 |
RAW | 2011년 1월 31일 | ![]() |
던킨 도너츠 센터 | 제리 롤러 | 7인 로얄럼블 매치 |
스맥다운 | 2018년 1월 28일 | ![]() |
러레이도 에너지 센터 | 릭 플레어 | KFC 커넬 럼블 매치 (9인) |
로열럼블 기록[편집]
남성부[편집]
최다 우승자
레슬러 | 로열 럼블 우승한 기록 | 연도 |
---|---|---|
스티브 오스틴 | 3회 | 1997년, 1998년, 2001년 |
헐크 호건 | 2회 | 1990년, 1991년 |
숀 마이클스 | 2회 | 1995년, 1996년 |
존 시나 | 2회 | 2008년, 2013년 |
바티스타 | 2회 | 2005년, 2014년 |
트리플 H | 2회 | 2002년, 2016년 |
랜디 오턴 | 2회 | 2009년, 2017년 |
최후의 4인 (파이널 포, 27(17 혹은 37)명 이후부터 탈락하거나 우승한 기록, 3회 이상의 선수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최후의 4인 횟수 | 연도 |
---|---|---|
케인 | 6회 | 1997년, 2000년, 2001년, 2003년, 2008년, 2015년 |
랜디 오턴 | 6회 | 2006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7년 |
숀 마이클스 | 5회 | 1994년, 1995년, 1996년, 2007년, 2010년 |
스티브 오스틴 | 5회 | 1997년, 1998년, 1999년, 2001년, 2002년 |
바티스타 | 5회 | 2003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4년 |
트리플 H | 5회 | 2002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6년 |
로만 레인즈 | 5회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
존 시나 | 5회 | 2005년, 2008년, 2010년, 2013년, 2018년 |
빅 쇼 | 4회 | 2000년, 2004년, 2012년, 2015년 |
셰이머스 | 4회 |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
언더테이커 | 3회 | 1997년, 2003년, 2007년 |
헐크 호건 | 3회 | 1990년, 1991년, 1992년 |
더 락 | 3회 | 1998년, 2000년, 2001년 |
데이비 보이 스미스 | 3회 | 1991년, 1995년, 1996년 |
에지 | 3회 | 2005년, 2007년, 2010년 |
크리스 제리코 | 3회 | 2004년, 2012년, 2017년 |
최다 준우승
레슬러 | 준우승 | 연도 |
---|---|---|
로만 레인즈 | 3회 | 2014년, 2017년, 2018년 |
빅 쇼 | 2회 | 2000년, 2004년 |
숀 마이클스 | 2회 | 1994년, 2007년 |
트리플 H | 2회 | 2008년, 2009년 |
존 시나 | 2회 | 2005년, 2010년 |
한경기 최장 생존 기록
2019년 까지 상위 25위까지만 집계하였다.
순위 | 레슬러 | 시간 | 연도 | 결과 |
---|---|---|---|---|
1위 | 대니얼 브라이언 | 1시간 16분 5초 | 2018년 (GRR) | 48째로 탈락 |
2위 | 레이 미스테리오 | 1시간 2분 15초 | 2006년 | 우승 |
3위 | 크리스 벤와 | 1시간 1분 31초 | 2004년 | 우승 |
4위 | 밥 백런드 | 1시간 1분 10초 | 1993년 | 28번째로 탈락 |
5위 | 트리플 H | 1시간 0분 16초 | 2006년 | 28번째로 탈락 |
6위 | 크리스 제리코 | 1시간 0분 13초 | 2017년 | 27번째로 탈락 |
7위 | 릭 플레어 | 1시간 0분 2초 | 1992년 | 우승 |
8위 | 로만 레인즈 | 59분 48초 | 2016년 | 28번째로 탈락 |
9위 | 핀 베일러 | 57분 38초 | 2018년 | 27번째로 탈락 |
10위 | 스티브 오스틴 | 56분 38초 | 1999년 | 마지막으로 탈락 |
10위 | 빈스 맥마흔 | 56분 38초 | 1999년 | 우승 |
11위 | 케인 | 53분 46초 | 2001년 | 마지막으로 탈락 |
12위 | 릭 마텔 | 52분 17초 | 1991년 | 25번째로 탈락 |
13위 | 더 락 | 51분 32초 | 1998년 | 28번째로 탈락 |
14위 | 크리스 제리코 | 50분 47초 | 2016년 | 26번째로 탈락 |
15위 | 트리플 H | 50분 0초 | 2009년 | 29번째로 탈락 |
16위 | 돌프 지글러 | 49분 47초 | 2013년 | 27번째로 탈락 |
17위 | 레이 미스테리오 | 49분 26초 | 2009년 | 20번째로 탈락 |
18위 | CM 펑크 | 49분 11초 | 2014년 | 27번째로 탈락 |
19위 | 세스 롤린스 | 48분 31초 | 2014년 | 25번째로 탈락 |
20위 | 랜디 오턴 | 48분 27초 | 2009년 | 우승 |
21위 | 크리스 제리코 | 47분 53초 | 2013년 | 25번째로 탈락 |
22위 | 크리스 벤와 | 47분 26초 | 2005년 | 25번째로 탈락 |
23위 | 브레이 와이엇 | 46분 58초 | 2015년 | 25번째로 탈락 |
24위 | 새미 제인 | 46분 55초 | 2017년 | 25번째로 탈락 |
25위 | 더 미즈 | 45분 39초 | 2012년 | 25번째로 탈락 |
한경기 최단 생존 기록
10초 미만의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시간 | 연도 |
---|---|---|
산티노 마렐라 | 1.9초 | 2009년 |
셰이머스 | 2초 | 2018년 |
노 웨이 호세 | 2초 | 2019년 |
더 월로드 | 2초 | 1989년 |
모 | 3초 | 1995년 |
자비어 우즈 | 3초 | 2019년 |
마이크 카넬리스 | 3초 | 2018년 (GRR) |
오웬 하트 | 3초 | 1995년 |
부쉬웨커스 루크 | 4초 | 1991년 |
제리 럴러 | 4초 | 1997년 |
타이터스 오닐 | 4초 | 2015년 |
갓파더 | 5초 | 2013년 |
타이터스 오닐 | 5초 | 2019년 |
길버그 | 7초 | 1999년 |
더 미즈 | 7초 | 2007년 |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 | 7초 | 2010년 |
애덤 로즈 | 8초 | 2015년 |
태즈 | 10초 | 2001년 |
짧은 시간으로 우승한 기록
레슬러 | 시간 | 연도 |
---|---|---|
에지 | 7분 19초 | 2010년 |
트리플 H | 8분 5초 | 2016년 |
존 시나 | 8분 28초 | 2008년 |
알베르토 델 리오 | 8분 33초 | 2011년 |
브록 레스너 | 8분 59초 | 2003년 |
바티스타 | 10분 54초 | 2005년 |
현재까지 생존기간 횟수
2019년 로열 럼블까지 총합으로 3시간 이상 생존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시간 | 첫 참가 | 최근/마지막 참가 | 참가 횟수 |
---|---|---|---|---|
크리스 제리코 | 5시간 1분 30초 | 2000년 | 2018년 (GRR) | 11회 |
트리플 H | 4시간 0분 44초 | 1996년 | 2016년 | 9회 |
레이 미스테리오 | 3시간 54분 16초 | 2003년 | 2019년 | 9회 |
숀 마이클스 | 3시간 42분 30초 | 1988년 | 2010년 | 12회 |
케인 | 3시간 38분 46초 | 1996년 | 2016년 | 19회 |
랜디 오튼 | 3시간 18분 42초 | 2004년 | 2019년 | 12회 |
코디 로즈 | 3시간 8분 30초 | 2008년 | 2016년 | 8회 |
한경기 최다 제거 기록
7명이상 제거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된 명수 | 연도 |
---|---|---|
브라운 스트로우먼 | 13명 | 2018년 (GRR) |
로만 레인즈 | 12명 | 2014년 |
케인 | 11명 | 2001년 |
헐크 호건 | 10명 | 1989년 |
스티브 오스틴 | 10명 | 1997년 |
숀 마이클스 | 8명 | 1995년 |
숀 마이클스 | 8명 | 1996년 |
스티브 오스틴 | 8명 | 1999년 |
리키쉬 | 7명 | 2000년 |
브레이 와이엇 | 7명 | 2015년 |
요코주나 | 7명 | 1993년 |
디젤 | 7명 | 1994년 |
언더테이커 | 7명 | 2002년 |
그레이트 칼리 | 7명 | 2007년 |
존 시나 | 7명 | 2011년 |
CM 펑크 | 7명 | 2011년 |
한경기 연속 제거 기록
7명이상 연속으로 제거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된 명수 | 연도 |
---|---|---|
헐크 호건 | 8명 | 1989년 |
디젤 | 7명 | 1994년 |
리키쉬 | 7명 | 2000년 |
그레이트 칼리 | 7명 | 2007년 |
CM 펑크 | 7명 | 2011년 |
브라운 스트로우먼 | 7명 | 2017년 |
남성부에 참가한 여성 참가자
레슬러 | 참가 횟수 | 연도 | 비고 |
---|---|---|---|
차이나 | 2회 | 1999년, 2000년 | |
베스 피닉스 | 1회 | 2010년 | 2018년 여성 로열 럼블에 참전하였다. 남녀부 모두 참전한 첫 여성. |
카르마 | 1회 | 2012년 | |
나이아 잭스 | 1회 | 2019년 | 여성 로열 럼블에 매년 참전하고 있다. 남녀부 모두 참전한 두번째 여성. |
현재까지 최다 제거 기록
2019년 로열 럼블까지 20명이상 제거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된 명수 | 참가횟수 |
---|---|---|
케인 | 44명 | 19회 |
숀 마이클스 | 39명 | 12회 |
언더테이커 | 39명 | 11회 |
스티브 오스틴 | 36명 | 6회 |
트리플 H | 32명 | 9회 |
빅 쇼 | 30명 | 12회 |
로만 레인즈 | 30명 | 5회 |
헐크 호건 | 27명 | 4회 |
존 시나 | 25명 | 8회 |
랜디 오튼 | 24명 | 4회 |
현재까지 최다 참가 횟수
2019년 로열 럼블까지 8번이상 참가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참가 횟수 | 첫 참가 | 마지막/최근 참가 |
---|---|---|---|
케인 | 19회 | 1996년 | 2016년 |
골더스트 | 13회 | 1997년 | 2018년 (GRR) |
숀 마이클스 | 12회 | 1988년 | 2010년 |
빅 쇼 | 12회 | 2000년 | 2017년 |
코피 킹스턴 | 12회 | 2009년 | 2019년 |
돌프 지글러 | 12회 | 2009년 | 2019년 |
언더테이커 | 11회 | 1991년 | 2017년 |
랜디 오튼 | 11회 | 2004년 | 2019년 |
더 미즈 | 11회 | 2007년 | 2018년 |
크리스 제리코 | 11회 | 2000년 | 2018년 (GRR) |
레이 미스테리오 | 10회 | 2003년 | 2019년 |
쉘턴 벤자민 | 10회 | 2003년 | 2019년 |
리키쉬 | 10회 | 1993년 | 2004년 |
마크 헨리 | 10회 | 1998년 | 2018년 (GRR) |
비세라 | 9회 | 1994년 | 2008년 |
트리플 H | 9회 | 1996년 | 2016년 |
그레이트 칼리 | 9회 | 2007년 | 2018년 (GRR) |
부커 T | 8회 | 2002년 | 2012년 |
갓파더 | 8회 | 1993년 | 2013년 |
알 트루쓰 | 8회 | 2001년 | 2016년 |
코디 로즈 | 8회 | 2008년 | 2016년 |
맷 하디 | 8회 | 2001년 | 2018년 |
최다로 제거된 기록
6명이상에게 제거당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한 명수 | 연도 | 제거한 선수들 목록 |
---|---|---|---|
비세라 | 8명 | 2007년 | 랍밴댐, 에지, CM펑크, 크리스 벤와, 존 모리슨, 쉘턴 벤자민, 하드코어 할리, 케빈 쏜 |
메이블 | 7명 | 1994년 | 그레이그 발렌타인, 타탕카, 그레이트 카부키, 크루쉬, 뱀뱀 비글로우, 스파키 플루그, 숀 마이클스 |
리키쉬 | 6명 | 2000년 | 빅 보스맨, 테스트, 브리티시 불도그, 갱그렐, 에지, 밥 백런드 |
쿠르건 | 6명 | 1998년 | 에이트-볼, 켄 샴락, 브래드쇼, 갓윈, 체인서 찰리, 더 락 |
무하마드 하산 | 6명 | 2005년 | 에지, 크리스 제리코, 크리스 벤와, 부커T, 쉘턴 벤자민, 루터 라인즈 |
자기자신이 제거한 기록
레슬러 | 연도 |
---|---|
안드레 더 자이언트 | 1989년 |
파룩 | 1997년 |
케인 | 1999년 |
드류 케리 | 2001년 |
믹 폴리 | 2004년 |
맷 하디 | 2019년 |
탈락은 되지 않았으나 난입 등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한 기록
레슬러 | 연도 | 비고 |
---|---|---|
랜디 새비지 | 1991년 | 18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참가를 포기했다. |
바션 부거 | 1994년 | 25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참가를 포기했다. |
스컬 | 1998년 | 22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참가를 포기했다. |
스파이크 더들리 | 2004년 | 13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케인의 공격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했다. |
테스트 | 2004년 | 원래 테스트가 21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21번은 믹 폴리가 대신 출전했다. |
스카티 2 하티 | 2005년 | 15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무하마드 하산의 공격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했다. |
혼스워글 | 2008년 | 9번으로 추첨 되었고 링에 들어가기 전에 링 밑에 숨었다가 다시 나와서 미즈를 탈락시켰다. 그러자 마크 헨리에 끌려와 위기에 처하자 핀레이가 등장하여 혼스워글을 구하고 혼스워글이 핀레이와 함께 나가면서 기권하였다. |
핀레이 | 2008년 | 27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혼스워글이 위기에 처하자 출전하기 전에 미리 혼스워글을 구하고 실격으로 혼스워글과 함께 나간다. |
커티스 액슬 | 2015년 | 6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에릭 로완의 난입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 하였다. |
타이 딜링거 | 2018년 | 10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케빈 오웬스와 새미 제인의 공격으로 참가를 포기하였고, 새미 제인가 대신 참전 하였다. |
알 트루스 | 2019년 | 30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나이아 잭스의 공격으로 참가를 포기하였고, 나이아 잭스가 대신 참전 하였다. |
이미 탈락된 선수가 제거하거나 참가추첨도 안 받은 사람이 제거한 기록
제거된 선수 | 제거한 선수 | 연도 | 비고 |
---|---|---|---|
언더테이커 | 자이언트 곤잘레스 | 1993년 | 당시 자이언트 곤잘레스는 이 경기에 참가 예정 된 선수가 아니었다. |
오웬 하트 | 트리플 H, 차이나 | 1998년 | 당시 둘은 이 경기에 참가 예정 된 선수가 아니었다. |
제프 제럿 | 오웬 하트 | 1998년 | 오웬이 이미 탈락된 상태에서 제럿을 탈락시켰다. |
메이블 | 미디언, 브래드쇼, 파룩 | 1999년 | 이 경기에 참가가 예정되지 않았던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의 세 멤버들이 메이블을 새로운 멤버로 만들기 위해 탈락시켰다. |
메이븐 | 언더테이커 | 2002년 | 언더테이커가 자신을 탈락시킨 메이븐을 탈락을 시키고 백스테이지까지 데려가 구타했다. |
숀 마이클스 | 커트 앵글 | 2005년 | 커트 앵글이 자신을 탈락시킨 숀 마이클스를 탈락을 시킨뒤 구타했다. |
숀 마이클스 | 쉐인 맥마흔 | 2006년 | 쉐인 맥마흔은 이 경기에 참가 예정 된 선수가 아니었다. |
케인 | 킹 부커 | 2007년 | 킹 부커가 자신을 탈락시킨 케인을 탈락 시킨 뒤 구타했다. |
언더테이커 | 빅 쇼 | 2009년 | 랜디 오턴에게 탈락당한 빅 쇼는 언더테이커를 탈락 시킨뒤 관중석까지 난투극을 벌인다. |
존 시나 | 더 미즈 | 2011년 | 이 경기에 참가 예정 된 선수가 아니었던 미즈가 알렉스 라일리를 이용해 존 시나를 탈락시켰다. |
마이클 콜 | 제리 럴러,부커 T | 2012년 | 이미 탈락된 제리 럴러와 부커 T가 마이클 콜을 몰래 탈락시켰다. |
잭 스웨거 | 빅 쇼 | 2012년 | 빅 쇼는 이 경기에 참전한 선수이고 이미 탈락된 선수도 아니었으며 유일하게 링에 들어가기 전에 쉐이머스를 도와 잭 스웨거를 탈락 시킨뒤 K.O. 펀치를 날렸다. |
다니엘 브라이언 | 케인 | 2013년 | 케인이 자신을 탈락시킨 다니엘 브라이언을 링 밖에서 링에 들어가게 하다가 그냥 놓아 두어서 탈락 시켰다. |
보 달라스 | 웨이드 배럿 | 2013년 | 웨이드 배럿이 자신을 탈락시킨 보 달라스를 탈락 시킨 뒤 피니셔로 작렬했다. |
CM 펑크 | 케인 | 2014년 | 케인이 오래전에 자신을 탈락시킨 CM 펑크를 탈락 시킨 뒤 초크슬램을 작렬했다. |
브록 레스너 | 루크 하퍼, 에릭 로완, 브라운 스트로먼 | 2016년 | 와이엇 패밀리 3명이 자신들을 모조리 탈락시킨 브록 레스너를 탈락 시킨 뒤 밖으로 데려가 버렸다. |
여성부[편집]
최다 우승자
레슬러 | 로열 럼블 우승한 기록 | 연도 |
---|---|---|
아스카 | 1회 | 2018년 |
베키 린치 | 1회 | 2019년 |
최후의 4인 (파이널 포, 27명 이후부터 탈락하거나 우승한 기록)
레슬러 | 최후의 4인 횟수 | 연도 |
---|---|---|
아스카 | 1회 | 2018년 |
니키 벨라 | 1회 | 2018년 |
브리 벨라 | 1회 | 2018년 |
사샤 뱅크스 | 1회 | 2018년 |
베키 린치 | 1회 | 2019년 |
샬럿 플레어 | 1회 | 2019년 |
베일리 | 1회 | 2019년 |
나이아 잭스 | 1회 | 2019년 |
최다 준우승
레슬러 | 준우승 | 연도 |
---|---|---|
니키 벨라 | 1회 | 2018년 |
샬럿 플레어 | 1회 | 2019년 |
한경기 최장 생존 기록
15분 이상 생존한 순서로 집계하였다.
순위 | 레슬러 | 시간 | 연도 | 결과 |
---|---|---|---|---|
1위 | 나탈리아 | 56분 1초 | 2019년 | 23번째로 탈락 |
2위 | 사샤 뱅크스 | 54분 46초 | 2018년 | 27번째로 탈락 |
3위 | 엠버 문 | 52분 23초 | 2019년 | 24번째로 탈락 |
4위 | 샬럿 플레어 | 50분 1초 | 2019년 | 마지막으로 탈락 |
5위 | 베키 린치 | 30분 54초 | 2018년 | 14번째로 탈락 |
6위 | 레이시 에반스 | 29분 20초 | 2019년 | 11번째로 탈락 |
7위 | 맨디 로즈 | 25분 50초 | 2019년 | 9번째로 탈락 |
8위 | 나탈리아 | 25분 34초 | 2018년 | 25번째로 탈락 |
9위 | 아스카 | 19분 41초 | 2018년 | 우승 |
10위 | 카멜라 | 18분 45초 | 2018년 | 21번째로 탈락 |
11위 | 나이아 잭스 | 17분 56초 | 2018년 | 23번째로 탈락 |
12위 | 카이리 세인 | 17분 0초 | 2019년 | 15번째로 탈락 |
13위 | 사라 로건 | 16분 30초 | 2018년 | 7번째로 탈락 |
13위 | 니키 벨라 | 16분 30초 | 2018년 | 마지막으로 탈락 |
한경기 최단 생존 기록
3분 미만의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시간 | 연도 |
---|---|---|
리브 모건 | 8초 | 2019년 |
비키 게레로 | 57초 | 2018년 |
나오미 | 1분 28초 | 2019년 |
타미나 | 1분 34초 | 2018년 |
재클린 | 1분 52초 | 2018년 |
베스 피닉스 | 2분 22초 | 2018년 |
라나 | 2분 54초 | 2018년 |
한경기 최다 제거 기록
3명이상 제거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된 명수 | 연도 |
---|---|---|
샬럿 플레어 | 5명 | 2019년 |
미쉘 맥쿨 | 5명 | 2018년 |
나이아 잭스 | 4명 | 2018년 |
니키 벨라 | 4명 | 2018년 |
베일리 | 3명 | 2019년 |
루비 라이엇 | 3명 | 2019년 |
리아 리플리 | 3명 | 2019년 |
사샤 뱅크스 | 3명 | 2018년 |
나탈리아 | 3명 | 2018년 |
아스카 | 3명 | 2018년 |
트리쉬 스트래터스 | 3명 | 2018년 |
현재까지 최다 제거 기록
2019년까지 통산으로 5명이상 제거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된 명수 | 참가 횟수 |
---|---|---|
나이아 잭스 | 7명 | 2회 |
미쉘 맥쿨 | 5명 | 1회 |
샬럿 플레어 | 5명 | 1회 |
루비 라이엇 | 5명 | 2회 |
나탈리아 | 5명 | 2회 |
최다로 제거된 기록
4명이상에게 제거당한 레슬러만 집계하였다.
레슬러 | 제거한 명수 | 연도 | 제거한 선수들 목록 |
---|---|---|---|
나이아 잭스 | 6명 | 2018년 | 트리쉬 스트래터스, 브리 벨라, 니키 벨라, 나탈리아, 베일레이, 아스카 |
비키 게레로 | 4명 | 2018년 | 미쉘 맥쿨, 베이키 린치, 사샤 뱅크스, 루비 라이엇 |
이미 탈락된 선수가 제거하거나 참가추첨도 안 받은 사람이 제거한 기록
제거된 선수 | 제거한 선수 | 연도 | 비고 |
---|---|---|---|
나오미 | 맨디 로즈 | 2019년 | 맨디 로즈가 자신을 탈락시킨 나오미를 탈락 시켰다. |
탈락은 되지 않았으나 난입 등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한 기록
레슬러 | 연도 | 비고 |
---|---|---|
라나 | 2019년 | 28번으로 추첨 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하였고, 베키 린치가 대신 참전하였다. |
뒷 이야기들[편집]
- 1988년
- 로열 럼블 원년이었던 이 대회의 로열 럼블은 20인 로열 럼블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다음 해인 1989년 로열 럼블부터 10명이 늘어난 30인 경기로 치러졌다.
- 1992년
- '로열 럼블 우승자가 레슬매니아에서 월드 챔피언십을 가질 수 있다.'라는 조항이 생기기 전인 이 대회의 30인 로열 럼블 대회는 WWF 챔피언십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 경기에서 릭 플레어가 우승하며 제19대 챔피언이 되는 것에 성공하였다.
- 1993년
- '로열 럼블 우승자가 레슬매니아에서 월드 챔피언십을 가질 수 있다.' 조항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 1994년
- 로열 럼블에서는 브렛 하트와 렉스 루거가 동시에 로프를 넘어가 두발이 땅에 닿음으로써 서로를 승자라고 주장하며 대립을 하였다. 결국 이날 심판에 의해 둘은 공동승자로 아나운싱되며 로열 럼블 경기 사상 최초의 공동승자로 기록되었다.
- 로열 럼블에서 렉스 루거와 브렛 하트가 공동승자로 선언되고 난뒤 레슬매니아에서는 당시 월드 챔피언이었던 요코즈나가 별도의 트리플 쓰렛 매치(1 vs 1 vs 1) 방식을 가지지 않고 하루에 두 경기를 통해 두 도전자를 상대 하게 되었다. 이 경기들에서 렉스 루거는 타이틀 매치에서 패배하여 타이틀을 가지지 못하였고 브렛 하트만 승리를 거두어 제26대 챔피언의 자리에 올라갔다.
- 1995년
- 로열 럼블에서는 당초 2번으로 등장한 브리티쉬 불독 선수가 1번으로 등장하였던 숀 마이클스를 로프로 넘겨 승리한 것으로 보였으나 심판의 판단에 의해 한발만이 땅에 닿은 것으로 인정되어 후에 숀마이클스가 브리티쉬 불독 선수를 넘기며 우승자로 선언되었다. 또한 이것은 로열 럼블 역사상 최초의 1번으로 등장하여 우승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 로열 럼블에서 최초로 1번으로 등장하여 우승하는 선수가 된 숀 마이클스는 그 해 열린 WWF 챔피언십에서 디젤을 상대로 타이틀 매치를 벌였으나 승리하지 못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어버렸다.
- 1997년
- 로열 럼블에서 스티브 오스틴은 로프를 넘어가 탈락으로 인정되었어야 하나 스티브 오스틴의 탈락장면을 심판이 보지 못하였고 결국 스티브 오스틴이 브렛 하트를 넘기며 우승자로 선언되었다. 이후 당시 챔피언이었던 숀 마이클스가 월드 챔피언 벨트를 부상의 이유로 반납하였고, 그 다음 열린 PPV '파이널 포'에서 브렛 하트는 WWF 챔피언에 올랐으나 그 다음 날 열린 RAW에서 오스틴에 의하여 타이틀을 빼앗겼다. 이것이 발단이 되어 레슬매니아에서는 스티브 오스틴은 브렛 하트와 서브미션 매치를 치루었고, 챔피언십은 당시 챔피언이 된 사이코 시드가 언더테이커를 상대로 치루었다.
- 1999년
- 로열 럼블 경기에서 2번으로 등장하여 우승을 차지한 빈스 맥맨은 그 해 2월 열린 발렌타인 데이 마스카에서 스티브 오스틴에게 지명 도전자 자리를 빼앗기며 그 해 레슬매니아 대회에서는 더 락 vs 스티브 오스틴의 WWF 챔피언십 경기가 이루어졌다.
- 2000년
- 로열 럼블 경기에서 24번으로 등장하여 우승을 차지한 더 락은 다음 달 열린 노 웨이 아웃에서 빅쇼에 의해 지명 도전자 자리를 잠시 빼앗기게 되었으나 다시 되찾아오며 그 해 열린 레슬매니아 대회에서는 페이탈 포 웨이(1 vs 1 vs 1 vs 1)경기가 진행되었다.그리고 이 경기에서는 그 당시 챔피언이었던 트리플 H가 승리를 거두며 사상 유래없는 악역 레슬러가 레슬매니아를 장식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 2003년
- 로열 럼블 대회에서는 1번으로 등장하였던 숀 마이클스가 크리스챤의 방해로 인하여 크리스 제리코에 의해 1번으로 탈락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 2004년
- 이 당시 스맥다운 소속이었던 상태에서 우승을 차지한 크리스 벤와는 승리 이후 러로 이적을 하여 그 당시 대립을 이루었던 트리플 H와 숀 마이클스 사이에 개입하며 그 해 레슬매니아에서는 사상 첫 트리플 쓰렛 매치가 진행되었다.
- 2005년
- 로열 럼블에서는 존 시나와 바티스타가 남아있던 상황속에서 1994년과 마찬가지로 두 선수가 동시에 로프를 넘어가 두 발이 땅에 닿아 각 브랜드(로우,스맥다운)의 심판들이 서로 자신이 속해 있는 브랜드의 선수를 승자라고 선언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당시 바티스타는 RAW소속, 존 시나는 스맥다운 소속이었다.) 결국 WWE의 회장 빈스 맥맨에 의하여 두 선수에 한해 재경기가 지시되었고 바티스타가 존 시나를 넘기며 최종 승자로 선언되었다.
- 2006년
- 로열 럼블에서 2번으로 등장하여 로열 럼블 우승을 한 레이 미스테리오는 그 해 노 웨이 아웃에서 랜디 오턴에 의해 지명 도전자 자리를 빼앗기게 되었으나 스맥다운 단장에 의해 지명 도전자 자리를 찾게되고 그 해 레슬매니아 대회에서는 트리플 쓰렛 매치로 챔피언십이 진행되었다.
- 또한 레이 미스테리오는 로열 럼블 역사상 최장 생존 기록을 가지고 있다.(62분 12초)
- 2007년
- 로열 럼블에서는 30번으로 등장했던 언더테이커가 최종 승자가 되면서 로열 럼블 대회 최초로 30번으로 등장하여 우승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 2008년
- 로열 럼블에서 30번으로 등장하여 우승한 존 시나는 지명 도전자 자격을 레슬매니아가 아닌 노 웨이 아웃에서 사용하였으나 타이틀을 가져오는 데는 실패하였다. 그리고 그 해 열린 레슬매니아에서도 트리플 쓰렛 매치로 타이틀에 도전하였으나 역시 타이틀을 가져오는 데 실패하였다.
- 2009년
- 로열 럼블에서 8번으로 등장하여 우승한 랜디 오턴은 그 해 열린 레슬매니아에서 트리플 H에게 도전하였으나 타이틀을 따내지 못하였다.(이후 랜디 오턴은 다음 달 열린 백레쉬에서 3대3 태그팀 매치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타이틀을 가지는 데 성공하였다.)
- 2010년
- 로열 럼블에서 우승한 에지는 그 해 열린 레슬매니아에서 월드 헤비급 챔피언 크리스 제리코에게 도전하였으나 패배를하며 타이틀을 따내는데 실패하였다.
- 2011년
- 로열 럼블을 우승한 알베르토 델 리오는 그 해 열린 레슬매니아에서 월드 헤비급 챔피언 에지에게 도전하였으나 패배를 하며 타이틀을 따내는데 실패하였다.
- 이 해 열린 로열 럼블은 30인 경기에서 10명이 늘어난 40인 로열 럼블 경기로 치러졌다.
- 2012년
- 이 해 열린 로열 럼블 경기는 다시 30명 경기로 치러졌다
- 2014년
- 바티스타가 승자로 선언되고 난 뒤, 당시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인 랜디 오턴과 1 vs 1로 레슬매니아에서 대결을 펼칠 예정이었으나 WWE 소속 선수이자 전 WWE 챔피언 대니얼 브라이언이 자신에 대한 회사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자신 역시 레슬매니아에서 열릴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치룰 수 있게 해달라고 링 위를 점거하며 강력하게 요구를 했다. 이에 WWE COO인 트리플 H는 '자신과의 레슬매니아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는 선수가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 참가한다.' 는 조건을 달아 요구 사항을 일부 수락하였다. 이에 레슬매니아 당일 트리플 H와 대니얼 브라이언 간의 경기가 열리게 되었고 이 경기에서 대니얼 브라이언이 승리를 거두게 되며 당일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은 랜디 오턴 vs 바티스타 vs 대니얼 브라이언의 트리플 쓰렛 매치로 변경되었고, 이 경기에서도 대니얼 브라이언이 승리를 거두며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 되는데 성공하였다.
- 2016년
- 24년만에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이 걸리게 되었으며, 챔피언 방어전으로는 최초로 치뤄지게 된다. (1990년 헐크 호건이 참가했을 당시는 방어전이 아니었으며, 1992년에는 챔피언 자리가 공석)
- 2018년
- 이 해 최초로 여성 로열 럼블 매치가 열렸다.
- 여성 로열 럼블 매치에서 아스카가 25번으로 우승해 레슬매니아 34에서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인 샬럿 플레어를 상대로 타이틀 매치를 벌였으나 여성으로서 승리하지 못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어버렸다.
- 이 해 남성부 로열 럼블과 여성부 로열 럼블은 황인 혹은 일본인 레슬러가 모두 우승했다.
- 2019년
- 두 번째 여성 로열 럼블 매치에서 28번으로 라나가 추첨 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하여 참가를 포기하였고, 베키 린치가 부상 입은 라나를 대신해 참가를 하였고 우승을 차지했다.
- 기타
- 최근 10년간 로열 럼블의 우승자가 레슬매니아에서 타이틀을 획득할 확률은 60%의 확률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