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예
띠예 | |
---|---|
개인 정보 | |
본명 | 화지예[1] |
출생 | 1월 21일 2009년(13–14세)[2]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유튜버 |
유튜브 정보 |
띠예(본명: 화지예, 2009년~)는 대한민국의 키즈 크리에이터이다. 주로 ASMR, 먹방, 브이로그 동영상을 올린다. 띠예라는 이름은 자신의 본명인 지예로부터 생겨났다. 띠예의 영상에는 대표적으로 화제를 일으킨 바다포도 영상과 동치미 무 영상이 있다. 동치미 무 영상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패러디를 하였다.
생애[편집]
2009년에 출생하여 2017년 11월 19일에 유튜브에 가입하였다.[3] 2018년 11월 2일 유튜브에 첫 동영상인 '바다포도 먹어보기'를 업로드하였다. 2019년 5월 26일 잠실야구장에서 시구자로 참여하였고[4], 같은 해 10월 11일에 수학 공부를 하겠다며 유튜브 휴식을 선언하였다.[5]
영상과 채널의 특성[편집]
띠예의 영상은 바다포도, 머랭 쿠키, 동치미 무, 식용 색종이 등을 씹어 먹는 소리를 들려 주는 ASMR(자율 감각 쾌락 반응) 영상이다.[6] 화려하기보다 어설프지만, 잠옷을 입고 영상을 찍거나 테이프로 이어폰을 고정하고,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키네마스터를 사용하는 등 순수한 모습에 큰 인기를 끌었다.[7][8][9] 띠예의 유튜브를 구독하는 시청자들은 랜선을 통한 이모가 되어 주겠다는 등 띠예와의 소통을 시도하고, 해학적이고 기발한 댓글을 다는 일명 ‘주접 댓글’을 달면서 동영상을 즐겼다.[10][11][1] ‘달콤이(들)’이라 불리는 띠예의 팬들은 영상에 악성 댓글이 달리면 이를 반박하고 띠예를 응원하는 댓글을 달았으며, 띠예의 미래를 고민하기도 하였다.[2][12] 띠예 역시 댓글과 공지 게시글 등의 방식으로 구독자와 소통하고,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영상을 찍어 직접 편집하여 올리는 등, 띠예의 채널은 일종의 커뮤니티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지녔다.[2]
그러나 띠예의 방송을 사칭한 계정이 생기거나 허락 없이 띠예의 영상을 모방하는 유튜버가 등장하는 등의 사건이 뒤따랐고, 띠예의 자아가 악성 댓글 등 혐오발언으로부터 보호받기 어려움을 우려하는 시각도 나타났다.[10][13] 일부 누리꾼은 시청자들의 댓글 문화가 띠예와 자신들의 나이를 대비함으로써 유아를 대상화한다고 지적하였다.[10] 급기야 2018년 12월 중순에 띠예가 올린 여러 영상이 신고 누적으로 게시가 중단되었으며[6], 며칠 만에 맨 처음 올렸던 바다포도 영상만 남게 되었다.[14] 띠예의 구독자가 늘고 채널이 성장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누리꾼들이 집단으로 나서 거짓으로 신고하였다고 추정되었으며, 띠예의 부모는 악성 댓글에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14][15] 게시가 중단되었던 영상은 복구되었지만, 2019년 1월에 새로 올린 김치전 ASMR 영상이 며칠 만에 다시 정지되는 일이 이어졌다.[16] 2019년 3월, 유튜브 측의 정책 변경으로 띠예의 영상에는 댓글을 달 수 없게 되었다.[17]
각주[편집]
- ↑ 가 나 김건희 (2020년 9월 1일). “[사바나] ‘주접 댓글’ 놀이에 빠진 MZ세대”. 신동아.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배철순 (2019년 2월 18일). “랜선 이모, 삼촌들이 응원하는 ‘띠예’”. 주간동아.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정보”. 《유튜브》. 띠예.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김다영 (2019년 5월 24일). “‘모태 두산 팬’ 어린이 유튜버 ‘띠예’ 26일 잠실서 시구한다”. 국민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커뮤니티”. 《유튜브》. 띠예.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은비 (2018년 12월 18일). “'초등학생 유튜버' 띠예, 계속된 신고로 게시물 삭제되…"죄송하다"”. YTN.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한류경 (2018년 12월 5일). “[스브스타] '오독오독'…'먹방 ASMR' 영상으로 화제 모은 초등생 유튜버”. SBS.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김인구 (2019년 1월 9일). “모바일 동영상 전성시대 ‘유튜버 되는 법’”. 문화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조연경 (2019년 4월 5일). “"모바일 동영상 편집앱 올인...美 유튜버들도 사로잡을 것"”. 매일경제.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손유빈 (2018년 12월 11일). “한달만에 구독자 33만 얻은 초등학생 유튜버 띠예에게 생긴 일”. 세계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남혜정 (2019년 3월 28일). “스터디부터 연애까지… 취향 맞는 사람들과 ‘랜선 친구’ [대한민국 신인간관계 보고서]”. 세계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곽주현 (2019년 3월 6일). “'어린이 나오면 댓글 차단' 유튜브, 기준이 뭘까”. 한국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김아사 (2019년 1월 19일). “[아무튼, 주말] 조회 수가 곧 돈이라서… 혐오를 팝니다”. 조선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박은주 (2018년 12월 21일). ““아이가 태연한 척하지만…” 하나 남은 영상에 띠예 부모가 올린 글”. 국민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문지영 (2018년 12월 21일). “[사회]유튜버 '띠예' 부모님 "매크로 답변만 돌아와"...영상 하나 남았다”. YTN.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신은정 (2019년 1월 10일). “김치전 먹은 게 단데… 또 삭제당한 꼬마 유튜버 ‘띠예’ 영상”. 국민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김도현 (2019년 3월 7일). “‘어린이 영상 댓글 금지’ 유튜브 초강수에, 네티즌 찬반 격론”. 국민일보.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