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머리딱따구리
![]() | ||||||||||||||||||
![]() | ||||||||||||||||||
![]() 수컷(상)과 암컷(하)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Dryocopus pileatus (Linnaeus, 1758) | ||||||||||||||||||
![]() 도가머리딱따구리의 분포 |
도가머리딱따구리(영어: pileated woodpecker)는 북미에 자생하는 대형 딱따구리 종이다. 충식성이며, 동부의 낙엽수림, 오대호 부근, 캐나다의 북방수림, 그리고 태평양 해안의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미국의 딱따구리 중(멸종된종 포함) 흰부리딱따구리 (멸종됨)다음으로 크다.[2]
각주[편집]
- ↑ BirdLife International (2012). “Dryocopus pileat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Ivory-Billed Woodpecker, Life History”. 《The Cornell Lab of Ornithology; All About Birds》. Cornell University. 2016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