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봉환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대정봉환(일본어: 大政奉還 타이세이호칸[*])은 1867년 11월 9일(게이오 3년 10월 14일[3]) 일본 니조성에서 에도 막부 제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메이지 천황에게 정권을 반납할 것을 선언하고, 다음날인 1867년 11월 10일[시 1]에 천황이 이를 허가한 정치적 사건이다.
개요
[편집]에도 시대 도쿠가와 쇼군가는 일본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군림하고 있었다. 그러나 '천황이 국가 통치를 쇼군에게 위임하고 있다'는 대정위임론(大政委任論)[주 1]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에도 막부 말기, 조정은 자립적인 정치 세력으로 급격히 부상했고, 주로 대외 문제에 있어서 막부와 다른 의견을 내세우며 막부 권력의 정통성을 위협했다. 이런 상황에서 막부는 조정에 대정위임의 재확인을 요구하게 된다.
1863년(분큐 3년) 음력 3월부터 다음 해인 1864년(겐지 원년) 음력 4월에 각각 약간의 보류 뒤 대정위임이 재확인되었고, 그때까지 관례에 불과했던 대정위임론이 실질화·제도화되었다.
1867년 11월 10일[시 2]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대정봉환을 통해 막말의 조막교섭에서 재확인된'대정(정권)'을 천황에게 반납하였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요시노부는 여전히 쇼군직에 있었고, 계속해서 각 번에 대한 군권을 갖고 있었다. 그는 1867년 11월 19일(음력 10월 24일)에 쇼군직사직원을 제출하였으며, 막부의 폐지는 1868년 1월 3일[시 3]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이루어졌다.
대정봉환의 목적은 내전을 피하고, 막부의 독재를 시정하여 도쿠가와 종가를 필두로 하는 제후들에 의한 '공의 정권 체제'(公議政体論)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정봉환 이후 예정되었던 제후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사이에 사쓰마번을 중심으로 한 토막파에 의해 내란(도바·후시미 전투, 보신전쟁)이 일어났다.
과정
[편집]※아래의 날짜는 전부 음력이다.
공무합체와 대정봉환론
[편집]막부 말기 개국과 통상 조약 체결 문제를 놓고 국론이 분열되었고, 이는 막부와 조정 간의 의견불일치와 전쟁으로 표면화되었다. 막부는 1858년(안세이 5년)에 '무오의 밀칙'이 막부를 통하지 않고 미토번에 직접 내려진 것을 시작으로, 마침내 조정이 막부의 정치 개혁과 양이의 실행을 요구하는 등의 사태에 직면했다. 막부는 '조정과 막부의 일치', 즉 공무합체의 일환으로 '대정위임'의 재확인과 제도화를 조정에 요구하게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막부의 명령'이 곧 '조정의 명령'이 되는 정령일도(政令一途)에 의한 막부 권력의 재강화와 나라의 통일을 노린 것이었다.
한편 마쓰다이라 슌가쿠의 요청을 받아 에치젠번의 개혁을 단행한 요코이 쇼난과 오쿠보 이치오, 카쓰 가이슈 등의 개화적인 막부 신료들은 대정봉환론 내지는 대정반상론(大政返上論)을 일찍부터 주창했다. 그러나 막부는 조정의 양이 요구와 타협하면서도, 어디까지나 '공무합체'를 추진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을 현실화시킬 수 없었다.
도사 번의 대정봉환 건의
[편집]웅번의 정치 참가를 포함하는 공무합체를 구상하고 있던 사쓰마번은 참예회의(參預會議, 1864년)의 붕괴 이후, 쇼군후견직 도쿠가와 요시노부나 막각[주 2]과의 대립이 깊어졌다. 또한 비장의 카드로 여기고 있던 사후회의(四侯會議, 1867년)도 15대 쇼군으로 취임한 요시노부의 정치력에 의해 무력화되었기 때문에 요시노부를 전제로 한 제후회의 노선을 단념했다. 그리고 조슈번과 함께 노선을 무력토막으로 바꾸어 전쟁을 통해 막부를 쓰러뜨린다. 5월 21일 도사번의 번사[주 3] 이누이 다이스케와 다니 다테키 등이 나카오카 신타로의 중개로 사쓰마번 가로 고마쓰 다테와키의 교토 사저인 오하나바타케야시키(御花畑屋敷)에서 같은 번의 번사 사이고 다카모리나 요시 고스케 등과 삿토 토막의 밀약을 맺는다.[4]
이것에 대항하여 대정봉환론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 도사번의 참정[주 4] 고토 쇼지로다. 6월 9일에 사카모토 료마가 대정봉환을 포함한 새로운 정치 강령인《선중8책(船中八策)》을 고토에게 제시했다고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는 후세의 창작이라고도 한다. 상세는 선중8책 항목을 참조할 것.
사토는 6월 17일부터 재경(在京) 도사번 간부인 데라무라 미치나리, 마나베 마사무네, 후쿠오카 다카치카 등에게 대정봉환론의 채용을 주장했다. 이에 사쓰마번의 고마쓰 다케와키 등도 동의하였고, 6월 22일 삿토 맹약이 체결되었다. 이는 막부가 조정에 대정을 봉환해서 정권을 일원화하고, 새로이 조정에 의사당을 설치하여 국시를 결정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그 의원은 공경부터 제후·배신[주 5]·서민에 이르기까지 '정의로운 자'를 선거할 것으로 여겨졌다.
대정봉환론은 평화 뒤에서의 정치 체제 변혁을 구상한 것이었다. 그러나 사쓰마번은 요시노부가 대정봉환을 거부할 것으로 보고, 이를 토막의 구실로 삼으려 동의했다고 여겨진다. 이런 이유로 맹약에는 도사번의 상경(上京) 출병 및 쇼군직의 폐지를 건의서에 명기할 것이 약속되었다.
고토는 곧 귀국해서 도사번병(土佐藩兵)을 인솔할 예정이었었다. 그러나 도사번에 은거하던 야마우치 요도가 대정봉환을 번론(藩論)으로 하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상경 출병은 반대하여 건의서 조문에서 쇼군직 폐지를 지워버렸다. 한편 사쓰마번은 조슈번 및 게슈번과 함께 무력토막 노선도 추진하고 있었기에 결국 9월 7일 삿토 맹약은 깨지고 만다.
대정봉환의 성립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내용
[편집]막부는 국가의 모든 정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들어 막부의 전제 정치를 비판하는 개혁 여론이 높아졌고, 1867년 서남 지역의 사쓰마번(현 가고시마현)과 조슈번(현 야마구치현)은 막부 타도를 위한 동맹을 결성했다. 도사번의 번주 야마우치 요도는 도사 번 출신 사무라이 사카모토 료마에게 대정봉환을 직소할 것을 권유 받았고, 이를 수렴해 막부 타도 세력을 견제하여 신 정권을 수립하고자 에도 막부 제15대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천황에게 국가 통치권을 돌려주라”고 권고하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힘이 약해진 쇼군은 국가 통치권을 돌려준 뒤에도 새로운 정치체제 아래서 권력을 장악해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 방안을 수용했다. 그리하여 11월 10일 천황에게 통치권 반환을 신청했고, 그 다음날 천황이 이를 허가했다. 이에 따라 교토에서 제후 회의를 열기로 했으나 무산됐다. 그 사이에 막부를 타도하려고 동맹을 맺은 반막부 체제 세력들은 막부 정권을 물리치고 대정봉환에 성공했고, 1868년 1월 3일에 왕정복고와 함께 일본제국의 수립을 선언했다. 그리고 1868년 5월 3일, 에도는 일본제국군의 손에 떨어지게 되었으며, 도쿠가와 막부는 결국 붕괴되고 말았다.
참고사항
[편집]"메이지 N년"은, 일본제국이 성립된 서기 1868년을 1년으로 하고 있지만, 대정봉환이 일어난 서기 1867년은 "메이지 0년"에 해당한다. 즉, "메이지 N년"은 "대정봉환으로 N년 후"를 의미하고 있다.
제국 시대에는 천황에 대한 이벤트는 11월 10일 실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쇼와 천황의 즉위식 (1928년)와 황기 2600년 기념식 (1940년)은 모두 11월 10일에 개최되었다. 이것은 대정봉환 다음날 맞는 11월 10일에 연관되어있다.
각주
[편집]시간주
[편집]내용주
[편집]참조주
[편집]- ↑ 青山忠正 2017, 131쪽.
- ↑ 青山忠正 2017, 131-133쪽.
- ↑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Yahoo!ニュース》. 2020년 8월 24일. 2020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板垣精神 : 明治維新百五十年・板垣退助先生薨去百回忌記念』”. 一般社団法人 板垣退助先生顕彰会. 2019년 2월 11일. 2019년 8월 30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