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보현 (187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현
북조선농림성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
임기  1948년 9월 16일 ~ 1949년 10월 1일
주석 김두봉
총리 김일성
장관 박문규 북조선 농림상
차관 한전종 북조선 농림성 부상

신상정보
출생일 1871년 10월 3일(1871-10-03)
사망일 1955년 9월 2일(1955-09-02)(83세)
정당 무소속
부모 김응우(부), 리씨 부인(모)
배우자 이보익
자녀 김형직(장남)
친인척 김일성(손자)
김정일(증손)

김보현(金輔鉉, 1871년 양력 10월 3일(음력 8월 19일) ~ 1955년 양력 9월 2일)은 평안남도 출신의 농업인[1]이다. 본관은 전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4대 주석 김일성의 할아버지[1][2]이다. 고손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만경대 산당지기인 김응우의 외아들[1]로 태어났으며, 김응우가 일찍 사망하여 소작살이로 어려운 생활을 했다. 김보현은 박정희의 아버지인 박성빈과 동일한 1871년 생 동갑내기이다. 이보익과 결혼하여 김일성의 아버지인 장남 김형직 등의 3남 3녀를 낳았다. 일찍 부모를 잃은 손자 김일성을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

1945년 조선 광복 후 1945년 9월 16일에서부터 1946년 5월 31일까지 평안남도 대동군 태수(平安南道 大同郡 太守) 직을 지냈을 뿐인 그의 행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우상화를 위하여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어 우상화 되고 있다. 농업 간부 재교육을 위한 김보현대학1994년 그의 이름을 따서 개칭한 명칭이다. 1948년 9월 16일에서부터 1949년 10월 1일까지 1년간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업성 예하 고급특별고문역보좌관(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農業省 高級特別顧問役補佐官) 직을 지낸 그는 1949년 10월 1일을 기하여 관직 본격 은퇴 후 1955년에 향년 85세로 사망하였다. 만경대의 묘지에는 그의 반신상이 세워져 있다.

가족 관계

각주

  1. “김씨일가의 거지근성”. 2020년 9월 28일에 확인함. 
  2. NEWSIS (2020년 2월 9일). “[광복 75주년] 김일성과 조부 김보현”. 2020년 9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