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균
보이기
김광균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14년 1월 19일 일제강점기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 지파리 |
사망 | 1993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79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수필가, 문학평론가, 기업가 |
학력 | 경기개성송도고등상업학교 졸업(1932년) |
경력 | KS물산 회장 |
본관 | 웅천 |
종교 | 개신교(예장통합)→천주교(세례명: 나자렛의 요셉) |
필명 | 호(號)는 우사(雨社)·우두(雨杜) |
활동기간 | 1926년~1973년 |
장르 | 시, 수필, 평론, 시론 |
수상 | 1990년 제2회 정지용 문학상 수상 1991년 은관문화훈장 수상 |
배우자 | 김선희 |
자녀 | 4남 2녀(6남매) (그들 가운데 장남 김영종, 장녀 김영자[1], 차녀 김은영) |
형제 | 3남 1녀(4남매) 중 장남(둘째) (누나 1명, 남동생 2명) |
친지 | 허완구(첫째사위)[2] 전성우(둘째사위) 전인건(외손) 전형필(사돈) 박종화(사돈) |
주요 작품 | |
시집 《와사등》, 《기항지》, 《황혼가》 |
김광균(金光均, 1914년 1월 19일~1993년 1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시인(1973년 은퇴 및 절필)이었으며, 1926년에 등단한 시문학에서 약47년여만에 은퇴한 이후에는 기업가 겸 실업가로 활약하였다.
본은 웅천(熊川)이고, 호(號)는 우사(雨社)·우두(雨杜)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경기 개성 출생이다.
13세 시절이던 1926년에 시인으로 첫 등단한 그는 〈‘시인부락’〉의 동인으로 활약하는 등, 모더니즘 시문학 운동에 자극을 받아 “시는 하나의 그림(회화)이다”라는 시론을 전개하면서 주지적·시각적인 시를 계속 발표하여 시단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고, 1973년 시인에서 은퇴한 이후에도 후진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시집에 《와사등》, 《기항지》, 《황혼가》 등이 있다.
1926년 시인으로 첫 입문하였으며, 아직 광복 이전이던 1937년경부터 경성부에 이주한 그는, 1969년 실업계에 투신한 이후 1973년 시문학가 분야에서는 완전히 전격 은퇴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8·15 을유해방)이 도래한 후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중에 북괴군(북한인민공산군)한테 납북된 첫째 남동생이 운영하던 건설상회 업체를 대신 운영하면서, 1969년에 중견 기업(KS물산)으로 키워내는 등 후대엔 시인(1973년 은퇴)의 길이 아닌, 기업가로 활동했다.
1973년 시인(시문학)에서 은퇴(절필)한지도 17년이 지난 1990년, 〈제2회 정지용 문학상〉을 수상키도 했다.
참고 문헌
[편집]- 『한국현대시인연구』(김재홍, 일지사, 1986)
- 『한국모너니즘시연구』(문덕수, 시문학사, 1981)
- 『한국현대시인연구』(정태용, 어문각, 1976)
각주
[편집]이 글은 시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