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카브 프리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궁수자리 베타1에서 넘어옴)

아르카브 프리오르
아르카브 프리오르(β¹)는 궁수자리 영역 하단 경계에 있다.
아르카브 프리오르(β¹)는 궁수자리 영역 하단 경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베타¹(β¹Sqr)
밝은 별 목록 HR 7337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81454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29646
소천성표 CD−44° 13277
히파르코스 목록 HIP 95241
다른 이름 FK5 1502, WDS J19226-4428A.[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9h 22m 38.29770s[2]
적위(δ) −44° 27′ 32.2458″[2]
겉보기등급(m) +4.01[3]
절대등급(M) −1.32[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0.7±2.7 km/s[5]
적경 고유운동 +13.67 mas/yr[2]
적위 고유운동 −19.03 mas/yr[2]
연주시차 10.40 ± 1.14 밀리초각[2]
성질
나이 2억 2400만 년[6]
분광형 B9 V + A5 V[7][8]
U-B 색지수 −0.39[3]
B-V 색지수 −0.10[3]
추가 사항
질량 A: 3.67±0.14 M[9]
반지름 A: 2.73 / B: 1.89 R[8]
중원소 함량 (Fe/H) −0.35[10]
표면 중력 (log g) 3.83 cgs[10]
자전 속도 A: 85±13 / B: 140±21 km/s[8]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아르카브 프리오르(Arkab Prior) 또는 궁수자리 베타11 Sgr)은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11] 망원경자리와 맞닿는 경계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 쌍성계 구성원 둘 중 밝은 쪽에 계 전체를 부르던 전통적 이름 아르카브 프리오르가 붙어 있다.[12][13]

속성[편집]

계 전체의 겉보기등급은 +4.01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3] 지구에서 볼 때의 시차 변화량은 10.40 밀리초각으로[2] 이로부터 이 계는 지구로부터 약 310 광년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이 별과 우리 사이에 있는 성간 먼지 때문에 소광 효과가 일어나 0.17만큼 어두워진다.[6]

이 계를 이루는 두 별은 서로 28.3 초각 각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11] 이 간격은 실제로 3290 천문단위 정도이다.[8]

주성 궁수자리 베타1 A는 분광형 B9 V의 B형 주계열성이다.[7][8] A는 주계열상의 일생 중 대략 95%를 보냈다.[9] A의 질량은 태양의 3.7 배이며[9] 반지름은 2.7 배이다.[8] 추정 나이는 2억 2400만 년이며[6] 자전 속도는 초당 85 킬로미터이다.[8] 표면의 유효온도는 11960 켈빈으로 태양의 324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9][10]

반성 궁수자리 베타1 B는 분광형 A5 V의 주계열성으로 겉보기등급은 7.4이다.[11][7] 반지름은 태양의 1.89 배이며[8] 자전 속도는 초당 140 킬로미터로 주성보다 빠르게 돌고 있는 것 같다.[8]

명명법[편집]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을 조직했다.[14] WGSN은 2016년 10월 5일 궁수자리 베타1아르카브 프리오르(Arkab Prior) 명칭을 공식 부여했다.[13] WGSN은 다중성계를 구성하는 항성들에 식별자(예: 워싱턴 이중성 목록이 쓰는 기호)가 명확히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겉보기 등급이 가장 밝은 구성원에 고유 명칭이 부여된 것으로 간주한다.[15]

궁수자리 베타1(β1 Sgr)은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명칭이다. 계의 구성원 둘에 각각 궁수자리 베타1 A, B를 부여한 것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이 다중성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례에 따른 것이며 IAU도 이 체계를 채택했다.[16]

중화권에서 아르카브 프리오르는 천연(天淵, 하늘의 연못)에 속해 있다. 천연은 아르카브 프리오르 외에 궁수자리 베타2, 궁수자리 알파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아르카브 프리오르 하나만을 부르는 명칭은 천연2(天淵二, 하늘의 연못 중 두 번째)이다.[17]

각주[편집]

  1. “bet01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7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5. Gontcharov, G. A. (2006),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Astronomy Letters》 32 (11): 759, arXiv:1606.08053, Bibcode:2006AstL...32..759G, doi:10.1134/S1063773706110065. 
  6. Gontcharov, G. A. (November 2012), “Spatial distribution and kinematics of OB stars”, 《Astronomy Letters》 38 (11): 694–706, arXiv:1606.09028, Bibcode:2012AstL...38..694G, doi:10.1134/S1063773712110035. 
  7. Levato, H. (1975), “Rotational velocities and spectral types for a sample of binary systems”, 《Astronomy and Astrophysics》 19: 91, Bibcode:1975A&AS...19...91L. 
  8. Howe, K. S.; Clarke, C. J. (January 2009), “An analysis of v sin (i) correlations in early-type binari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2 (1): 448–454, Bibcode:2009MNRAS.392..448H, doi:10.1111/j.1365-2966.2008.14073.x. 
  9. Zorec, J.; Royer, F. (January 201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V. Evolution of rotational velocities”, 《Astronomy & Astrophysics》 537: A120, arXiv:1201.2052, Bibcode:2012A&A...537A.120Z, doi:10.1051/0004-6361/201117691. 
  10. Hempel, M.; Holweger, H. (September 2003), “Abundance analysis of late B stars. Evidence for diffusion and against weak stellar win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08: 1065–1076, Bibcode:2003A&A...408.1065H, doi:10.1051/0004-6361:20030889. 
  11.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12.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13.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4.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5.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2” (PDF).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6.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17.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 日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좌표: 하늘 지도 19h 22m 38.29770s, −44° 27′ 32.2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