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옥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4월) |

곡옥(曲玉) 또는 굽은 옥, 일본어 구옥(일본어: 勾玉 magatama[*]), 영어 comma shaped jade은 금관, 목걸이, 귀걸이, 허리띠 장식으로 사용되었으며, 가야, 신라, 백제, 고구려 시대 고분, 중국 요령성, 일본 조몬 말기와 야요이 유적, 남미 유적에서 출토되는 옥(jade) 유물이다. 월지족 거주지였던 시베리아 파지리크 지역 고분에서 발견된 카펫에 새겨진 말의 앞가슴과 코잔등에 달린 곡옥이 있다. 이런 말을 탄 기사도는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세폴리스의 조각도나 안장에서도 발견된다. 월지족 이주경로에서 표지 유물로 곡옥은 고인돌과 함께 나타난다. 곡옥 유물 이전 시대에 곰형 옥기 유물이 흥산문화(기원전 4500-기원전 3000)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옥결(옥 귀걸이) 유물이 부산 가덕도 신석기 유적(기원전 8000)과 강원도 고성 문암리, 흥산문화의 전신인 차하이, 싱릉와 (기원전 6000)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신라 천마총 금관 곡옥 장식 신라 금목걸이 곡옥 장식
곡옥은 머리 부분에 1개의 구멍이 뚫린 모양이며, 두 개의 곡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하면 2 태극 문양이다. 곡옥은 태양신을 나타내는 부적이었다. 곡옥은 태아의 모습이나 동물의 이빨 모양이라는 설이 있으나 근거는 없다. 태양이 움직이는 길(황도)을 형상화한 2 태극 문양은 조로아스터교 태양신 미트라를 상징한다. 황도 곡선에 따른 2 태극 문양이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47) 때 건립된 첨성대 구조, 몽골 국기에 나타난다. 고대 페르시야 니샤푸르 유적에서 육광성과 팔광성 속에 태극 문양이 있다. 팔광성 속에 그려진 태극 문양은 페르시아 아나히타 여신과 미트라를 나타내는 것이다. 중국의 하도낙서, 복희팔괘도에는 태극 문양이 없고, 남송의 체계통(1135-1198)의 자연도(태극전도)에 처음으로 2 태극 문양이 나타났다.
엄밀히 말하면 옥으로 만든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정이나 유리 등으로 만든 것도 있기 때문에 굽은 옥, 곱은 옥, 곡옥 등은 엄밀히 말해 잘못된 표현이며, "굽은 구슬"이라 해야 가장 옳다.
원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반도 및 만주에서 즐겨 쓰이던 장신구의 일종으로, 일본 쪽에서는 원래 형태가 옥을 갈아 동물의 이빨 모양으로 다듬은 것이라고 하는데, 국내 출토 유물의 경우 돌 고리를 반으로 자른 반원형이 더 오래전부터 나타난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신라 고분에서 발견되는 왕관이나 목걸이에서 볼 수 있다. 굵은 쪽에 구멍을 뚫고 꿰거나 금 장식을 씌우는 등 매우 화려하게 치장되기도 한다. 일본으로 건너가서는 곡률이 커지고 머리와 꼬리의 굵기 차이가 더욱 심해져서 전체적으로 동글동글해진다. 태극의 한쪽 원환을 떼어놓은 모양. 재질은 유리나 보석으로 만들지만, 종종 흙을 빚어 만든 것도 있다.
== 굽은 구슬이 상징하는 것 ==
굽은 구슬이 무엇을 뜻하냐는 것에 대한 몇가지의 설이 있다.
첫째, 동물의 이빨을 형상화했다는 설이다. 굽은 구슬은 목걸이의 장식으로도 많이 쓰는데, 원시적 삶을 사는 부족들이 오늘날에도 동물의 이빨을 목에 걸고 다니는 것과 같은 것이라는 설이다. 이 경우 굽은 구슬은 사냥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 혹은 사냥으로 동물을 죽인 힘을 상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태아를 형상화했다는 설이다. 이 경우 굽은 구슬은 다산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태극무늬의 원형이라는 설이다. 태극은 중국에서 생겨 한국으로 옮겨왔다는 설과 한국에서 자체적으로 생겨났다는 설이 대치되고 있는데, 굽은 구슬이 태극무늬의 원형이라는 설을 받아들일 경우 태극이 한국에서 기원했다는 설은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된다.
넷째, 소리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다. 한자에도 성스러울 성(聖)자에 귀 이(耳)변이 들어있는데, 이것은 고대의 지도자가 종교적으로 하늘의 소리를 잘 듣는 사람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굽은 구슬은 방울처럼 흔들릴 때 소리가 나는 기물이므로 소리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앞에 나열한 세 가지 설들가운데 어느 하나와 함께 주장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 ↑ 이준한(2021). 홈스, 고대사 비밀을 밝히다. 서울. 북랩. ISBN 979-11-6539-775-3 03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