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발몽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은발몽구스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몽구스과
속: 붓꼬리몽구스속
종: 검은발몽구스
(B. nigripes)
학명
Bdeogale nigripes
Pucheran, 1855[1]
검은발몽구스의 분포

검은발몽구스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검은발몽구스(Bdeogale nigripes)는 중앙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몽구스의 일종이다. 대부분의 다른 비슷한 종들과 달리, 검은발몽구는 각 다리에 5개가 아니라 4개의 발가락을 갖고 있다.[3] 검은발몽구스와 가장 가까운 종은 잭슨몽구스이며, 한 종이 나머지 종의 아종이거나 같은 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4] 검은발몽구스는 나이지리아 동부부터 자이레 동북부 지역의 열대 지대와 앙골라 북부 지역에서 서식한다. 주로 식충성 동물이지만, 설치류를 먹기도 한다.[5]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몽구스과의 계통 분류이다.[6][7]

몽구스과

미어캣

줄무늬몽구스

라이베리아몽구스

난쟁이몽구스속

난쟁이몽구스

에티오피아난쟁이몽구스

쿠시만스속

알렉산더쿠시만스

쿠시만스

흰꼬리몽구스

멜러몽구스

셀루스몽구스

노랑몽구스

붓꼬리몽구스속

검은발몽구스

붓꼬리몽구스

늪몽구스

긴코몽구스

몽구스속

짧은꼬리몽구스

게잡이몽구스

검은줄몽구스

목도리몽구스

인도갈색몽구스

작은인도몽구스

작은아시아몽구스

인도회색몽구스

각주[편집]

  1. “Bdeogale Nigripes at ZipCodeZoo”. 2012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6일에 확인함. 
  2. “Bdeogale nigripe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3. “Mongoose - MSN Encarta”. 2009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4. Perez, M., Li, B., Tillier, A., Cruaud, A., & Veron, G. (2006). Systematic relationships of the bushy-tailed and black-footed mongooses (genus Bdeogale, Herpestidae, Carnivora) based on molecular, chromosomal and morphological evidence. J Zoological System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44(3), 251-259. doi:10.1111/j.1439-0469.2006.00359.x
  5. J., R., & M., S. (2001). Trophic relations in a community of African rainforest carnivores. Oecologia, 127(3), 395-408. doi:10.1007/s004420000604.
  6. Barycka, Ewa (2005).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feliform Carnivora”. 《Mammalian Biology》 72 (5): 257–282. doi:10.1016/j.mambio.2006.10.011. 
  7. Patou, M.; Mclenachan, P.A.; Morley, C.G.; Couloux, A.; Jennings, A.P.; Veron, G. (2009). “Molecular phylogeny of the Herpestidae (Mammalia, Carnivora)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Asian Herpest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3 (1): 69–80. doi:10.1016/j.ympev.2009.05.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