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쪽가슴근신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쪽가슴근신경
왼쪽 상지의 신경. 가쪽가슴근신경은 'Lateral anterior thoracic'으로 우측 사단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기원가쪽다발
분포 구조큰가슴근
식별자
라틴어nervus pectoralis lateralis
영어lateral pectoral nerve
TA98A14.2.03.018
TA26419
FMA65296

가쪽가슴근신경(lateral pectoral nerve, lateral anterior thoracic nerve) 또는 외측흉근신경(外側胸筋神經)은 팔신경얼기가쪽다발에서 갈라져 나오는 신경이다.[1][2] C5-C7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1][2]

겨드랑동맥겨드랑정맥을 가로질러,[3] 가쪽가슴근신경은 빗장가슴근막을 관통하고 큰가슴근의 깊은 쪽 표면으로 들어가 큰가슴근에 분포한다.[1][4] 이때 신경은 4 ~ 7개의 가지들로 갈라지며 근막을 관통하며, 큰가슴근 전체 혹은 위쪽 부분을 지배한다.

기능[편집]

가쪽가슴근신경은 큰가슴근의 운동신경으로 분포한다.[2][5]

대부분 이 신경은 운동신경으로 설명되지만, 고유수용성감각통각을 전달하는 섬유를 포함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가쪽가슴근신경은 팔신경얼기 위줄기, 중간줄기의 앞갈래와 가쪽다발에서 갈라져 나온다. 반면 안쪽가슴근신경은 아래줄기의 앞갈래와 안쪽다발에서 시작된다.

두 개의 가슴근신경은 겨드랑동맥 주변에서 연결되어 가슴근신경고리(ansa pectoralis)라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안쪽가슴근신경은 보통 하나라고 설명되지만, 가쪽가슴근신경을 두 개라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6]

임상적 중요성[편집]

수술 후 간호[편집]

가쪽가슴근신경은 유방 확대술이나 유방절제술, 특히 유방삽입물 수술 시 가슴근 아래(subpectoral) 경로를 통해 시행할 때 통증 반응에 중요하다. 두 가슴근신경은 수술 중에 외과의사가 직접 보고 세 번 주사하여 마취할 수 있다. 하나는 안쪽가슴근신경을, 두 번째로는 안쪽가슴근신경의 관통가지들을, 마지막 세 번째는 가쪽가슴근신경을 차단한다. 초음파를 통해 시행하는 신경 차단도 수술 전에 마취과 의사가 국소 마취를 통해 예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안전하며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가슴근신경의 경로를 확인하고 국소 마취제를 최적의 위치에 사용하기 위해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다.[7]

신경 차단[편집]

어깨 탈구어깨 관련 정형외과 시술 중에 가쪽가슴근신경 차단이 유용하다. 큰가슴근의 경련과 그로 인한 심각한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을 가슴근신경 차단이나 신경근 이완을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 가슴근의 긴장을 수술 중에 신경근 차단제를 통해 이완시키거나, 신경 차단(국소 마취제 투여)을 통해 감소시키면 유방확대술이나 유방절제술 이후 삽입물 시술 시 더 나은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신경혈관다발(가슴봉우리동맥과 정맥, 가쪽가슴근신경으로 구성)의 피부에서 위치가 신경 차단 지점이 된다.[8]

손상[편집]

가쪽가슴근신경은 특히 수술, 지짐술, 박리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4] 팔신경얼기 손상이 발생해 가쪽가슴신경으로의 신경 분포가 사라질 수도 있다.[9]

추가 이미지[편집]

참고 문헌[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93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Kahn, Elyne; Yang, Lynda J. -S.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40 - Anatomy of the Lateral Cord and Its Branche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547–551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42-1, ISBN 978-0-12-410390-0,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2. Baur, Dale A.; Horan, Michael P.; Rodriguez, Juan C. (2012년 1월 1일), Bagheri, Shahrokh C.; Bell, R. Bryan; Khan, Husain Ali, 편집., “Chapter 68 -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Current Therap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영어) (Saint Louis: W.B. Saunders), 566–572쪽, doi:10.1016/b978-1-4160-2527-6.00068-2, ISBN 978-1-4160-2527-6, 202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3. Rea, Paul (2015년 1월 1일), Rea, Paul, 편집., “Chapter 2 - Upper Limb Nerve Supply”,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Limbs》 (영어) (Academic Press), 41–100쪽, doi:10.1016/b978-0-12-803062-2.00002-4, ISBN 978-0-12-803062-2, 202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4. Willey, Shawna C.; Feldman, Elizabeth D. (2009년 1월 1일), Evans, Stephen R. T., 편집., “Chapter 46 - Mastectomy”, 《Surgical Pitfalls》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475–487쪽, doi:10.1016/b978-141602951-9.50058-x, ISBN 978-1-4160-2951-9, 202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5. Wei, William Ignace; Chan, Yu-wai (2009년 1월 1일), Wei, Fu-Chan; Mardini, Samir, 편집., “CHAPTER 17 - Pectoralis major flap”, 《Flaps and Reconstructive Surgery》 (영어) (Edinburgh: W.B. Saunders), 175–192쪽, doi:10.1016/b978-0-7216-0519-7.00017-4, ISBN 978-0-7216-0519-7, 202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6. Porzionato, Macchi; Stecco (2012). “Surgical Anatomy of the Pectoral Nerves and the Pectoral Musculature”. 《Clinical Anatomy》 25 (5): 559–575. doi:10.1002/ca.21301. PMID 22125052. S2CID 22125503. 
  7. Desroches, Jean; Grabs (2013). “). "Selective Ultrasound Guided Pectoral Nerve Targeting in Breast Augmentation: How to Spare the Brachial Plexus Cords?"”. 《Clinical Anatomy》 26 (1): 49–55. doi:10.1002/ca.22117. PMID 22730005. S2CID 26711722. 
  8. Titiz, Izzet; Ozel; Ozel; Toros; Marur; Yildirim; Erdogdu; Kara (2010년 8월 19일). “Denervation Point for Neuromuscular Blockade on Lateral Pectoral Nerves: A Cadaver Study”. 《Surgical & Radiologic Anatomy》 33 (2): 105–108. doi:10.1007/s00276-010-0712-7. PMID 20721553. S2CID 6959180. 
  9. Larsen, Mikko; Bishop, Allen T.; Shin, Alexander Y. (2018년 1월 1일), Morrey, Bernard F.; Sanchez-Sotelo, Joaquin; Morrey, Mark E., 편집., “117 - Flaccid Dysfunction”, 《Morrey's the Elbow and its Disorders (Fif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Content Repository Only!), 1078–1098쪽, ISBN 978-0-323-34169-1, 202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