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성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nternetArchiveBot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1월 19일 (월) 18:55 판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
한성준
韓成俊
기본 정보
출생1874년 6월 12일
조선 충청도 홍성군
사망1942년 7월 (69세)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경성부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직업판소리 고수, 민속무용가
장르한국 전통 음악
활동 시기1881년 ~ 1942년
배우자
가족한천호(아버지)
백운채(외조부)
한희종(아들)
한영숙(손녀)
황병렬(손녀사위)
임방울(사돈)

한성준(韓成俊, 1874년 6월 12일 ~ 1942년 7월)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판소리 고수이자 민속무용가이다.

생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조선 충청도 홍성 출생이다.[1]

박순조의 제자가 되어 북을 배웠으며, 북을 잘 쳐 명성이 높았다. 1933년 조선성악연구회를 창설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노래·민속 무용에도 뛰어났다. 1937년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열고 검무(劍舞)·승무(僧舞)·남무(男舞)·한량무(閑良舞) 등 한국 고전무용을 후진들에게 전수했다. 1940년 '조선무용발표회'를 열었고, 1941년 일본의 '모던 니혼 사'가 제정한 '조선예술상' 중 무용 부문상을 탔으며, 만년에는 민속 무용에 전념하였는데 특히 학춤에 뛰어났다.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서도 흩어져 있거나 사장되어 가는 한국 고전무용을 집대성하여 계승·발전시킨 공적은 높이 평가되고 있다.

1942년 7월, 급성 신부전증으로 사망하였다.

소속

가족 및 친척 관계

각주

  1.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